넥센서의 nXI-2 및 주요 제품을 확인하세요 Asia No.1 자동화 전시회! 산업 지능화 시대를 선도하는 아시아 최고의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현장을 살펴봅니다 ■ 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 2023.03.08 (수) - 03.10 (금) ■ COEX A,B,C,D Hall 헬로티 최재규 기자 |
피엔에스이엔지의 프린필드 시린지 이물 검사기 및 주요 제품을 확인하세요 Asia No.1 자동화 전시회! 산업 지능화 시대를 선도하는 아시아 최고의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현장을 살펴봅니다 ■ 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 2023.03.08 (수) - 03.10 (금) ■ COEX A,B,C,D Hall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산업 자동화의 절대 강자 어드밴텍의 주요 제품을 확인하세요. 기존 이더넷을 뛰어넘는 TSN 이더넷 스위치부터 미디어 컨버터, 시리얼 이더넷, 산업용 보드, 스마트 물류까지 Asia No.1 자동화 전시회! 산업 지능화 시대를 선도하는 아시아 최고의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현장을 살펴봅니다 ■ 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 2023.03.08 (수) - 03.10 (금) ■ COEX A,B,C,D Hall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마키나락스의 MRXray , MRXctrl 솔루션을 소개합니다. Asia No.1 자동화 전시회! 산업 지능화 시대를 선도하는 아시아 최고의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현장을 살펴봅니다. ■ 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 2023.03.08 (수) - 03.10 (금) ■ COEX A,B,C,D Hall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초격차 스타트업 150기업 중 10곳 선정...해외 진출 가능성, 사업 확장성 등 내부 심사를 통해 선발 아마존, A16z 등 글로벌 투자자와의 네트워킹 및 IR 발표와 구글, 인텔 등 빅테크 기업과의 협업 논의 진행 예정 플로틱이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의 일환인 미동부 현지 투자유치 및 진출 프로그램에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 이에 회사는 미국 현지 방문을 통해 글로벌 투자자와의 네트워킹 및 IR 피칭, 글로벌 테크 기업과의 협업 논의를 진행하며 본격적인 북미 시장 진출을 위한 발판을 마련할 예정이다. 지난 5월 중소기업벤처부는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를 발표하며 10대 신산업 분야에서 뛰어난 기술력을 보유한 스타트업에 대해 3년간 사업화 자금 최대 6억 원 및 연구개발 자금 최대 5억 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총 150개 기업이 선정됐으며, 플로틱은 로봇 분야 기업으로 이름을 올려 물류센터 입출고 자동화를 위한 회사의 로봇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미동부 투자유치 및 진출 프로그램은 초격차 스타트업 기업 중 기술력을 비롯한 해외 진출 가능성, 사업 확장성 등 내부 심사를 거쳐 선정된 기업에 북미 시장 진출을 위한 지원을
상하이 신국제엑스포센터(SNIEC)에서 7월 5일부터 사흘간 개최 제18회 알루미늄 차이나(ALUMINUM CHINA 2023)가 이달 7일 상하이 신국제엑스포센터(SNIEC)에서 막을 내렸다. 이번 전시회는 출품업체 약 500개와 약 2만 6000명의 참관객을 모아 주목받았다. 해당 전시회 안에는 900개 이상의 현장 비즈니스 세션이 준비돼 있어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번 알루미늄 차이나는 주제별 포럼 및 특별 전시도 진행해 참관객의 이목을 끌었다. ‘Inspire the Future’를 주제로 개최된 ‘ALU Insight-Aluminium Industry Development’ 포럼에서는 글로벌 산업 전문가가 국제 알루미늄 산업 동향에 대해서 발표했고,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하는 플랫폼도 함께 제공했다. 또 알루미늄 제조 및 주요 응용 분야를 중심으로 한 기술 세미나 및 주제별 포럼을 개최해 참관객에게 최신 기술 트렌드를 공유했다. 한편, 알루미늄 차이나 2024는 내년 7월 3일부터 시흘간 상하이 신국제엑스포센터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차선 구분 가능한 수준으로 위치 정보 제공...AI 플랫폼·차량 단말 연동 KT가 대전소방본부의 소방·응급구조 차량 150대에 초정밀 측위 솔루션을 공급한다고 24일 밝혔다. KT는 대전시 융·복합 데이터 활용 실감형 소방안전도시 구축 사업에서 초정밀 측위 솔루션 공급자로 선정됐다. KT가 제공하는 초정밀 측위 솔루션은 차선 구분이 가능한 수준으로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KT는 AI가 다양한 이유로 발생하는 GPS 오차를 보정하는 플랫폼과 초정밀 측위 솔루션이 적용된 차량용 단말을 연동해 확보한 위치 정보를 대전소방본부에 전달한다. KT의 초정밀 측위 솔루션은 올해 1차 프로토타입 단말 공급과 최적화 작업을 거쳐 서비스 검증 후 2025년부터 상용 서비스로 전환할 예정이다. KT는 지난 2021년 제주 C-ITS(Cooperative-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차세대 지능형 교통 체계) 사업에서 제주특별자치도의 소방·응급구조 차량에 이 솔루션을 적용해 긴급차량 우선신호 서비스를 선보인 바 있다. 당시에도 정확한 위치 추적과 신호 최적화로 출동 시간 단축 효과를 얻었다. KT는 기존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성자동차가 카레이서 후원으로 국내 모터스포츠 저변 확대에 앞장선다. 메르세데스-벤츠 공식 딜러 한성자동차는 국내 모터스포츠 활성화를 위해 '2023 AMG 플레이그라운드(AMG Playground)'의 공식 앰배서더로 카레이서 노동기 선수를 발탁하고 메르세데스-AMG C 63 S 쿠페' 차량을 지원한다고 24일 밝혔다. AMG 플레이그라운드는 지난 2020년 6월 한성자동차 메르세데스-AMG 오너만을 위해 론칭한 커뮤니티 클럽이다. 레이싱 DNA를 가진 고성능 차량에 대한 생생한 경험과 '레이싱 스피릿'을 100% 경험할 수 있는 체험 등을 제공하면서, 메르세데스-AMG 오너로서 자부심과 즐거움을 선사하고 있다. 레이싱팀 '한국아트라스BX 모터스포츠' 소속 노동기 선수는 지난 2021년에 이어 올해 다시 AMG 플레이그라운드 공식 앰배서더로 위촉됐다. 노 선수는 올해 메르세데스-AMG GT4 차량으로 GT4 클래스에 출전해 우수한 레이싱 퍼포먼스를 선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달 이탈리아 몬자(Monza)에서 열린 내구 레이스 '한국 24시 시리즈(Hankook 24H SERIES)' 유러피언(EUROPEAN) 대회의 3라운드 경기 '2023 한국 12시 몬자
흉부·호흡기 학회서 집필 프로젝트 기획, 수상 심사 등으로 활동 “세계적 폐암 연구에 아시아권 국가 특수성이 반영되도록 교두보 역할할 것” 김연욱 분당서울대병원 호흡기내과 교수가 미국흉부학회(American Thoracic Society) 흉부종양분회 기획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됐다. 미국흉부학회는 1905년 창립된 흉부·호흡기 질환 학회다. 회원 수 1만 6000여 명을 보유했고, 학술지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등 네 개 저널을 운영하며 활동 중이다. 김연욱 교수는 미국흉부학회 흉부종양분회(Thoracic Oncology Assembly) 소속으로 활동 중인데, 흉부종양분회는 폐암 위험인자 규명, 조기진단, 치료기법 발전을 주도했다고 평가받는다. 이에 해당 분회는 미국흉부학회 내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김 교수는 미국흉부학회 흉부종양분회 기획위원(Planning Committee Member)으로서 2024년까지 임상 가이드라인 집필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주요 행사 기획 및 시상식 심사위원으로 활동할 예정이다. 김연욱 분당서울대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다양한 폐암 예방 및 검진
KT가 ‘스마트메시지 플러스’의 발송 방식으로 RCS를 추가하고 더욱 확장된 통합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24일 밝혔다. 스마트메시지 플러스는 기업이 다수의 고객에게 다양한 알림과 안내를 문자메시지로 발송할 수 있게 해주는 통합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다. 이번에 추가된 RCS 방식으로 발송하는 메시지에는 미리 등록한 기업 브랜드 로고와 기업 프로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객이 메시지를 스팸이나 피싱, 스미싱으로 오인하지 않아, 더욱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스마트메시지 플러스 발송 수단으로 추가된 RCS는 국제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가 정의한 국제표준 메시지 규격이다. 일반 문자메시지 서비스보다 편리한 사용자 환경와 다채로운 사용자 경험 등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앞서 KT는 스마트메시지 플러스의 발송 수단으로 카카오 알림톡·친구톡을 추가하고, 팩스 및 음성 메시지 발송, 기프티쇼(모바일상품권) 대량 발송, 과금 확인, 전송 통계 등 통합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KT Enterprise서비스DX본부장 민혜병 상무는 “앞으로도 스마트메시지 플러스의인프라와 이용 편의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덧붙여
불량 유심 장착 시 노티바(No-ti-Bar) 통해 안내 LG유플러스가 스마트폰을 통해 불량 유심(USIM) 판별이 가능한 기능을 적용했다고 24일 알렸다. 유심은 사용자 휴대폰 요금제 여부를 담아 신분증 역할을 한다. 이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에 필수적으로 유심을 장착해야 한다. 또 단말·네트워크·유심이 유기적으로 작동해야 하는데, 기존에는 서비스 장애 원인 분석 시 원인 파악이 곤란했다. 이와 관련해 LG유플러스는 유심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안내 기능을 삼성전자와 함께 개발에 성공했다. 해당 기능은 스마트폰에 불량 유심이 장착되면 화면 상단 노티바(Notification-Bar)에 알림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우선 삼성전자 갤러시 S23 시리즈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향후 출시되는 스마트폰에도 순차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다. 이진혁 LG유플러스 모바일서비스개발 LAB장 겸 상무는 “고객이 유심 불량으로 통신 불편을 겪을 시 원인 파악이 용이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U+모바일 서비스 만족도를 더욱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고객의 관점에서 사용성을 개선하고 고객가치를 혁신하는 서비스와 기술을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현대건설이 지속가능경영 성과와 ESG 정보를 담은 ‘2023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 2010년 첫 발간 이래 올해로 열네 번째인 이번 보고서는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글로벌 수준의 지속가능경영 정보 공개 원칙(GRI Standards, WEF Metrics, TCFD, SASB)에 따라 작성됐다. 특히 올해는 2025년 국제공시 의무화가 예상되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의 ESG 정보공시 기준을 선제적으로 부분 반영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친환경 사업 실적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는 EU 택소노미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택소노미)를 따라 녹색매출(지속가능제품) 성과를 공개해 공신력을 더했다. 현대건설은 국내 건설사 최초로 EU 택소노미 기준을 적용하며, 정보 공개 확장과 친환경 사업 고도화에 앞장서고 있다. 실제 현대건설은 최근 3년간 해상풍력, 수소플랜트,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바이오가스 등 신재생에너지 및 탄소중립 분야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내며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다. 보고서는 현대건설이 추진하고 있는 지속가능경영 4대 추진체계(번영(Prosperity), 지구(Planet), 사람(People), 원칙(Pri
최고 속력 280km/h, 최대 출력 407마력 아우디코리아가 더 뉴 RS 3를 출시해 아우디 고성능 RS 라인업을 보강했다. 더 뉴 아우디 RS 3는 5기통 2.5L 가솔린 직분사 터보차저(TFSI) 엔진을 장착했고, 7단 S트로닉 자동 변속기를 탑재했다. 이를 통해 최대 출력 407마력, 최대 토크 50.99kg·m의 성능을 낼 수 있다. 또 0km/h에서 100km/h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제로백은 3.8초, 최고 속력은 280km/h를 발휘하며, 복합 연비는 9.2km/L다. 여기에 아우디 4륜 구동 시스템 콰트로와 RS 스포츠 서스펜션을 적용했고, RS 스포츠 배기 시스템·아우디 드라이브 셀렉트·프로그레시브 스티어링 등도 탑재해 주행 시 재미를 배가시켰다고 평가받는다. 이번 RS 3 외관 디자인은 전면 그릴 및 후면에 RS 3 뱃지를 장착해 RS 라인업의 특징을 살렸다. 더불어 아우디 링, 흡기구 장착 전·후방 범퍼, 타원형 리어 디퓨저, 윈도우 몰딩 등에 블랙 패키지를 채택해 RS 3만의 차별성을 더했다. 내장 디자인은 앞좌석 시트 레드 디나미카 사이드 트림, 레드 에어 벤트 스트립, 알칸타라 소재 스티어링 휠을 포함한 RS 디자인 패키지를
SK텔레콤(이하 SKT)은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ifland)'와 지난 5월 이프랜드에 추가된 개인공간 서비스 '이프홈(if home)'이 K-POP 라이징 스타들의 글로벌 팬미팅 장소로 인기를 끌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SKT는 지난 6월말 이프랜드에서 열린 6인조 걸그룹 시크릿넘버의 메타버스 팬미팅 '이프 홈커밍 데이(if homecoming day)'에 글로벌 팬 5300여 명이 몰렸다고 전했다. 이날 팬미팅은 시크릿넘버의 6번째 싱글 '독사(DOXA)'의 혼합현실(XR) 공연과 팬들과의 대화 등으로 꾸며졌다. 특히 참석한 팬들 가운데 인도네시아와 필리핀, 미국, 일본 등 해외 팬들의 비중이 90%를 차지하는 등 글로벌 팬덤이 스타와 만나는 소통 창구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SKT는 당초 131명 정도가 동시 입장이 가능한 소통공간인 이프랜드 내 '이프스퀘어(if square)' 한 곳을 팬미팅 장소로 준비했으나, 글로벌 팬들의 참여가 몰리며 '이프스퀘어' 6곳을 추가로 열어 팬미팅을 중계했다. 시크릿넘버의 멤버인 디타는 "신기하고 새로운 경험이었다. 이렇게 팬들과 아바타로 소통하는 것이 즐거웠다"며 "앞으로도 팬들과 이프홈을 통해 국경과 거리의
셰플러코리아는 셰플러 그룹이 첨단 모빌리티 솔루션을 위한 혁신 역량 강화의 일환으로 2000만 유로(약 284억 원)를 투자해 슬로바키아 키수체에 개발 센터를 건립했다고 24일 밝혔다. 셰플러 그룹은 키수체에 연면적 4000㎡ 규모의 4층짜리 개발 센터와 연면적 4000㎡ 규모의 테스트 스테이션 및 장비 공간으로 구성된 총 연면적 약 8000㎡ 의 개발 센터를 건립했다. 개발 센터에서는 주로 자율주행 및 섀시 시스템 등 전기 모빌리티용 제품과 부품을 개발한다. 이를 통해 신제품과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위한 다양한 개발 활동이 이루어질 계획이다. 여기에는 시스템과 소프트웨어 개발, 시뮬레이션 및 테스트, 하드웨어 설계, 기계제품 설계 등이 포함된다. 또한 키수체 개발 센터는 직원들의 효율적인 업무 운영을 위해 스마트오피스와 디지털 협업에 유연하게 대응하도록 설계됐다. 직원들이 서로 교류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인 그래비티 포인트와 같이 직원들을 위한 미래형 업무 공간에 중점을 두고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앞으로 셰플러는 신설 개발센터와 제조 공장 활동을 긴밀하게 통합해 부품 및 솔루션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수행하게 된다. 키수체 개발 센터 전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