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바코드 프린터 제조업체인 TSC Auto ID Technology(이하 TSC)가 국내 산업용 모바일 IoT 솔루션 기업 블루버드를 전격 인수하며 사업 영역을 대폭 확대했다. 이번 인수로 TSC는 기존의 바코드 프린터 비즈니스에서 벗어나 태블릿, 모바일 컴퓨터, RFID 등 다양한 첨단 기술 분야로의 확장을 꾀할 수 있게 되었다. 외신에 따르면, TSC는 에이치알파사모펀드(H-Alpha Private Equity Fund)와 이장원 전 블루버드 대표이사로부터 블루버드 지분 96.51%를 약 1,200억 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TSC는 블루버드의 선진 기술력과 글로벌 시장 리더십을 자사의 기술력과 결합하여, 산업용 IoT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다질 계획이다. 블루버드는 엔터프라이즈 모바일 솔루션의 선두주자로, AI 기반의 RFID IoT 플랫폼 및 솔루션을 포함한 다양한 서비스를 원스탑으로 제공하고 있다. 특히, 모바일 컴퓨터, RFID 리더, 모바일 POS, 태블릿 등에서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며, 혁신적인 모빌리티 전략을 통해 기술 트렌드에 발맞춰 왔다. TSC의 이번 인수는 글로벌 기술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한층
이번 주 국내 주유소 휘발유와 경유의 주간 평균 가격이 4주 연속 동반 하락했다. 24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8월 셋째 주(18∼22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직전 주 대비 L당 7.8원 하락한 1,689.0원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가격이 가장 높은 서울이 직전 주보다 6.9원 하락한 1,749.5원, 가격이 가장 낮은 울산이 7.4원 내린 1,655.9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가장 저렴한 상표는 알뜰주유소로, L당 평균가는 1,663.6원이었다. 경유 평균 판매가격은 L당 8.0원 하락한 1,526.6원을 기록했다. 이번 주 국제유가는 주요국 경기 지표 부진과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등으로 하락했다. 수입 원유가격인 두바이유는 직전 주 대비 배럴당 2.9원 내린 76.2달러였다. 국제 휘발유 가격은 2.9달러 내린 83.2달러, 국제 자동차용 경유는 4.6원 내린 90.2달러로 집계됐다. 국제유가 변동은 통상 2∼3주가량 차이를 두고 국내 주유소 가격에 반영된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2024년 상반기 디도스 공격 건수 전년 대비 46% ↑ 디도스 공격 분야는 게임, 기술, 금융 서비스, 통신 순으로 나타나 새로운 표적으로 떠오른 이커머스와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지코어가 2024년 상반기 디도스 공격 동향을 분석한 ‘지코어 레이더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매년 두 차례 발행해, 지코어 전 세계 네트워크에서 탐지된 디도스 공격 현황을 분석한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디도스 공격 건수는 83만 건으로 2023년 동기 대비 46% 늘었다. 초당 최대 공격력도 2023년 상반기 800 Gbps 및 하반기 1.6 Tbps에서 2024년 상반기 1.7 Tbps로, 단위가 Gbps에서 Tbps로 증가했다. 전체 디도스 공격 형태 중 61%가 UDP 플러드였고, TCP 플러드와 SYN 플러드는 각각 18%와 11%로 나타났다. 비즈니스별 디도스 공격 빈도는 게임(49%), 기술(15%), 금융 서비스(12%), 통신(1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작년 하반기 통계에 이어 게임 분야에 대한 공격 빈도가 가장 높았지만, 지난 2분기 동안 가장 큰 변화를 보인 분야는 15% 증가를 보인 기술 분야였다. 더불어 이번 집계에서
원/달러 환율이 23일 미국 통화정책 전환에 대한 기대감 속에 상승세를 나타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오후 3시30분 종가는 전날 주간 거래 종가(1334.7원)보다 4.1원 오른 1338.8원을 기록했다. 환율은 전날보다 6.6원 오른 1341.3원으로 개장한 뒤 점차 상승 폭이 줄었다. 글로벌 달러 가치 반등과 위험 선호 심리 약화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간밤 미국 뉴욕 증시는 9월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유효한 가운데 기술주 중심으로 낙폭이 커지면서 약세를 나타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향후 통화정책 방향과 관련해 잭슨홀 경제 심포지엄에서 내놓을 메시지에 대한 경계감이 여전히 존재한다. 장중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가 의회에 출석해 "금융완화 정도를 조정해 간다는 기본적인 자세에 변함이 없다"고 밝혔지만, 원/달러 환율 영향은 크지 않았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19.54원에 거래됐다. 전날 오후 3시30분 기준가인 918.99원보다 0.55원 오른 수준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정부의 수출 통제 지원 업무를 중심으로 하던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공공기관인 전략물자관리원이 경제안보 싱크탱크로 외연을 확장해 무역안보관리원으로 출범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주한 외교사절, 미·일 정책 당국자, 기업 관계자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2024 무역안보의 날' 기념행사에서 무역안보관리원이 공식 출범했다고 밝혔다. 지난 2월 대외무역법 개정을 통해 전략물자 수출 통제 업무를 담당해온 전략물자관리원은 자본, 기술, 인력 등 무역 전반의 안보를 담당하는 무역안보관리원으로 확대 개편됐다. 무역안보관리원은 '경제안보 시대, 글로벌 무역 안보를 선도하는 전문기관'을 표방한다. 수출 통제 대상인 전략물자 판정 등 기존의 수출 관리 업무 외에 외국의 신규 수출 통제 예상 품목에 관한 국내 산업 영향 분석, 외국인 투자 안보 심사 지원, 무허가 수출업자 조사 및 단속 등 업무를 더해 경제안보 분야의 싱크탱크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무역안보관리원의 초대 원장으로는 통상정책 및 경제외교 전문가인 서정민 숭실대 글로벌통상학과 교수가 취임했다. 정인교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우리나라의 무역·기술 안보 체계가 한 단계 도약할 계
최근 미국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테슬라 전기 트럭 화재 사고에 대해 미 당국이 조사에 착수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테슬라 주가가 5% 넘게 급락했다. 22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전장보다 5.65% 내린 210.66달러에 마감했다. 테슬라 주가는 이날 전장보다 소폭 오른 223.82달러로 시작했으나, 이내 하락세로 돌아서 낙폭을 키웠다. 올해 들어 테슬라 주가는 15% 떨어진 상태다. 미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는 이날 캘리포니아 고속도로순찰대(CHP)와 함께 지난 19일 캘리포니아 북부의 한 고속도로에서 화재가 발생한 테슬라 전기 트럭에 대해 안전 조사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NTSB는 "리튬-이온 배터리와 관련된 화재 위험에 관심을 두고" 조사를 결정했다며 "잔해를 조사하고 충돌 및 후속 화재 대응으로 이어진 이번 사건의 세부 정보를 수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로스앤젤레스(LA)타임스에 따르면 지난 19일 오전 3시 15분께 새크라멘토에서 북동쪽으로 약 113㎞ 떨어진 주간(Interstate) 고속도로에서 주행 중이던 테슬라 전기 트럭 '세미'가 갑자기 도로를 벗어난 뒤 갓길 옆에 있던 나무와 충돌했다. 이후 배터리에서 불이 나기 시작해
메사쿠어컴퍼니가 레노버의 ‘씽크시스템 SR650 V3’ 서버에 기반한 차세대 AI 디지털 인증 솔루션을 출시했다. 해당 솔루션은 얼굴 위조 생체 탐지, 얼굴 기반 성별 나이 인식, 마스크 및 선글라스 탐지 등 첨단 기능을 갖췄다. 이외에도 기타 응용분야에 따라 1:N 얼굴인식, E2E 암호화, 신분증 홀로그램 탐지 기능이 추가 가능한 통합 인증 솔루션이다. 레노버 씽크시스템 SR650 V3는 4세대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를 탑재한 첨단 AI 서버로, AI·고성능컴퓨팅(HPC)·클라우드 서비스 컴퓨팅·가상화 및 인프라 같은 복잡한 워크로드에 최적화됐다. 이로써 규모에 구애받지 않고 기업에 맞춤형으로 AI 구현 지원이 가능하다. 메사쿠어컴퍼니는 레노버의 협력 및 OEM 공급 모델로 솔루션 구축 및 제공 프로세스를 크게 간소화해 가치 창출을 달성했다. 윤석준 레노버 글로벌 테크놀로지 코리아 부사장은 “레노버의 씽크시스템 서버로 금융 산업부터 정부 부문까지 다방면에서 디지털 혁신을 이끌게 됐다”며 “앞으로도 기업이 필요로 하는 혁신을 지속하도록 솔루션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 전했다. 이지훈 메사쿠어컴퍼니 대표는 “개인정보 보호 및 데이터 보안 이슈가 수면 위
에이수스 코리아가 독일 쾰른에서 열린 게임스컴 2024에서 ROG 라인업을 공개했다. 주요 제품으로는 AMD Zen 5 기반 Ryzen 9000 시리즈를 지원하는 X870/E 시리즈 메인보드와 고성능 게이밍 주변기기 및 모니터가 있다. 공개된 X870/E 시리즈 메인보드는 ROG Crosshair X870E Hero, ROG Strix X870E-E Gaming WiFi, X870-F Gaming WiFi 등이 포함한다. AI 오버클럭킹, Dynamic OC Switcher, Core Flex 등 고급 기술을 적용해 AMD 라이젠 프로세서 성능을 강화했다. NitroPath DRAM 기술로 신호 경로 최적화와 슬롯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ASUS AEMP 메모리 기술, USB 4.0, PCIe 5.0, WiFi 7 등 최신 기술을 갖췄다. CPU 냉각 성능을 극대화한 ROG Ryujin III 360 ARGB Extreme도 선보였다. 이 제품은 향상된 워터 펌프와 부품을 적용해 냉각 성능을 강화하고 통합 VRM 팬으로 공기 흐름을 최적으로 제공한다. 3.5인치 LCD 화면으로 실시간 시스템 정보와 사용자 지정 콘텐츠를 표시한다. 강화된 게이밍 주변기기 라인업
웨이비스는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을 위한 본격적인 공모 절차에 돌입했다고 23일 밝혔다. 웨이비스는 반도체 관련 패키지 트랜지스터, 모듈 등을 제조하는 기업으로, 질화갈륨 무선주파수(RF) 반도체 칩 양산 기술 국산화에 성공했다. 증권신고서에 따르면 웨이비스는 지난해 별도 기준 매출 169억 원, 영업손실 95억 원을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매출은 146억 원, 영업손실은 17억 원이다. 웨이비스는 기업공개를 통해 총 149만 주를 신주 모집한다. 공모가 희망 범위는 1만1000∼1만2500원으로, 상단 기준 약 186억 원을 조달한다. 수요 예측은 다음 달 9∼13일, 일반 청약은 같은 달 24∼25일 진행할 예정이다. 주관사는 대신증권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S2W가 ‘금융 보안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 보고서는 금융 시장 전반에 일어나는 보안 위협을 선제적으로 인지하고 대응하고자 제작했다. 구성은 ‘금융 사기 주의 채널 동향’, ‘금융 위협 인텔리전스 하이라이트’, ‘금융 보안 TF 제언 사항’ 세 가지 챕터로 이뤄졌다. 금융 사기 주의 채널 동향에서는 텔레그램, 다크웹 등 금융 사기가 많이 발생하는 채널의 실태와 은행계좌·비밀번호 같은 금융정보를 비롯해 개인정보가 불법 행위에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다뤘다. 실제 비공개 운영 중인 라이센스 텔레그램 채널을 예시로 들었다. 금융 위협 인텔리전스 하이라이트는 금융사 위장 보이스피싱을 핵심으로 다뤘다. S2W는 위협 그룹을 ‘TheftCRow’으로 분류했다. S2W의 분석에 따르면 이미 다수의 TheftCRow 조직이 금융기관, 공공기관, 수사기관, 쇼핑몰 등 앱 다운로드 페이지로 위장한 피싱 페이지를 구축해 악성 앱을 유포하고 있다. S2W는 현재 발견된 사칭 유형만 12개 테마, 70개 이상 사례에 이른다고 밝혔다. 금융 보안 TF 제언 사항에서는 금융권 사이버 위협에 대한 대응 방안 세 가지가 제시됐다. ‘금융 사기용 정보 공유 채널 사전 모니터링으로 불법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호주 질롱시에 자주포와 장갑차를 생산할 공장(H-ACE)을 완공했다고 23일 밝혔다. H-ACE는 한국 방산업체의 첫 해외 생산기지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호주 공장을 완공해 오커스(AUKUS, 미국·영국·호주 안보동맹) 및 파이브 아이즈(미국·영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 정보동맹)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정학적 위기로 인도·태평양 지역의 방산 제품 수요가 늘어나면서 향후 호주뿐 아니라 주요 동맹국의 생산 기지로 H-ACE를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올해 하반기부터 H-ACE에서 AS9 자주포와 AS10 탄약운반차 양산을 시작한다. AS9과 AS10은 각각 K9, K10의 호주 개조 모델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027년까지 AS9 30문과 AS10 15대를 호주 육군에 공급할 예정이다. 지난해 129대의 공급 계약을 체결한 레드백 궤도형 장갑차의 경우 2026년 상반기 시제품 납품 후 양산에 돌입하는 것이 목표다. H-ACE는 약 15만㎡ 규모 부지에 세워졌으며 본관, 생산동, 조립장, 주행시험장, 사격장 등 11개 시설을 갖추고 있다. H-ACE가 위치한 질롱시는 호주 빅토리아주 주도
중소기업중앙회 서울지역본부는 23일 서울 마포구 중소기업DMC타워에서 4개 업종 중소기업협동조합과 함께 '서울시 중소기업 업종별 특화 중대재해 대응 컨설팅 지원사업' 첫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4개 조합은 서울경인레미콘공업협동조합, 서울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 서울경기북부엘리베이터협동조합, 서울장갑공업협동조합이다. 이날 회의는 선정된 사업 참여조합에서 업종별 중대재해 대응 컨설팅 계획 발표와 중대재해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협동조합의 역할과 사업추진 방향을 공유하는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협동조합이 구심점이 되어 안전관리 우수사례 공유 및 중대재해 예방교육을 통해 조합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도모할 것에 뜻을 모았다. 박승찬 중기중앙회 서울지역본부장은 “올해 초부터 5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까지 중대재해처벌법 적용이 확대됐지만, 중소기업은 담당 인력과 예산이 부족해 개별적 대응이 어렵다”며 "협동조합을 통한 컨설팅 지원사업이 중소기업의 안전개선과 사고예방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은 23일 대전 한수원 중앙연구원에서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시뮬레이터센터 및 스마트넷제로시티 관제센터 통합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준공식에는 최남호 산업부 2차관, 김상협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장, 황주호 한수원 사장 등이 참석했다. 정부의 지원 속에서 개발 중인 i-SMR은 기존 1000㎿(메가와트) 이상의 대형 원전 대비 발전 용량을 170㎿로 줄이고 모듈화 제작 기법을 적용한 한국형 소형모듈원자로다. 이번에 가동되는 i-SMR 운전 검증용 시뮬레이터는 설계 및 운전 적합성을 검증하는 설비다. 실제와 동일하게 구성된 주 제어실에서의 비상상황 대응 훈련 등을 통해 운전원들을 교육하고 안전성을 점검·강화하는데 활용된다. 시뮬레이터 가동을 통해 얻는 데이터는 i-SMR의 설계 인가 획득과 향후 실제 가동에 필요한 운영 허가 획득 과정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한국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부를 중심으로 2028년까지 3992억 원을 투자해 i-SMR을 개발 중이다. 연구개발 주도 기관인 한수원은 2025년까지 표준 설계를 완성하고, 2028년까지 표준 설계 인허가를 획득한 뒤 2030년 1호기를 운영하겠
E-순환거버넌스 ‘모두비움, ESG나눔’ 자원순환 프로그램 참여 HMM이 E-순환거버넌스(구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와 폐전자제품 재활용을 통한 자원순환 활동을 함께 전개한다. E-순환거버넌스는 기업·기관 등과 파트너십을 체결해 자원순환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환경부 인가 비영리 공제조합이다. HMM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E-순환거버넌스의 자원순환 프로그램 ‘모두비움, ESG나눔’에 참여한다. 앞서 폐전자제품 1000여 대를 기증해 본격적인 활동에 신호탄을 쐈다. 앞으로 사무실·사업장 등에서 발생하는 폐전기·전자제품의 재활용을 통해 ESG 경영 실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HMM 관계자는 “HMM은 지금까지 스코프(Scope) 1·2 수준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친환경 연료 도입, 운항 기술 고도화 등 활동을 수행했다”며 “이번 업무협약을 기반으로 스코프 3까지 활동 범위를 확대해 2045년까지 넷제로(Net-Zoro)를 달성할 것”이라고 비전을 전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SK에코플랜트는 기존 인공지능(AI) 기반 소각로·수처리시설 운영 최적화 설루션에 '자동운전'이 가능한 새로운 AI를 적용했다고 23일 밝혔다. 기존 설루션은 AI가 운전자에게 적절한 조작 방안을 제시했으나, 새로 적용한 기술은 AI가 현재 상황에 맞는 조작법을 판단해 수행하는 이른바 '자동운전'이 가능하다. 새 AI 적용으로 소각로와 수처리시설 운영 효율성이 더욱 개선될 전망이다. 수처리시설은 수질 정화용 미생물이 활발히 활동할 수 있도록 송풍기로 산소를 공급하며, 24시간 운영되는 특성상 송풍기 강도를 매번 조정하기 어려워 상향 출력해 과잉 운영되는 경우가 많았다. 송풍기 가동에 사용되는 전기량이 수처리시설에서 소비되는 전력 중 30∼40%를 차지하기 때문에 이 같은 과잉 운영을 제어할 수 있다면 전력 소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실제로 SK에코플랜트가 지난 2∼7월 하루 최대 7만㎥의 폐수를 처리하는 시설에서 자동운전 AI를 적용한 설루션을 실험한 결과, 평균 송풍기 에너지 사용량이 AI 기반 운영 최적화 설루션을 도입하기 전보다 평균 37.2%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AI 기반 운영 설루션의 경우 약 20%의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었다. 소각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