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발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레이저마커 중 최신 제품인 ‘AREX400’을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레이저발코리아가 선보인 AREX400 시리즈는 견고한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매우 작고 강력한 스캐닝 헤드를 가져 좁고 작은 공간 설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곳에 아주 적합한 레이저 마킹기다. AREX400 시리즈 제품군은 자동차, 정밀 기계, 산업 전자, 의료 제조에 이르기까지 제조 산업에서 신뢰할 수 있는 DPM (Direct Part Marking)이 필요한 모든 응용 분야에 최적화된 솔루션이다. Datalogic의 특허 받은 'Green Spot' 기술을 통합해 스캔 영역에서 직접 읽기 좋은 피드백을 즉시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가능하며 완전히 새로운 임베디드 컨트롤러는 향상된 컴퓨팅 성능, 내장 SLO (Safety Laser Off), 비용 효율적인 기본 통신 프로토콜 (TCP/IP, 이더넷 IP 및 Profi
퓨런티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직접 개발한 다양한 자동화 장비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퓨런티어는 기업부설 연구소에서 순수 국내기술력으로 개발하여 국내 생산하는 산업용 컴퓨터, LED광원, 스탭모터 드라이버, 이더캣시스템 등을 선보였는데 이 가운데 디아이오 보드(DIO Board)는 컴퓨터의 디지털 신호를 평행(병렬)으로 입출력하는 기능을 증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보드이다. 디지털 입출력 제품을 사용하면 각종 제어 회로의 릴레이 및 조작 스위치 측정기 등의 상태를 감시하거나, 램프나 LED 7세그먼트 표시기 및 릴레이 제어 출력 외에 PLC 등의 콘트롤러와 디지털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세빈기술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산업현장용 거리측정센서 ‘SDR-HDU60i’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세빈기술이 선보인 SDR-HDU60i는 60GHz 대역을 이용한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mm급 정밀도를 자랑한다. 철강 산업, 물류 산업, 항만 크레인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 응용이 가능하다. 금속 물체 감지, 수위 측정, 충돌 방지 등에 사용할 수 있으며 소형 및 경량으로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2004년 설립된 이래로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해 독자적인 기술을 발전시켜 온 세빈기술은 산업현장용 거리측정센서 외에도 크레인 충돌방지센서, Hot/Cold Metal Detector를 개발하여 생산 및 판매하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
센서시스템기술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디지털 압력 게이지 SMA(EX)모델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센서시스템기술이선보인 디지털 압력 게이지 SMA(EX)는 국내와 중국에서 비점화방폭 인증을 받은 제품으로 접액부가 STS31L로 되어 있어 부식성 매체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하고 LED디스플레이와 아날로그 출력 1~5VDC, 2채널 NPN 오픈콜렉터 출력의 특징을 갖는 압력 게이지이다. 소형으로 압력센서와 인디게이터, 스위치가 하나로 통합되어 저가격화를 실현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1,500부스 규모로 참가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센서솔루션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고속회전에서 사용 가능한 브러쉬리스 타입의 다양한 토크센서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센서솔루션이 선보인 접촉식 회전형 토크센서 SNR series는 샤프트 타입의 회전형 비접촉식 디지털 토크센서로 Amplifer 내장형으로 mV/V출력형 센서에 비해 노이즈 영향을 최소화하고 CARRIER 주파수에 의한 간섭이 없다. 비접촉식 회전형 토크센서 SA series는 샤프트 타입의 회전형 접촉식 토크센서로 모터 부하테스트, 볼트체결력, 감속기, 자동차 부품등의 토크 측정이 가능하며 Foot mount와 고용량도 주문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비회전형 토크센서 NF series는 플랜지 타입의 비회전형 소형 토크센서로 컴팩트한 디자인에 설치가 간편하다. 20여 년의 실무 경험을 가진 계측기 전문 메이커 센서솔루션은 자동차 산업, 로봇 자동화 산업에 적용되는 토크센서, 로드셀, 변위센서, 인디케이터 등을 전문으로 제작
다쏘시스템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 SF+AW 2022)에 참가해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통해 버추얼 트윈 경험(Virtual Twin Experience)을 어떻게 구축해야 하는지에 대해 소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다쏘시스템이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버투얼 트윈’은 시물 제작 이전에 가상으로 시제품을 제작하여 시뮬레이션과 최적화를 할 수 있는 기술로 도시, 건물부터 인체까지 전 산업에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실물 제작에 드는 비용과 시간 등을 절감함으로써 탄소중립을 도울 수 있다. 다쏘시스템의 부스에는 설계에서 생산까지 디지털 데이터의 연속성을 위해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 기반으로 생산제조를 위한 3D 기반 공정정보 생성/관리를 하고 시뮬레이션과 검증을 위한 델미아 제품, 생산 계획 및 물류를 위한 QUINTIQ/ORTEMS 제품, 제조운영관리 솔루션인 ‘아프리소(APRISO)’ 제품, 그리고 협업을 위한 3DLEAN 제품 등이 전시되어 버추얼 트윈 경험의 이해를 도왔다. 다쏘시스
건솔루션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 SF+AW 2022)에서 로봇을 이용한 머신텐딩 시스템을 선보이며 눈길을 끌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건솔루션이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한 머신텐딩은 로봇을 이용한 로딩/언로딩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으로 머신텐딩 시스템에 프로브(Probe)와 Gr-BOX를 접목해서 다품종 소량생산에도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됐다. 머신텐딩 시스템 외에도 공구관리시스템, 위치관리시스템, Gx-MES, G-CAP 등 건솔루션의 고도화된 기술력을 선보였다. 건솔루션 관계자는 “스마트공장 구축 시스템인 FACON은 Gx-MES, G-CAP, OMV+, 머신텐딩, G-DFM, Renishaw Probe의 솔루션으로 구성되어 설계단계에서 제조-출하까지의 전 과정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함께 나아가는 디지털 혁신’(Driving Digital
스위치와 안전장치, 신호장치 등을 주로 제조하는 업체인 피짜토코리아가 RFID 기술을 탑재한 안전 스위치를 전시해 눈길을 끌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RFID 기술이 적용된 피짜토코리아의 세프티 스위치는 높은 안전 등급은 물론 높은 방수 및 방진 등급도 만족한다. 실시간 진단을 위한 상태 LED도 장착되어 있다. 피짜토 코리아의 모든 제품은 100% 이탈리아산이며, 이탈리아 비첸차 지방의 마로스티카에 위치한 공장에서 전적으로 설계, 개발 및 테스트되므로 기술적으로 진보된 솔루션을 제공하기 용이한 환경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1,500부스 규모로 참가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프레스토솔루션이 자체 개발한 물류이송시스템의 전시와 함께 많은 주목을 받았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고정밀 반도체와 FPD 설비에 종합 솔루션을 제공해온 프레스토솔루션은, 이번에 자체 개발한 리니어 무빙마그넷 시스템인 Dyna Track을 선보였다. 이는 최대 32개 캐리어를 한 개의 컨트롤러로 구동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닌다. 캐리어 개별 속도 제어 및 충돌 방지 기능도 탑재되어 있다. 이 밖에 최첨단 모션 제어 솔루션을 위한 고성능 모션컨트롤러 또한 눈길을 끌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1,500부스 규모로 참가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제이에스이컴퍼니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생산 및 물류포장 라인용 솔루션 ‘유니버셜 글리핑 시스템’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제이에스이컴퍼니가 선보인 유니버셜 글리핑 시스템은 하나의 글리퍼로 다양한 형상물 취부가 가능하다. 글리핑 패드 내의 특수 입자 알갱이들로 채워진 FORMHAND 글리퍼는 자동으로 각기 다른 형태의 목표응 형상에 맞게 성형되어 취부한다. FORMHAND 제품은 자동화라인의 프로그래밍에 적합하게 모든 시스템에 쉽게 통합 적용할 수 있다. 또한 FORMHAND 글리핑 패드는 이송용 글리퍼 용도 뿐만 아니라 고정 지지용, 강력한 클램프 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링스판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일방향 캠클러치 ‘프리휠 클러치’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링스판코리아가 선보인 프리휠 클러치는 캠 클러치, 백스톱, 일방향 클러치라고 불리기도 하며 내륜과 외륜 사이에 스프라그 또는 롤러가 케이지와 함께 들어있는 구조를 갖는다. 스프라그의 고유한 형상 때문에 외륜과 내륜이 한 방향으로는 공회전(프리휠)하지만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스프라그가 외륜의 트랙에 마찰에 의해 끼이도록 되어있어서 토르크를 전달한다. 링스판코리아는 독일 RINGSPANN 그룹의 국내 현지법인으로 한국 내의 동력전달 기계 요소 고객들을 현지에서 직접 지원한다. RINGSPANN이 1944년 설립된 이후 축적해온 정밀 동력전달 부품의 설계 및 적용 노하우를 설계 및 디자인 엔지니어들과 함께 공유하며 상호 발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플루크의 공식 대리점 ‘네모테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음향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3상 전력 품질 분석기, 자동 압력 교정기 등을 참관객들에게 소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플루크의 음향 카메라 ‘ii910’은 사운드사이트(SoundSight) 기술을 사용하여 들리는 소리를 시각적으로 변환하므로 문제 영역을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주파수 범위는 2 ~ 100Khz로, 이상 소리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다. 감지 범위는 최대 120미터이며, 디스플레이는 7인치의 정전식 터치스크린 방식이며, 해상도는 1280×800이다. ii910은 배전 및 산업용 고전압 장비를 지속해서 검사하고 유지 관리하는 전기기사 및 엔지니어에게 적합한 장비다. 플루크의 3상 전력 품질분석기 ‘1770 시리즈’는 전력 및 전력 품질 매개변수를 자동으로 측정하며, 전원 품질 상태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어 빠른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 또한 V/A/Hz, 전력, 급강하, 급
페스트펜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고도화된 산업 시스템에 최적화된 ‘FEST FENCE’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페스트펜스가 선보인 FEST FENCE는 독일의 바우하우스 디자인의 영감을 받아 제작 됐다. 고도화된 산업 시스템에 최적화된 FEST FENCE는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정확하고 신속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시스템 규격은 750, 1000, 1300, 1500, 1800, 2000, 2200mm이며 판넬과 포스트는 고객의 요청의 맞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각종 기계, 설비에 맞는 구조변경이 가능하며 현장에 맞는 다양한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사전 현장 실측을 통해 시공 현장에서 바로 조립이 가능한 상태로 출고되어 정확하고 빠른 시공이 가능하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
리탈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캐비닛/랙 시스템과 컨트롤 패널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리탈은 배선 시스템인 RiLine과 함께 좀 더 ‘스마트’하면서도 안정성, 공간 절약, 비용 절감의 효과를 수반하는 배선 방식을 선보였다. 이는 파워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에 의한 간단하고 빠른 구조 설계, 다양한 기기 메이커와의 호환 등의 장점도 지닌다. 이 밖에 소형 인클로저, 리탈 자동화 시스템 등을 전시하며 혁신적인 작업 관리 방식을 제안해 많은 이의 눈길을 끌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1,500부스 규모로 참가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드림텍LMS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고성능 모듈시스템인 FSL40 리니어 모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드림텍LMS가 선보인 FSL40 리니어 모듈은 FSL40 시리즈 리니어 모듈 제품이다. 개방형, 밀폐형, 반밀폐형 모듈로 구성돼 행정길이 1000mm까지 제작 가능하다. 정밀, 고성능, 체계적인 모듈시스템으로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작동이 가능하다. FSL40은 비용 대비 효율적인 스크류 선형 모듈이다. 개방형 구조로 가이드 레일 1개와 슬라이더 1개가 장착되어 있으며 스크류 로드의 양단은 베어링으로 고정되어 안정성을 높였다. 또한 중간 및 저부하 및 중간 속도 요구 사항에 적합하며 사용 환경이 안정적이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