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와 에너지 산업의 대응 방향을 논의하는 웨비나가 열린다. 한국CDE학회와 산바시 공동기획한 이번 행사는 기후위기와 에너지 산업의 대응 방향이라는 주제로 7월 6일 오후 2시부터 3시 30분까지 한시간 반 가량 온라인으로 열린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설계, 엔지니어링, 생산 분야에 더하여 기업 활동의 전 분야에 대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DX)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이에 한국CDE학회는 DX를 주제로 서로 교류하고 정보를 나누는 포럼 운영을 통해 산학연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있다. 2021년부터는 매월 온라인 강연과 튜토리얼, 토론회 등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이날 웨비나에는 보성의 권효재 상무가 발표자로 나서 기후위기 이슈와 에너지 산업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줄 예정이다. 웨비나는 두비즈 홈페이지에서 사전등록을 통해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기후위기와 에너지 산업의 대응 방향을 논의하는 웨비나가 열린다. 한국CDE학회와 산바시 공동기획한 이번 행사는 기후위기와 에너지 산업의 대응 방향이라는 주제로 7월 6일 오후 2시부터 3시 30분까지 한시간 반 가량 온라인으로 열린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설계, 엔지니어링, 생산 분야에 더하여 기업 활동의 전 분야에 대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DX)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이에 한국CDE학회는 DX를 주제로 서로 교류하고 정보를 나누는 포럼 운영을 통해 산학연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있다. 2021년부터는 매월 온라인 강연과 튜토리얼, 토론회 등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이날 웨비나에는 보성의 권효재 상무가 발표자로 나서 기후위기 이슈와 에너지 산업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줄 예정이다. 웨비나는 두비즈 홈페이지(https://dubiz.co.kr/Event/86)에서 사전등록을 통해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2022 독일 하노버메세 인사이트 Wrap-up 세미나'가 열린다.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2일까지 열린 독일 하노버메세는 최대 규모의 산업 박람회다. 올해는 디지털 대전환과 지속가능성이라는 주제로 세계 60여개국의 2500개 기업이, 8000여개의 제품을 전시했다. 세미나에서는 제조 혁신 분야의 첨단 제품과 최신 기술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는 비즈니스의 장이었던 이번 하노버메세 전시회를 7인의 전문가들의 시선을 통해 리뷰하고, 인사이트를 공유한다. 오프닝 세션에서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윤정섭 부연구위원과 KAIST 장영재 교수가 각각, 올해 열린 세계 3대 박람회를 통해 본 미래 트렌드와 하노버메세 산업박람회 개관을 주제로 발표한다. 이후 한국 GAIA-X 전문가위원회 김인숙 위원장이 '4차 산업혁명과 MaaS'를 주제로 발표하고, MakinaRocks 윤성호 대표가 'AI in Hannover Messe 2022'라는 제목으로 발표한다. Backhoff Automation의 유기석 대표는 Beckhoff의 Automation Solution in HM22라는 제목으로, 포메이션랩스의 박병승 대표는 지속가능한 제조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2022 독일 하노버메세 인사이트 Wrap-up 세미나'가 열린다.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2일까지 열린 독일 하노버메세는 최대 규모의 산업 박람회다. 올해는 디지털 대전환과 지속가능성이라는 주제로 세계 60여개국의 2500개 기업이, 8000여개의 제품을 전시했다. 세미나에서는 제조 혁신 분야의 첨단 제품과 최신 기술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는 비즈니스의 장이었던 이번 하노버메세 전시회를 7인의 전문가들의 시선을 통해 리뷰하고, 인사이트를 공유한다. 오프닝 세션에서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윤정섭 부연구위원과 KAIST 장영재 교수가 각각, 올해 열린 세계 3대 박람회를 통해 본 미래 트렌드와 하노버메세 산업박람회 개관을 주제로 발표한다. 이후 한국 GAIA-X 전문가위원회 김인숙 위원장이 '4차 산업혁명과 MaaS'를 주제로 발표하고, MakinaRocks 윤성호 대표가 'AI in Hannover Messe 2022'라는 제목으로 발표한다. Backhoff Automation의 유기석 대표는 Beckhoff의 Automation Solution in HM22라는 제목으로, 포메이션랩스의 박병승 대표는 지속가능한 제조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3D 비전 솔루션 기업 픽잇코리아(이하 픽잇)가 자사 3D 비전 어플리케이션을 소개한다. 픽잇은 오는 21일(화) 오전 10시 30분부터 한 시간 동안 온라인 세미나를 열고, 자사 로봇 자동화 솔루션과, 솔루션이 적용된 사례를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제조업의 생산 현장이 스마트팩토리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로봇 기술 등이 폭넓게 활용되고 있지만, 완전한 자동화 단계에 이르기에는 아직 많은 숙제가 남아 있다. 픽잇은 스마트팩토리를 3D 비전으로 완성할 수 있다고 본다. 픽잇은 3D 비전 솔루션을 기반으로 매년 높은 성장률을 달성하며, ‘3D 비전 플랫폼 기업’으로 진화하고 있다. 픽잇은 이번 웨비나를 통해 지난 3년간 한국시장에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고객에 소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3D비전이 적용될 수 있는 로봇자동화 공정 및 어플리케이션, 빈피킹(bin-picking), 디팔레타이징(Depalletizing), 로봇가이던스(Robot - Guidance), 샌딩/폴리싱(Sanding, Polishing), 용접(Welding), 볼트/스크류 체결(Bolting/Screw-Driving)등 사례를 소개할 예정이다. 온라인 세미나는 두비즈 홈페이지에서…
3D 비전 솔루션 기업 픽잇코리아(이하 픽잇)가 자사 3D 비전 어플리케이션을 소개한다. 픽잇은 오는 21일(화) 오전 10시 30분부터 한 시간 동안 온라인 세미나를 열고, 자사 로봇 자동화 솔루션과, 솔루션이 적용된 사례를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제조업의 생산 현장이 스마트팩토리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로봇 기술 등이 폭넓게 활용되고 있지만, 완전한 자동화 단계에 이르기에는 아직 많은 숙제가 남아 있다. 픽잇은 스마트팩토리를 3D 비전으로 완성할 수 있다고 본다. 픽잇은 3D 비전 솔루션을 기반으로 매년 높은 성장률을 달성하며, ‘3D 비전 플랫폼 기업’으로 진화하고 있다. 픽잇은 이번 웨비나를 통해 지난 3년간 한국시장에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고객에 소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3D비전이 적용될 수 있는 로봇자동화 공정 및 어플리케이션, 빈피킹(bin-picking), 디팔레타이징(Depalletizing), 로봇가이던스(Robot - Guidance), 샌딩/폴리싱(Sanding, Polishing), 용접(Welding), 볼트/스크류 체결(Bolting/Screw-Driving)등 사례를 소개할 예정이다. 온라인 세미나는 두비즈 홈페이지(ht
ADI uModule Power 제품을 소개하는 웨비나가 열린다. 길라닉스는 '쉽고 간편한 고성능 전원 설계 Analog device uMODULE'을 주제로, 6월 15일(수) 오후 2시부터 한 시간 동안 온라인 세미나를 개최한다. 최근 고성능 SoC, FPGA, GPU 및 AI chipset에 필요한 고전력 전원이 날로 중요해지고 있다. 길라닉스는 이번 웨비나에서 이를 쉽고 간편하게 만족시키기 위해 ADI의 오랜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해 만든 uModule 제품을 소개한다고 밝혔다. 파워 모듈을 처음 경험하는 사용자를 위해 ADI uModule이 무엇인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품질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패키지 별 리뷰를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할 예정이다. 또한 길라닉스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원 제어 및 모니터링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제품 소개를 통해 좀 더 쉽고 신뢰성 높은 전원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솔루션을 소개한다. 해당 웨비나는 두비즈 홈페이지에서 사전등록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ADI uModule Power 제품을 소개하는 웨비나가 열린다. 길라닉스는 '쉽고 간편한 고성능 전원 설계 Analog device uMODULE'을 주제로, 6월 15일(수) 오후 2시부터 한 시간 동안 온라인 세미나를 개최한다. 최근 고성능 SoC, FPGA, GPU 및 AI chipset에 필요한 고전력 전원이 날로 중요해지고 있다. 길라닉스는 이번 웨비나에서 이를 쉽고 간편하게 만족시키기 위해 ADI의 오랜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해 만든 uModule 제품을 소개한다고 밝혔다. 파워 모듈을 처음 경험하는 사용자를 위해 ADI uModule이 무엇인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품질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패키지 별 리뷰를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할 예정이다. 또한 길라닉스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원 제어 및 모니터링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제품 소개를 통해 좀 더 쉽고 신뢰성 높은 전원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솔루션을 소개한다. 해당 웨비나는 두비즈 홈페이지(https://dubiz.co.kr/Event/74)에서 사전등록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이하 연구원)은 오는 7월 8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사파이어홀에서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재사용·재제조·재활용 기술 개발과 민간사업 확대 방안' 세미나를 온·오프라인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사용후 배터리는 전기차 등에서 사용한 후 신품 배터리 대비 완충 용량이 70% 정도 하락하면 배출되는 배터리를 말한다. 사용후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활용한 기술이 상용화할 경우 신품 대비 30~50% 저렴한 가격으로 재공급이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전기항공, 전기이륜차, 전동휠체어 등 다양한 응용 제품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단순 폐기 시 발생하는 중금속에 의한 환경문제를 개선하면서 에너지자원 순환 경제 확산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에 환경부는 전기차의 판매량과 수명을 고려했을 때 2024년부터는 전기차의 사용후 배터리가 본격적으로 쏟아져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SNE리서치가 추계한 전 세계 전기차 폐차 대수는 2030년 414만대에서 2040년 4636만대로 많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배터리 용량 기준으로는 2030년 345GWh, 2040년 3455GWh 규모이고, 금액기준으로는 2030년 5558백만달러(6조원
오는 6월 17일 성공하는 인디 브랜드의 성장 부스터, 네이버 공식 물류대행 ‘품고’ 웨비나 개최 인디 브랜드의 성공적인 브랜딩 사례를 소개하는 웨비나가 개최한다. 최근 코로나19를 겪으며 물류 대란이 일어나고 있다. 이런 대란 속 성공하는 브랜드의 비밀은 무엇일까? 성공하는 인디 브랜드의 성장 부스터, 네이버 공식 물류대행 ‘품고’라는 주제로 개최되는 이번 웨비나는 ‘프랜차이즈를 이기는 스몰 브랜드의 힘’ 저자 박요철 작가와 품고 고은진 팀장이 연사로 참여한다. 박요철 작가는 인디 브랜드를 위한 실전 브랜딩 노하우라는 주제로 브랜딩이 필요한 이유, 실전 브랜딩, 베스트 케이스를 살펴볼 예정이다. 품고는 중소상공인(SME)들에게 재고관리, 보관, 배송 등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풀필먼트 테크 기업이다. 현재 다섯 곳, 총 1만 2천평 규모(약 3만 9600㎡)의 풀필먼트 센터를 운영 중이다 품고의 고은진 팀장은 품고의 사례를 통해 지속 가능한 브랜드의 실패 없는 물류 공식과, 브랜드를 완성하는 물류 차별화, 고객 사례를 소개한다. 오는 6월 17일 오후 2시부터 3시 20분까지 이번 웨비나는 매뉴팩처링티비에서 사전등록을 하고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헬로
제조 기업의 공급망 최적화(Supply Chain Optimization, 이하 SCM) 전략을 공유하는 웨비나가 열린다. 산업 전문 웨비나 플랫폼 '산업을 바꾸는 시간(이하 산바시)'과 SCM 전문 전시회 'SCM FAIR'가 공동으로 기획한 세미나 '슬기로운 스마트SCM 구축하기 #1'가 6월 10일 오전 10시 30분 온라인에서 개최된다. 최근 산업 생태계의 특징인 수요·공급 불확실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요구되는 디지털 전환 전략에서는 효율적인 SCM 전략이 필수적이다. 이에 산바시와 SCM FAIR는 웨비나를 열고, 기업들의 스마트 SCM 구현에 필수적인 솔루션과 서비스를 소개해 기업들의 경쟁력 확보를 지원한다. 이번 웨비나에는 경기반월시화스마트그린산단사업단의 조병걸 단장이 연사로 참여한다. 반월·시화 산업단지는 산업통상자원부 및 지자체의 지원을 바탕으로 첨단산업을 선도하는 반월시화 스마트그린산업단지로 떠오르고 있다. 2021년 8월 국내 최초로 반월시화 스마트 물류플랫폼을 오픈해, 입주기업이 주문, 운송, 창고관리, 정산 업무까지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는 물류 통합 ERP를 무료로 서비스 중이다. 조병걸 단장은 제조기업에 스마트 물류가 필요
제조 기업의 공급망 최적화(Supply Chain Optimization, 이하 SCM) 전략을 공유하는 웨비나가 열린다. 산업 전문 웨비나 플랫폼 '산업을 바꾸는 시간(이하 산바시)'과 SCM 전문 전시회 'SCM FAIR'가 공동으로 기획한 세미나 '슬기로운 스마트SCM 구축하기 #1'가 6월 10일 오전 10시 30분 온라인에서 개최된다. 최근 산업 생태계의 특징인 수요·공급 불확실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요구되는 디지털 전환 전략에서는 효율적인 SCM 전략이 필수적이다. 이에 산바시와 SCM FAIR는 웨비나를 열고, 기업들의 스마트 SCM 구현에 필수적인 솔루션과 서비스를 소개해 기업들의 경쟁력 확보를 지원한다. 이번 웨비나에는 경기반월시화스마트그린산단사업단의 조병걸 단장이 연사로 참여한다. 반월·시화 산업단지는 산업통상자원부 및 지자체의 지원을 바탕으로 첨단산업을 선도하는 반월시화 스마트그린산업단지로 떠오르고 있다. 2021년 8월 국내 최초로 반월시화 스마트 물류플랫폼을 오픈해, 입주기업이 주문, 운송, 창고관리, 정산 업무까지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는 물류 통합 ERP를 무료로 서비스 중이다. 조병걸 단장은 제조기업에 스마트 물류가 필요
5월 25일 오후 2시 'AutoStore는 스마트물류의 타임라인' 웨비나 개최 물류 자동화 기업 아세테크가 물류센터 자동화 솔루션의 '끝판왕' 오토스토어(AutoStore) 시스템을 소개한다. 아세테크는 두비즈를 통해 오는 25일 오후 2시 'AutoStore는 스마트물류의 타임라인'이라는 제목으로 온라인 세미나를 연다고 밝혔다. 이커머스의 폭발적인 성장과 함께 풀필먼트 센터도 급증하고 있다. 오토스토어는 전 세계 35개국에 자동 창고용 로봇 2만대 가량을 판매한 글로벌 기업이다. 물류관리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는 오토스토어의 시스템은 대기업에서 최근 중소기업에도 적극 도입되고 있다. 웨비나에서는 스마트 물류를 선도하고 있는 오토스토어 시스템을 통해 기존의 물류센터가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기업에 도입할 경우 어떤 점을 확인해야 하는지 등 내용이 다뤄질 예정이다. 아세테크 측은 "스마트물류, 풀필먼트 센터, 물류센터의 변화에 관심있는 많은 분들과 함께하는 자리가 되었으면 한다"고 전했다. 웨비나는 두비즈 홈페이지에서 사전등록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5월 25일 오후 2시 'AutoStore는 스마트물류의 타임라인' 웨비나 개최 물류 자동화 기업 아세테크가 물류센터 자동화 솔루션의 '끝판왕' 오토스토어(AutoStore) 시스템을 소개한다. 아세테크는 두비즈를 통해 오는 25일 오후 2시 'AutoStore는 스마트물류의 타임라인'이라는 제목으로 온라인 세미나를 연다고 밝혔다. 이커머스의 폭발적인 성장과 함께 풀필먼트 센터도 급증하고 있다. 오토스토어는 전 세계 35개국에 자동 창고용 로봇 2만대 가량을 판매한 글로벌 기업이다. 물류관리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는 오토스토어의 시스템은 대기업에서 최근 중소기업에도 적극 도입되고 있다. 웨비나에서는 스마트 물류를 선도하고 있는 오토스토어 시스템을 통해 기존의 물류센터가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기업에 도입할 경우 어떤 점을 확인해야 하는지 등 내용이 다뤄질 예정이다. 아세테크 측은 "스마트물류, 풀필먼트 센터, 물류센터의 변화에 관심있는 많은 분들과 함께하는 자리가 되었으면 한다"고 전했다. 웨비나는 두비즈 홈페이지(https://dubiz.co.kr/Event/70)에서 사전등록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AI를 활용한 국내 제조업 DX 전략 및 사례를 공유하는 웨비나가 개최된다. 5월 24일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두비즈에서 진행하는 이번 온라인 세미나는 스마트 제조 분야 석학과 SAS 제조 산업 전문가들이 함께한다. 성공적인 제조 현장 DX를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할까? 전문가들은 반도체, 소재, 화학, 중공업 분야 기업의 사례와 최신 SAS 분석 솔루션을 공유할 예정이다. 이번 세미나에는 서울대학교 박진우 주임교수, SAS Global Technology Practice 최병욱 디렉터, SAS Korea, Customer Advisory 최진모 수석이 연사로 참여한다. 박진우 주임교수는 '제조현장의 디지털 생산혁신과 스마트팩토리의 미래'라는 주제로 우리 제조업이 처한 현실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디지털 전환 전략, 스마트 공장의 미래 동향을 발표한다. 최병욱 디렉터는 '제조산업의 DX를 위한 준비사항 및 사례'를 통해 성공적인 DX를 위한 준비사항, 제조 분석 플랫폼 구축을 위한 전략 방향, 반도체 소재 화학 분야의 사례를 공유한다. 최진모 수석은 '빅데이터 분석과 비즈니스 활용 방안'이라는 제목으로 텍스트 분석의 유형과 방법론, ML 알고리즘을 적용한 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