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4회 국제조선·해양산업전(KORMARINE 2025) 에머슨 부스에서는 파이프를 열지 않고도 흐름과 상태를 읽는 방법을 눈앞에서 풀어냈다. 관을 흐르는 유량은 코리올리 유량계가 직접 질량으로 잡고, 배관의 온도와 두께 변화는 외부에서 센서를 대기만 해도 추적하는 구성을 보여줬다. KORMARINE 2025는 이달 21일부터 24일까지 부산 해운대구 소재 전시장 벡스코에서 열렸다. 해당 전시회는 1980년 첫 회 이후 격년으로 이어온 대표 조선·해양 비즈니스 플랫폼이다. 올해는 산업통상자원부·부산광역시·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KOSHIPA)·한국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KOMEA)·RX K. Fairs·벡스코가 공동 주최·주관했다. 전시장에는 전 세계 40개국 소재 약 1000개 업체가 2100개 부스를 꾸렸다. 이번 전시회는 ‘연료·전력·데이터’ 전환을 실행 가능한 솔루션 중심으로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췄다. 에머슨은 공정·해양 현장에 계측과 제어 솔루션을 공급하는 중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마이크로모션(Micro Motion) 코리올리 유량계와 로즈마운트(Rosemount) 계측 라인업을 중심으로 연료 관리와 설비 상태 모니터링의 흐름을 묶어 제시했다. 코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는 산업 및 통신용 버스 전압, 72V 배터리 시스템, 110V AC 라인 전원 장비 등에 최적화된 하프 브리지 GaN(Gallium Nitride) 게이트 드라이버 STDRIVEG210과 STDRIVEG211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신제품은 최대 220V의 레일 전압을 지원하며, 선형 레귤레이터를 내장해 하이사이드와 로우사이드 모두에서 6V 게이트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분리된 싱크(Sink) 및 소스(Source) 경로를 통해 정밀한 제어와 최적의 구동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STDRIVEG210은 서버 및 통신 전원공급장치, 배터리 충전기, 어댑터, 태양광 마이크로 인버터 및 옵티마이저, LED 조명, USB-C 전력 소스 등 다양한 전력 변환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공진형 및 하드 스위칭(Hard-Switching) 토폴로지 모두에 적용 가능하며, 300ns의 빠른 시동 시간으로 간헐 동작(버스트 모드) 시 웨이크업 지연을 최소화한다. STDRIVEG211은 과전류 감지 및 스마트 셧다운 기능을 갖춰 전원공급장치는 물론 전동 공구, 전기 자전거, 펌프, 서보 모터 드라이브, 클래스 D 오디오 증폭기 등 다양한 응용
아트라스콥코가 탱크에서 자연 기화되는 가스를 버리지 않고 연료로 다시 돌리는 순환 체계를 공개했다. 제24회 국제조선·해양산업전(KORMARINE 2025)에서 관련 패키지 모형을 통해 처리 흐름을 참관객에게 제시했다. KORMARINE 2025는 이달 21일부터 24일까지 부산 해운대구 소재 전시장 벡스코에서 열렸다. 해당 전시회는 1980년 첫 회 이후 격년으로 이어온 대표 조선·해양 비즈니스 플랫폼이다. 올해는 산업통상자원부·부산광역시·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KOSHIPA)·한국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KOMEA)·RX K. Fairs·벡스코가 공동 주최·주관했다. 전시장에는 전 세계 40개국 소재 약 1000개 업체가 2100개 부스를 꾸렸다. 이번 전시회는 ‘연료·전력·데이터’ 전환을 실행 가능한 솔루션 중심으로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번에 출격한 아트라스콥코는 에너지·화학·조선 공정용 가스 압축 장비를 공급하는 가스앤프로세스(Gas & Process) 사업부를 필두로 한 기술을 소개했다. 전시의 하이라이트는 액화천연가스(LNG) 탱크에서 자연 기화로 발생하는 기수인 보일오프가스(BOG)를 다루는 장치다. LD 컴프레서(Low Duty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수리온 헬기와 T-50/TA-50/FA-50 골든이글 고등훈련기 및 경공격기에 탑재될 T700 및 F404 엔진 키트 추가 구매 계약을 GE에어로스페이스와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T700 엔진 키트 88대와 F404 엔진 키트 40대를 공급받는다. 리타 플래허티 GE에어로스페이스 디펜스&시스템즈(D&S) 사업부 세일즈 및 사업개발 부사장은 “GE에어로스페이스는 검증된 첨단 엔진 솔루션을 통해 수리온과 T/FA-50 골든이글 등 한국의 독자 개발 군용기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다”며 “이번 발표는 GE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오랜 파트너십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사례로 앞으로도 긴밀한 협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김선 항공사업부장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KF-21, T-50, KUH 수리온 등 한국 주요 군용 항공기의 엔진 생산을 통해 항공엔진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과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며 “이번 구매를 통해 GE에어로스페이스와의 협력이 더욱 공고해져 양사가 함께 한국 항공산업 발전과 방위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
·Arm, OCP 이사회 합류와 FCSA 공개로 개방형 AI 인프라 표준화 주도 ·하루 40억 AI 쿼리·16ZFlops 시대에 대응한 전력 효율 중심 아키텍처 제시 ·한국 기업과 협력해 AI 추론 칩 ‘리프로그’ 개발, 맞춤형 반도체 생태계 강화 Arm이 지난 21일 서울 파르나스호텔에서 ‘Arm Unlocked’ 미디어 브리핑을 열어 오픈 컴퓨트 프로젝트(Open Compute Project, OCP) 이사회 합류와 차세대 AI 데이터센터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AI 인프라의 폭발적 성장 속에서 전력 효율과 맞춤형 실리콘 개발 속도를 높이기 위한 Arm의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한 자리였다. 기조 발표를 맡은 에디 라미레즈 Arm 인프라 사업부 시장 진입 전략 부사장은 “AI 경제는 클라우드부터 엣지까지 전례 없는 성능과 효율성을 요구하고 있다”며 “이제는 범용 서버에서 AI 전용 랙 시스템과 대규모 클러스터로 전환하는 시점에 있다”고 말했다. 그는 Arm의 인프라 제품군이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며 “지금까지 10억 개 이상의 Neoverse 코어가 글로벌 데이터센터에 출하됐다”고 밝혔다. 라미레즈 부사장은 AI 인프라의 급격한 확산이 에너지 수요를
제24회 국제조선·해양산업전(KORMARINE 2025)에 등판한 비파워는 중국 소재 전기 커넥터 및 단자대 제조 업체 SUPU사의 기술을 들고 나왔다. 표준 금속 레일인 DIN rail 단자대와 분체도장 인클로저를 소개하며, 염분과 진동이 강한 구간에서 배선 식별과 점검 접근성을 끌어올리는 방식을 실물로 시연했다. KORMARINE 2025는 이달 21일부터 24일까지 부산 해운대구 소재 전시장 벡스코에서 열렸다. 해당 전시회는 1980년 첫 회 이후 격년으로 이어온 대표 조선·해양 비즈니스 플랫폼이다. 올해는 산업통상자원부·부산광역시·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KOSHIPA)·한국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KOMEA)·RX K. Fairs·벡스코가 공동 주최·주관했다. 전시장에는 전 세계 40개국 소재 약 1000개 업체가 2100개 부스를 꾸렸다. 이번 전시회는 ‘연료·전력·데이터’ 전환을 실행 가능한 솔루션 중심으로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췄다. 비파워는 국내에서 SUPU와 파트너십을 맺고 단자대·인클로저·액세서리를 국내 시장에 공급한다. 데모의 핵심은 DIN rail이다. 제어반 내부에서 모듈을 끼워 고정하는 표준 금속 레일이다.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의
유니티가 전 세계 게임 개발자들이 유니티 엔진 내 단일 대시보드에서 글로벌 커머스와 카탈로그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을 출시했다고 23일 밝혔다. 기존에는 플랫폼별로 서로 다른 SDK, 정책, 정산 시스템을 개별적으로 관리해야 했지만, 이번 신규 기능을 통해 개발자들은 특정 플랫폼의 제약에서 벗어나 모바일 앱 마켓, 웹, PC 전반에서 결제 서비스 제공업체를 통합 관리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시장별 맞춤 운영, 가격 및 프로모션 관리, 라이브 서비스 조정 등을 단일 인터페이스에서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전 세계 모바일 게임 인앱 결제 시장 규모는 1200억 달러 이상으로 추정되며, 이 중 상당수가 유니티 기반으로 제작된 게임에서 발생하고 있다. 유니티의 이번 통합 커머스 기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글로벌 디지털 커머스 시장에서 게임 개발자의 수익화 전략을 단순화하고, 다양한 플랫폼 간의 연결성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맷 브롬버그 유니티 사장 겸 CEO는 “전 세계 인앱 결제의 상당 부분이 유니티로 제작된 게임에서 발생하고 있다”며 “이제 개발자들은 모든 플랫폼과 디바이스에 걸쳐 통합된 커머스 환경을 직접 관리하고 최적화할 수 있
티유브이슈드(TUV SUD)는 오는 11월,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SBTi(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 과학기반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 승인 준비 과정과 유럽 차량 안전 규제인 UN-R21(Interior Fittings, 내부돌기) 레벨 1 교육을 새롭게 개설한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글로벌 기후 목표와 유럽 안전 규제에 대한 국내 기업의 대응 역량을 높이기 위한 실무 중심 프로그램으로, 급변하는 국제 기준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UN-R21 과정은 차량 내부 장비의 안정성 평가를 위한 교육으로, 완성차 제조사와 협력사를 대상으로 유럽 ECE 인증 획득에 필요한 전문 지식과 실무 능력을 제공한다. 이 규격은 급정차나 충돌 시 탑승자의 신체 손상을 방지하고, 전동식 장치로 인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교육 참가자는 관련 법규 구조와 평가 항목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부품 개발 단계에서 안전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 SBTi 과정은 전 세계 기업이 파리기후협정 목표(지구 평균온도 상승 1.5°C 이내)를 달성하기 위한 과학기반 탄소 감축 목표
원/달러 환율은 23일 한국은행의 금리 결정을 앞두고 1430원대로 개장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13분 현재 전 거래일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보다 3.5원 오른 1433.3원을 나타냈다. 환율은 전날보다 2.0원 오른 1431.8원에 개장해 1430원대 중반을 향해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 위험자산 회피 분위기와 한미 관세 협상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환율에 상승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이날 워싱턴 DC에 있는 미 상무부 청사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약 2시간 동안 만났다. 협상 테이블에는 미국 측이 전액 선불을 원하는 3500억 달러 대미 투자 패키지 구성이 의제에 올랐을 것으로 알려졌다. 김 실장은 만남 직후 “일부 진전이 있었다”며 “논의를 더 해야 한다”고 말했다. 블룸버그는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직접투자·대출·보증이 혼합된 균형 잡힌 투자의 구성을 협상하는 데 주력한다는 취지로 인터뷰했다고 전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오전 금리 방향을 결정한다. 시장은 집값과 환율 문제로 7·8월에 이어 3연속 연 2.5
씨이랩이 ‘국제 컴퓨터 비전 학회(ICCV) 2025’에서 열린 ‘AI 시티 챌린지(AI City Challenge)’에서 글로벌 4위를 차지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대회는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개최됐으며, 교통 및 스마트시티 환경에서 수집된 실제 도시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영상분석 기술의 정확도와 실시간 처리 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세계 최고 권위의 AI 경진대회다. 씨이랩이 참가한 트랙 4(Road Object Detection in Fish-Eye Cameras)는 어안(Fisheye)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에서 차량과 보행자를 실시간 탐지하는 기술을 평가하는 과제로, 엣지 디바이스 환경에서 초당 10프레임(FPS) 이상의 성능을 요구하는 까다로운 부문이다. 해당 부문은 참가 팀 수가 가장 많고 글로벌 유수 연구기관 및 기업 간 기술 경쟁이 치열하게 검증된 핵심 트랙으로 꼽힌다. 스마트시티 및 교통 분야는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해 어안 카메라를 확대 도입하고 있으나, 주변부 왜곡으로 인해 객체 인식률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서버 중심 분석 방식은 비용과 지연이 커 현장(엣지) 단에서의 경량·실시간 처리 기술이 핵심 과제로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가 EPC, 플랜트&인프라, 데이터센터 산업 고객을 대상으로 ‘이노베이션 데이(Innovation Day: EcoStruxure for Contractors, Seoul 2025)’를 개최한다. 전 세계 산업 시장에서 디지털 전환과 탈탄소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지속가능성과 효율성 확보를 위한 기술 혁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EPC 및 플랜트 산업은 탄소중립 목표에 맞춘 설계·시공 역량과 에너지 효율 중심의 스마트 인프라 구축 전략이 필수이며, 데이터센터 산업 또한 AI·클라우드·빅데이터 수요 증가에 따라 고밀도 전력 인프라 및 냉각 시스템의 고도화와 함께 에너지 절감형 기술이 중요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열리는 이번 ‘이노베이션 데이’는 디지털 기반의 스마트 솔루션과 글로벌 시장 전략을 공유하며, 고객이 급변하는 산업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자리다. 행사는 11월 13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 웨스틴 서울 파르나스 호텔 아틀라스홀에서 진행되며, 총 9개의 기술 세션과 함께 다양한 솔루션 전시 및 네트워킹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이번 행사에서 슈나이더 일렉트릭
배터리·전기차·반도체 산업 대응 위한 실부하 시험 환경 자체 구축 청주 PT&T와 시너지로 QDC 경쟁력 강화, 제품 개발 효율 극대화 LS일렉트릭이 자사 자동화 및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의 글로벌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를 완성했다. 천안사업장에 위치한 ‘R-센터(Reliability Center)’가 한국인정기구(KOLAS)로부터 공인시험기관 인정을 취득하며, 국내 제조 신뢰성 검증 체계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됐다. KOLAS 공인시험기관 인증은 시험기관의 조직, 설비, 인력 등이 국제표준(ISO/IEC 17025)에 부합함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제도다. 이번 인증을 통해 LS일렉트릭은 시험 결과의 국제적 신뢰도를 확보함은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 제품 신뢰성 검증 능력을 인정받게 됐다. LS일렉트릭은 약 140억 원을 투입해 올해 초 천안사업장에 3,938㎡ 규모의 R-센터를 완공했다. 이곳에는 약 400여 종의 첨단 시험장비가 구축돼 있으며, 극한 온도·습도·진동 환경에서도 제품 성능을 검증할 수 있는 시험실을 포함한다. 특히 10m급 EMC(전자기적합성) 챔버와 1000HP 모터 부하시험 설비를 갖춰, 전력변환장치(Drive)와 제어 시스
DGIST 에너지공학과 이주혁 교수팀이 금오공과대학교 이원호 교수팀과 공동으로 마찰대전 발전 소재의 핵심 성질인 ‘극성(極性)’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설계 전략을 세계 최초로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고분자 전해질(polymer electrolytes)을 활용해 극성 방향을 구조적으로 조절하고, 장기 내구성까지 향상시킨 것이 핵심이다. 마찰대전 발전 기술은 마찰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배터리 없이도 전력을 만들어낼 수 있어 친환경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이온성 액체 기반 소재는 누액, 환경 불안정성, 내구성 저하 등으로 인해 상용화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온이 고분자 사슬에 고정된 형태의 ‘고분자 전해질’을 새롭게 설계하고, 이를 이용해 마찰대전 극성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플랫폼 개념을 제안했다. 이 접근법은 출력 향상뿐만 아니라 소재 설계의 유연성까지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실험 결과, 양이온성을 가진 고분자 전해질 P(MA-A⁺20)TFSI⁻는 기존 소재(PMA) 대비 약 2배 높은 83V의 출력을 기록했고, 음이온성을 가진 P(S-S⁻10)Na⁺는 기
HMM — 컨테이너 업황 하락세 지속, 공급 축소가 관건 신한투자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HMM(011200)은 2025년 매출 10조 6,667억 원(-8.8% YoY), 영업이익 1조 3,586억 원(-61.3% YoY), 영업이익률 12.7%로 전망된다. 3분기 실적은 매출 2조 6,915억 원(-24.2% YoY), 영업이익 3,443억 원(-76.4% YoY)으로 컨테이너선 시황 둔화의 영향을 받았다. 신한투자증권은 “운임 급등 효과가 일부 반영됐으나, 시황 부진은 4분기에도 이어질 전망”이라며 “공급 조절 여부가 단기 손익의 핵심 변수”라고 분석했다. 현재 HMM의 밸류에이션은 12개월 선행 PBR 0.79배, EV/EBITDA 5.9배 수준으로 글로벌 경쟁사 평균을 소폭 상회한다. 보고서는 “SCFI(상하이운임지수) 1,000pt 방어가 이익 안정화의 기준선이 될 것”이라며 중립 의견을 유지했다. SK바이오팜 — 엑스코프리 고성장 지속, 영업이익률 26% 돌파 전망 DS투자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SK바이오팜(326030)은 2025년 매출 6,992억 원(+27.7% YoY), 영업이익 1,831억 원(+90.2% YoY), 영업이익률 26.2%를 달
제24회 국제조선·해양산업전(KORMARINE 2025) 현장, 삼사원은 스위스 Trimod Besta의 기계식 레벨 스위치와 영국 Helical Technology의 밸브 로테이터를 한 부스에 묶어 전시했다. 이들은 과충전·저액위 사고 예방과 대형 엔진 마모 저감 해법을 동시에 제시했다. KORMARINE 2025는 이달 21일부터 24일까지 부산 해운대구 소재 전시장 벡스코에서 열렸다. 해당 전시회는 1980년 첫 회 이후 격년으로 이어온 대표 조선·해양 비즈니스 플랫폼이다. 올해는 산업통상자원부·부산광역시·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KOSHIPA)·한국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KOMEA)·RX K. Fairs·벡스코가 공동 주최·주관했다. 전시장에는 전 세계 40개국 소재 약 1000개 업체가 2100개 부스를 꾸렸다. 이번 전시회는 ‘연료·전력·데이터’ 전환을 실행 가능한 솔루션 중심으로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췄다. 삼사원은 산업용 계측·부품을 국내에 공급하는 유통사다. 스위스 소재 Bachofen AG의 레벨 브랜드 ‘Trimod Besta’와 영국 밸브 로테이터 제조사 ‘Helical Technology’의 국내 파트너사로 활동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