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31일 매개변수(패러미터) 최대 2000억 개 수준의 초거대 인공지능(AI) '믿음'(Mi:dm)을 선보였다. KT는 이날 서울 서초구 KT 연구개발센터에서 기자설명회를 열어 국내 최초로 1조 토큰(데이터에서 의미를 가지는 최소한의 덩어리) 이상 데이터를 학습한 거대언어모델(LLM) '믿음'을 정식 공개했다. '믿음' 출시 모델은 매개변수 70억 개 수준의 '경량'부터 거대언어모델 'GPT-3'(1750억 개)보다 매개변수가 250억 개 이상 많은 '초대형'까지 4종으로 분류됐다. 이 중 외부에 완전히 개방한 경량 모델의 경우 AI 스타트업 '업스테이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개발한 거대언어모델 평가 플랫폼 '오픈 코-LLM 리더보드'에서 최상위권에 들기도 했다. KT는 기업 규모와 사용 목적에 맞게 완전 맞춤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믿음'의 기반 모델(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방했으며, 'KT 믿음 스튜디오'라는 전용 포털에서 직접 모델을 선택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축했다. 난제로 꼽히는 '환각 현상'(할루시네이션) 해결에도 공을 들였다. KT는 '믿음'에 도식화되고 복잡한 문서를 정확히 이해하도록 돕는 '다큐먼트 AI', 목표
소방청 산하 한국소방산업기술원서 진행된 화재감지기능 시험에 대한 의뢰시험성적서 획득 경기도 성남시 판교 제2테크노밸리에 본사를 두고 있는 에바가 ‘스마트 EV 차저2.0’이 소방청 산하 한국소방산업기술원에서 진행된 화재감지기능 시험에 대한 의뢰시험성적서를 획득했다고 31일 밝혔다. 에바 측은 “이는 불꽃감지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대해 시험한 결과로, 업계 최초로 한국소방산업기술원에서 발행한 공인된 시험성적서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에바의 ‘스마트 EV 차저2.0’ 은 다이나믹 로드 밸런싱 기술을 통해 전기차 충전 인프라 보급 확산에 이바지할 수 있다고 높이 평가받고 있는 7Kw 완속 충전기다. 업계 최초 스마트화재감지 솔루션을 탑재해 지난 5월 출시돼 현재 전국적으로 공급 중에 있으며, 2023년 2차 대한민국 조달청 혁신시제품으로 지정된 바 있다. 기존 충전기들은 충전기 내부 온도 정도만 살폈다면, 에바의 스마트화재감지 솔루션은 2배 이상의 센서를 탑재하여 불꽃, 온도, 적외선 파장 등의 요소들을 센싱해 전기차 화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화재 발생과 동시에 충전기 작동이 즉시 중지되고 주변 충전기의 작동도 중단시킨다. 이어 관제센터에
진화하는 데이터센터 환경…전력, 냉각, 랙 및 소프트웨어 등 물리적 인프라 설계 조정 중요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AI데이터센터 설계 지침을 담은 백서를 발표했다. 인공지능의 발전은 데이터센터 설계 및 운영에 있어 중대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인공지능이 의료, 금융 제조, 운송 및 엔터테인먼트 산업 분야까지 확대되면서 인공지능의 처리 능력에 대한 수요도 증가세에 있다. 데이터센터는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전력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최적화된 데이터센터를 설계할 수 있는 지침서 ‘AI 혁신: 데이터센터를 설계하는 지침을 담은 백서’를 공개했다. 백서는 혁신적인 개념과 모범 사례를 소개하여 통찰력을 제공하고 있다. 고밀도 AI 클러스터를 지원하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전망을 포함하고 있어, 데이터센터 내에서 AI를 최대한 활용하고자 하는 기업에 포괄적인 청사진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백서에 따르면, 인공 지능 워크로드는 2028년까지 연평균 복합 성장률(CAGR) 26~36%에 달한다. 이에 따라 기존 데이터 센터와 신규 데이터 센터의 전력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력 소비는 랙 전력 증가로 이어진다. 슈나이더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32핀의 듀얼-인라인 몰딩 스루홀(Dual-Inline, Molded, Through-Hole) 패키지 기반의 SiC(Silicon Carbide) 전력 모듈 제품군인 ACEPACK DMT-32를 출시해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고 31일 밝혔다. 이 제품군은 온보드 충전기(On-Board Charger, OBC)와 DC/DC 컨버터, 유체 펌프 및 에어컨과 같은 시스템을 대상으로 하며, 높은 전력 밀도와 매우 컴팩트한 설계 및 어셈블리 간소화 등의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4팩, 6팩, 토템폴(Totem-Pole) 구성으로 제공되므로 시스템 설계자들은 유연하게 필요한 구성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모듈은 낮은 RDS(on) 값을 보장하는 ST의 최첨단 2세대 및 3세대 SiC MOSFET 기술이 적용된 1200V SiC 전력 스위치를 갖추고 있다. 이 디바이스는 온도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인 스위칭 성능을 제공해 컨버터 시스템 레벨에서 높은 효율성과 신뢰성을 보장해준다고 ST는 전했다. ST 관계자는 "ST의 ACEPACK 기술이 적용된 이 모듈은 전체 시스템 및 설계 개발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탁월한 신
SK텔레콤이 2030년 6.5조 규모로 성장이 예상되는 양자 센싱 시장에 출사표를 던진다. 13년간 축적한 양자 기술력과 AI컴퍼니의 AI 역량을 융합해 차별화된 양자 센싱 시스템을 선보일 예정이다. SK텔레콤(이하 SKT)은 부산항만공사와 함께 양자 센싱 기술이 적용된 양자 라이다(LiDAR)를 활용해 부산항만 보안 관제 실증을 완료했다고 31일 밝혔다. SKT와 부산항만공사는 양자 라이다를 활용해 부산 감천항 제2부두에서 부두 침입 및 밀항 방지를 위한 관제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운영했다. 양자 센싱은 레이저를 목표물에 비춘 후 반사되는 빛을 감지해 사물과의 거리 및 물성을 감지하는 기술이다. SKT는 빛의 최소 단위인 단일 광자 단위로 인식하는 SPAD(Single Photon Avalanche Diode, 단일 광자 포토 다이오드) 기술을 자체 개발해 적용했다. SKT가 개발한 양자 라이다는 광자 단위 인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로 위의 타이어나, 어두운 밤 검은 옷을 입은 보행자 등 빛의 반사도가 낮은 물체를 정확하게 탐지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빛의 파장을 분석해 가스 누출 여부와 농도, 종류, 위험성도 파악할 수 있다. 실제로 지난 8월 자동차안전
스트라드비젼이 전 세계 고객사를 대상으로 'SV 로드쇼 2023'을 개최했다고 31일 밝혔다. 10월 미국과 유럽을 시작으로 11월 일본, 중국 전역에서 진행되는 로드쇼에서는 자율주행 및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용 혁신 기술인 FrontVision, SurroundVision 및 MultiVision 등을 포함한 SVNet을 선보인다. 스트라드비젼이 선보이는 SVNet은 초경량 디자인과 뛰어난 효율성을 자랑하는데, 최소한의 컴퓨팅과 전력 소비로 딥 러닝 기반 객체 인식을 원활하게 통합한다. 이러한 첨단 솔루션은 18개 이상의 SoC(System-on-Chip) 플랫폼과 호환되며 30개 이상의 고유한 객체 인식 기능을 제공한다. 이 때문에 자동차 산업 내 레벨2 이상의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한 양산차 모델 프로젝트 시 필수적인 요소로 인정받고 있다. 아울러 스트라드비젼은 2024년 1월 라스베가스에서 열리는 CES2024에서 선보일 예정인 리뉴얼된 제품 라인업과 로드맵을 고객들에게 미리 공유했다. 김준환 스트라드비젼 대표는 역동적인 자율주행 및 ADAS 시장내 자동차 OEM 고객들의 첨단 기술 통합에 대한 수요를 언급하며 "스트라드비젼은 이러한 고객 니즈를
일본 도요타자동차의 2023 회계연도 상반기(2023년 4∼9월) 세계 신차 생산과 판매량이 각각 500만 대를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도요타자동차는 상반기 생산량이 전년 동기보다 12.8% 증가한 505만8248대로 집계됐다고 30일 발표했다. 기존 최다였던 2019년도 상반기(455만 대)를 웃돌며 4년 만에 상반기 기준 최고치를 경신했다. 교도통신은 세계적인 반도체 부족 현상이 완화하고 생산체제도 확충하면서 생산량이 늘었다고 분석했다. 도요타자동차의 올해 상반기 세계 판매량도 전년 동기보다 9.1% 증가한 517만2387대로 상반기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해외 수요 증가에 힘입어 판매량은 기존 최다였던 2019년 상반기(495만 대)를 넘어섰다. 도요타는 2020년 5년 만에 세계 자동차 판매 대수 1위에 복귀한 이후 지난해까지 3년 연속 1위를 유지했다. 도요타 등 일본 주요 완성차업체 8개사 가운데 7곳의 상반기 생산량은 전년 동기보다 늘었다. 하지만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에서는 일본 업체 판매량이 오히려 줄었다. 현지 방송 NHK는 중국에서 자동차를 판매하는 일본 업체 6곳 중 5곳의 중국 내 판매량이 해당 기간 감소했다고 전했다
과기정통부 주관으로 2024년부터 2033년까지 10년간 5303억4000만 원 투입 2032년 달에 착륙할 독자 탐사선을 만드는 '달 탐사 2단계(달 착륙선 개발)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주영창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주재로 '2023년 제12회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를 열어 지난해 제3차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 대상으로 선정된 이 사업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달 탐사를 목적으로 착륙 예상지 주변의 장애물을 탐지해 회피하고, 정밀한 연착륙을 자율 수행하는 1.8t급 달 착륙선을 독자 개발하는 게 목표다. 사업은 과기정통부가 주관하며 2024년부터 2033년까지 10년간 5303억4000만 원을 투입한다. 당초 신청한 2024년부터 9년간 6184억4600만 원 대비 기간은 1년 늘고 예산은 881억600만 원 줄었다. 지난 4월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에 선정되면서 예타 통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평가받았다. 착륙선은 지난해 예타를 통과해 개발 중인 차세대 발사체를 통해 2032년에 발사된다. 이번 사업에서는 2028년 착륙선 설계를 완료하고 2031년에는 연착륙 임무를 수행하는 연착륙 검증선을 우선 차세
산업전문미디어 (주)첨단이 다가오는 11월 CAD·CAM·CAE와 같은 제조 자동화 설계 소프트웨어부터 제조 혁신을 위한 관리 프로세스, 지능형 협동 로봇, 머신비전 등 현재 산업에서 주시하는 기술을 주제로 설정한 웨비나를 줄이어 개시한다. 오는 11월 산업계가 주목해야 할 온·오프라인 첨단 이벤트는 다음과 같다. (온라인) 자동화 설계 Autodesk Inventor i-Logic - 주제 : 고객 사례를 통한 Autodesk Inventor 자동화 설계 - Autodesk Inventor i-Logic 자세히 알아보기 - 일시 : 2023년 11월 2일(목) 오후 2시 ~ 오후 3시 - 참가등록 : https://dubiz.co.kr/Event/192 (온라인) DATA 기반 프로젝트 관리 솔루션, 부품 표준화 및 공용화 관리 솔루션 - 주제 : 프로젝트 매니저가 이야기하는 제조혁신 신개념 프로세스 - 일시 : 2023년 11월 8일(수) 오후 2시 ~ 오후 3시 - 참가등록 : https://dubiz.co.kr/Event/194 (온라인) 2023 한국평가데이터(KoDATA) 온라인 상품 설명회 - 주제 : 한방에 해결! 공공입찰 성공 패키지! 공공용
‘완벽한 제조 소프트웨어 : CAD/CAE/CAM’ 온라인 세미나 열려 김승택 ZWCAD KOREA Cax 융합기술팀장이 발표자로 나서 기술 및 솔루션 소개 산업 내 기술 및 인프라가 발전함에 따라 세밀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특히 제조 영역에서 두드러지는 현상인데, 기업은 제품 경쟁력 강화의 핵심 요소 중 하나로 공정 과정의 세밀화에 집중하고 있는 모양새다. 산업에서는 이를 통해 공정 효율화와 비용 절감 등 이점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줄을 잇는다. 이 과정에서 설계·시뮬레이션·가공 등 공정에 활용되는 CAD·CAE·CAM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해당 소프트웨어는 기계·제품·시트메탈·구조물·금형 등 기계 및 제조 분야에 공정 혁신을 가져다주는 솔루션으로 발전하면서 기대받고 있다. 해당 배경에서 오는 11월 15일 ‘완벽한 제조 소프트웨어 : CAD/CAE/CAM’ 온라인 세미나가 웨비나 플랫폼 두비즈(duBiz)에서 막을 올린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김승택 ZWCAD KOREA Cax 융합기술팀장이 기계 및 제조 영역의 니즈를 충족하기 위한 제조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시할 예정이다. 김승택 팀장은 금형·기계·제조 등 분야 기업이 설계 효율을 높이는
‘완벽한 제조 소프트웨어 : CAD/CAE/CAM’ 온라인 세미나 열려 김승택 ZWCAD KOREA Cax 융합기술팀장이 발표자로 나서 기술 및 솔루션 소개 산업 내 기술 및 인프라가 발전함에 따라 세밀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특히 제조 영역에서 두드러지는 현상인데, 기업은 제품 경쟁력 강화의 핵심 요소 중 하나로 공정 과정의 세밀화에 집중하고 있는 모양새다. 산업에서는 이를 통해 공정 효율화와 비용 절감 등 이점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줄을 잇는다. 이 과정에서 설계·시뮬레이션·가공 등 공정에 활용되는 CAD·CAE·CAM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해당 소프트웨어는 기계·제품·시트메탈·구조물·금형 등 기계 및 제조 분야에 공정 혁신을 가져다주는 솔루션으로 발전하면서 기대받고 있다. 해당 배경에서 오는 11월 15일 ‘완벽한 제조 소프트웨어 : CAD/CAE/CAM’ 온라인 세미나가 웨비나 플랫폼 두비즈(duBiz)에서 막을 올린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김승택 ZWCAD KOREA Cax 융합기술팀장이 기계 및 제조 영역의 니즈를 충족하기 위한 제조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시할 예정이다. 김승택 팀장은 금형·기계·제조 등 분야 기업이 설계 효율을 높이는
로지텍은 곡선형 디자인을 갖춘 인체공학 웨이브 무선 키보드 'Wave Keys'를 국내 정식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에 출시된 Wave Keys는 로지텍에서 처음 선보이는 독특하고 참신한 웨이브 디자인을 통해 한글 타이핑에 최적화된 인체공학적 레이아웃을 갖춘 키보드 제품이다. 기존의 인체공학 키보드는 가운데에 공백이 있는 분리형 키 프레임을 기반으로 ‘ㅜ’나 ‘ㅠ’와 같은 모음 입력 키캡이 서로 떨어져 있는 레이아웃으로 한글 타이핑에 적응하는 데에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 Wave Keys는 이와 달리 일체형 키 프레임을 도입해 한글 타이핑에 최적화돼 인체공학 키보드를 처음 사용하는 소비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많은 인기를 끌 것으로 예상된다. Wave Keys는 로지텍의 인체공학 제품 연구소 ‘에르고 랩(Ergo Lab)’에서 사용자의 신체 조건과 사용 패턴을 고려해 설계한 키보드 제품으로, 미국인체공학기관으로부터 인체공학 제품 인증을 획득했다. 유선형 레이아웃을 통해 팔과 손의 위치를 의식적으로 조정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제품 위에 놓을 수 있다. 소프트 폼 소재의 3중 구조 손목 받침대를 통해 손목을 편안하게 지지하며, 숫자 키를 포함한 풀
오비맥주는 '준법의 달(Compliance Month)'을 맞아 임직원의 컴플라이언스 역량을 강화하고 준법·윤리경영 내재화를 위해 다양한 준법 프로그램을 실시한다고 30일 밝혔다. 오비맥주는 2021년부터 매년 10월을 준법의 달로 정하고 임직원의 준법의식을 높이기 위한 활동을 펼쳐왔다. 올해는 '매일 올바르게 양조합니다'라는 슬로건 아래 10월 16일부터 11월 15일까지 온·오프라인 교육, 준법 OX퀴즈, 컴플라이언스 레터 발행 등 다양한 준법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임직원의 준법의식 함양을 위해 회사 규범과 정책에 대한 교육은 전 임직원 대상으로 실시된다. 교육 주제는 ▲업무수행준칙 ▲공정거래법 ▲부패방지법 ▲다양성과 인권 존중 ▲책임 있는 마케팅 및 커뮤니케이션 규정 등이다. 업무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 상황과 대처법을 애니메이션, 퀴즈 등을 통해 쉽게 설명해 실제 업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온라인 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준법 OX 퀴즈 이벤트'도 실시해 학습 내용을 복습하고 준법의식을 자가 점검할 수 있다. 오비맥주는 전 임직원에게 기밀 정보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고 경각심을 고취하기 위해 '정보 보호를 위한 임직원 행동 원칙'을 배포했다
현대엔지니어링이 내·외부 관계자들에게 스마트 건설 기술 및 장비를 소개하고 상호협력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2023 스마트 건설 기술 전시회'를 개최한다고 30일 밝혔다. 현대엔지니어링의 연구개발 전담 조직인 스마트기술센터가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현장 전시와 함께 온라인 전시도 동시에 진행되며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현장 전시는 10월 30일부터 31일까지 양일 간 현대엔지니어링 본사 1층에서 개최된다. 같은 기간 동안 온라인 전시관인 '스마트 기술 포털'도 열리며 현대엔지니어링 홈페이지를 통해 접속할 수 있다. 현장 전시에서는 ▲건설 현장에서 위험요소 및 화재 조기 감지나 소음 측정 등을 위해 투입되는 순찰 로봇인 '스팟(SPOT)' ▲건설 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BIM(건축정보모델,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각종 설계 정보를 토대로 설계 및 부재 선정을 해주는 '설계 자동화 시스템' 등의 스마트 건설 장비 및 기술에 대한 설명과 시연을 진행한다. 온라인 전시관은 '설계 및 구매관'과 '시공관'으로 나눠 구성했다. 설계 및 구매관에서는 각종 설계 자동화 프로그램과 구매 업무 자동화를 위한 '로보틱 처
‘AW 2024 베스트 솔루션 데이 4탄: 스마트 제조 SW 및 서비스 Part.2’ 웨비나 열려 인이지·누빅스·미라콤아이앤씨 등 스마트 제조 솔루션 업체 전문가 연사 대거 참여 현시점 산업 내 대세 키워드 중 하나는 ‘기술 융합’이다. 4차 산업혁명 이전과 이후 각각 등장한 기술이 상호작용해 새로운 기술 및 가치를 만들어내는 시대다.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서비스 등도 서로의 장점을 발현·융합해 하나의 솔루션 형태로 산업에서 활약 중이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Automation World 이하 AW)은 아시아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시회다. 내년에 개최될 AW 2024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중심으로 꼽히는 자동화·스마트 팩토리 등 제조 산업 내 요소를 조망하고, 관련 제품 및 솔루션을 함께 경험하는 장으로 꾸며질 예정이다. AW 2024 개막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내달 9일 웨비나 플랫폼 두비즈(duBiz)에서 ‘AW 2024 베스트 솔루션 데이 4탄: 스마트 제조 SW 및 서비스 Part.2’가 지난 9월에 이어 열린다. 이날 웨비나에는 장윤석 인이지 기술영업이사, 강명구 누빅스 부사장, 김이루 미라콤아이앤씨 상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