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P 코리아가 지난 20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미디어 브리을 열고 SAP 비즈니스 데이터 클라우드와 생성형 AI 코파일럿 ‘쥴(Joule)’을 중심으로 한 혁신 방향을 제시했다. SAP는 ‘AI 시대의 기업 경쟁력은 데이터에서 비롯된다’는 메시지를 앞세워 한국 시장에서의 기술 전략을 공개했다. 이번 행사에는 크리스찬 클라인 SAP CEO와 신은영 SAP 코리아 대표이사가 참석했다. 클라인 CEO는 “SAP는 한국에서만 30년 넘게 활동해왔고 이곳의 고객들과 함께 기술 혁신을 이끌어왔다”고 말했다. 또한 “한국 고객들은 AI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적극적으로 질문하며 기술을 비즈니스에 빠르게 연결한다”고 강조했다. 신은영 대표도 “SAP가 한국에서 30주년을 맞이하게 되어 매우 자랑스럽다”며 “한국의 대기업 10곳 모두가 SAP의 클라우드 고객이라는 점이 특히 의미 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에서 SAP는 데이터 중심의 AI 전략을 중심으로 한 기술 혁신을 소개했다. 클라인 CEO는 “SAP는 전 세계 트랜잭션의 80%를 처리하며 비즈니스 데이터를 가장 잘 이해하고 있는 기업”이라며 “이 데이터 위에서 작동하는 SAP의 AI는 신뢰성과 정확성을 바탕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국내 유망 스타트업의 성장을 돕기 위해 투자 전문 액셀러레이터 씨엔티테크와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씨엔티테크는 2012년부터 스타트업을 발굴·육성·지원하고 있으며 유망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와 맞춤형 성장 지원을 지속하고 있는 액셀러레이터다. 20일 오후 서울 북가좌동 씨엔티테크 사무실에서 열린 이번 협약식에는 이지혜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최고성장책임자(CGO), 전화성 씨엔티테크 대표, 이태린 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 씨엔티테크는 중소벤처기업부와 창업진흥원이 주최하는 ‘2025년 초기창업패키지’ 네트워킹 프로그램을 공동 운영하고 우수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지원할 수 있는 액셀러레이팅 협력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스타트업 성장 지원 프로그램 운영 ▲스타트업 네트워킹 및 협력 기회 제공 ▲데이터 및 플랫폼 연계를 통한 스타트업 비즈니스 확장을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고도화하고, 성장 잠재력이 높은 창업 기업들에게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협력을 이어갈 예정이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지난해 7월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의 새로운 도약을 지원하는 상생 프로그램 ‘로켓런처’를 선보이며,
에스티씨랩은 지난 20일 서울 콘래드호텔에서 은행, 증권, 보험, 카드사 등 금융기관 관계자 50여 명을 초청한 가운데 ‘API 트래픽 관리 및 클라우드 운영 최적화 방안’을 주제로 한 세미나를 열었다. 이번 세미나에서 에스티씨랩은 클라우드 AI 기반 운영 자동화를 활용한 효율적인 트래픽 및 리소스 관리 전략을 논의하고, 금융기관이 직면한 트래픽 급증과 복잡한 인프라 운영 문제를 해결할 실질적인 방안을 공유했다. 발제자로 나선 에스티씨랩의 김경민 수석은 “마이데이터와 오픈 API, 타사 연계 서비스의 확대로 API 트래픽 관리가 금융권의 핵심 과제로 떠올랐다”고 강조했다. 특히 다양한 비대면 상품이 출시되는 요즘, 전산 장애는 단번에 신뢰도 하락과 고객 이탈로 이어지고 최근 금융당국에 중대사고 신고 의무까지 생겨 좀 더 주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피력했다. 김 수석은 기준치 이상의 트래픽을 단순 차단하는 기존의 ‘레이트 리미트(Rate Limit)’ 방식으로는 현 상황에 적절히 대처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최근 비대면 거래가 늘고 고객 이벤트가 많아진 데다 내부 트래픽은 물론 외부 연계 서비스에 의한 트래픽까지 급증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안정적인
지란지교소프트가 지난 18일 직스테크놀로지와 CAD(컴퓨터 지원 설계) 데이터 보호 및 안전한 업무환경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제조·건설·엔지니어링 등 설계 중심 산업에서 CAD 설계 도면과 기술 데이터의 유출을 방지하고, 보다 안정적인 보안 업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전략적 협력의 일환이다. 직스테크놀로지는 AI 기반 3D 디지털 설계 솔루션 ‘직스캐드(ZYXCAD)’를 자체 개발한 기업으로 오토캐드와의 높은 호환성과 빠른 성능을 갖춘 CAD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있다. 지란지교소프트는 자사의 정보유출방지(DLP) 솔루션 ‘오피스키퍼’를 직스캐드와 연계해 도면의 무단 복사·저장·출력·이메일 전송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기업은 핵심 기술 유출을 사전에 차단하고, 설계 업무의 보안성과 생산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기반으로 공동 마케팅과 패키지 상품 구성, 기업 대상 보안 교육 및 세미나 개최 등 다양한 협력 활동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박승애 지란지교소프트 대표는 “설계·제조·엔지니어링 기업들이 더욱 안심하고 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협력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산업군
카스퍼스키가 지난 18일 네트워크 탐지 및 대응(NDR) 기능을 강화한 타겟 공격 방어 솔루션 ‘KATA 7.0(Kaspersky Anti Targeted Attack 7.0)’을 출시했다. 이번 버전은 네트워크 가시성과 위협 탐지 성능을 대폭 개선해 기업 보안 대응 역량을 한층 끌어올렸다. KATA 7.0은 SPAN 트래픽 복사본에 네트워크 데이터 수집 소스를 추가해 네트워크 전반의 가시성을 높였고, 자산 관리·네트워크 맵·세션 테이블 등 SOC 분석 지원 도구를 새롭게 도입해 보안 담당자가 위협을 직관적으로 탐지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침입 탐지 시스템(IDS) 규칙 기반의 내부 트래픽 분석 기능도 강화돼, 횡적 이동이나 데이터 유출과 같은 이스트-웨스트 트래픽 감시 역량이 향상됐고 새롭게 추가된 위험 및 이상 탐지 기능으로 보안 취약점을 조기에 식별할 수 있게 됐다. 엔드포인트 탐지 및 대응(EDR) 기능도 대폭 개선됐다. 텔레메트리 수집 범위 확장과 함께 모든 이벤트 속성에 대한 고급 위협 탐색 기능이 추가되었다. 더불어 로그 기반 위협 탐지 규칙인 시그마(Sigma) 규칙이 지원되면서 기존 및 신규 이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다 정밀한 위협
싱가포르 국방과학기술청(DSTA)이 오라클 클라우드 아이솔레이티드 리전(Oracle Cloud Isolated Region)을 통한 국방부(MINDEF) 및 싱가포르군(SAF) 지원을 위해 오라클과 계약을 체결했다. 이 번 협력으로 싱가포르 국방부와 싱가포르군은 고성능 에어갭(air-gapped) 보안 소버린 클라우드 컴퓨팅과 데이터 관리 및 AI 서비스를 보안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싱가포르군은 오라클 클라우드 아이솔레이티드 리전을 활용해 지휘 및 통제, 통신, 전산 기능을 혁신하고 강화된 확장성 및 성능을 바탕으로 디지털 역량을 첨단화 할 예정이다. 싱가포르 디지털·정보군(DIS, Digital and Intelligence Service)은 이 계약을 통해 오라클의 에어갭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싱가포르군의 미션 수행을 위한 AI 혁신 및 배포를 가속화할 수 있다. 오라클 클라우드 아이솔레이티드 리전은 소버린 에어갭 하이퍼스케일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OCI) 리전으로, 퍼블릭 OCI 리전과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오라클 클라우드 아이솔레이티드 리전은 인터넷에서 완벽히 단절되어 있으며, 싱가포르 국방부와 싱가포르군에 확장성과 보안성,
HPE는 인공지능(AI)을 위한 통합 데이터 레이어를 공개하고, 엔비디아(NVIDIA)와의 협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스토리지 포트폴리오의 주요 개선 사항을 20일 발표했다. 기업은 HPE 그린레이크 클라우드(HPE GreenLake Cloud)를 통해 멀티벤더 및 멀티클라우드 데이터를 보다 간편하게 액세스하고, 내장 인텔리전스 및 통제된 제어를 통해 인사이트 확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새로운 통합 데이터 레이어는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를 통합해 HPE의 고성능 데이터 패브릭과 정교한 데이터 인텔리전스를 갖춘 선도적인 엔터프라이즈 스토리지의 결합을 통해 AI 데이터 수명 주기를 가속화한다. 새로운 엔비디아 AI 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배포될 경우 기업은 AI 애플리케이션, 모델, 에이전트에 AI-레디 데이터를 지능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피델마 루소 HPE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부문 사장 겸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에이전틱 AI 시대에서 성공하려면 데이터 관리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며 “HPE의 통합 데이터 레이어, 인텔리전트 스토리지, HPE 프라이빗 클라우드 AI를 통해 기업은 데이터 위치에 상관없이 AI를 대규모로 실행할 수 있
한화비전이 19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개막한 ‘세계보안엑스포 2025’(SECON 2025)에서 대·중소 상생협력관을 운영한다고 20일 밝혔다. 세계 보안 엑스포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보안 전시회로 올해는 400곳 이상의 기업이 참가했다. 한화비전의 상생협력관에 참여한 중소 협력사는 시큐인포, 포딕스 시스템, 피플앤드테크놀러지 등 3곳이다. 상생협력관에는 한화비전의 주력 솔루션들과 함께 한화비전의 인공지능(AI) 기반 영상 기술이 접목된 협력사들의 다양한 솔루션들이 전시됐다. 올해는 ▲리테일(Retail) ▲교통(Traffic) ▲공장(Factory) AI 팩(AI Application Packs)을 공개해 눈길을 끌었다. AI 팩은 현장 특성에 맞춰 필요한 기능을 묶은 일종의 패키지 보안 솔루션이다. 그중 공장 AI 팩은 AI를 기반으로 지게차와 사람 간의 거리를 측정해 작업자들이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현장에선 부스에 설치된 미니어처를 통해 실제 작동 방식을 살펴볼 수 있다. 효율적인 화물 관리를 돕는 AI 기반 물류 솔루션 시연도 주목을 받았다. 컨베이어 벨트 위로 택배 박스가 지나가면 듀얼 렌즈 BCR(Barcode Reader)
엔에스스마트와 MOU 체결...병원 무인기기에 ‘한컴 오스’ 도입 한컴위드가 인공지능(AI) 기반 안면인식 설루션인 ‘한컴 오스(Hancom Auth)’ 공급을 시작하며 신규 보안 사업 확대에 나선다. 한컴위드는 병원업무자동화 설루션 및 하드웨어 전문 기업인 엔에스스마트와 한컴 오스 공급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엔에스스마트의 병원 무인기기(키오스크)에 한컴 오스를 도입함으로써 비대면 본인확인 및 사용자 식별이 가능해져 환자들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진료 환경을 이용할 수 있다. 안면인식 솔루션을 활용한 간편인증 서비스는 부정수급을 방지하고 건강보험의 건전성을 강화하며, 병원의 진료카드 발급 비용 절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컴 오스는 얼굴 인식 기반의 본인 인증 기술로, 고객사의 서비스 환경에 맞춰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미국 iBeta의 얼굴 위·변조 탐지 성능(PAD, Presentation Attack Detection)’ 테스트 중 3D프린터, 레진/라텍스 마스크 등 고도화된 위변조를 탐지하는 Level 2 인증을 획득한 패시브 라이브니스(Passive liveness) 검증 기능을 통해 높은 보안성을 제공한다. 한
팀뷰어(TeamViewer)가 최근 인수한 디지털 직원 경험(Digital Employee Experience, DEX) 소프트웨어 1E를 통합한 첫 솔루션을 발표했다. 이번 통합을 통해 팀뷰어의 디바이스 모니터링 기능이 1E의 실시간 및 성능 인사이트를 포함하게 돼 엔드포인트에 대한 가시성이 더욱 높아지고, 사전 문제 감지가 가능해졌다. 팀뷰어가 지난해 12월 인수한 1E는 기업 IT 환경에 대한 실시간 가시성을 제공하고 엔드포인트 문제를 신속하게 감지해 자동 해결하는 혁신적인 DEX 플랫폼을 제공한다. 1E DEX 플랫폼에 기업용 원격 연결 플랫폼 팀뷰어 텐서가 통합돼 안전한 엔터프라이즈급 원격 연결과 규정을 준수하는 IT 관리를 지원한다. 또한 팀뷰어의 원격 지원 기능이 1E DEX의 서비스나우 통합에 포함돼 IT 부서가 중요한 엔드포인트 문제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엔드포인트 가시성, 자동 문제 해결, 원격 전문가 지원이 가능해져 IT 운영이 더욱 향상되고 원활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팀뷰어 디바이스 모니터링에 1E DEX 기능이 통합됨에 따라 중소기업은 보다 선제적이고 지능적인 IT 운영 방식을 확보할 수 있다. IT 부서는 문
KT가 한국전력, 서울대학교와 함께 전력 산업 특화 인공지능(AI) 개발과 실증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체결식에는 KT 김영섭 대표, 한국전력 김동철 사장, 서울대학교 유홍림 총장 등 세 기관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 협력 내용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기반 전력 산업 특화 AI 설루션 및 보안 시스템 개발·실증, 전력·AI 융복합 신사업 모델 발굴 및 핵심기술 공동 연구개발(R&D), 전력·AI 분야 산·학·연 인력 양성 및 혁신 기업 지원 등이다. 먼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기반 전력 산업 특화 AI 설루션으로는 생성형 AI의 학습, 추론 기능 등을 활용해 전력 시스템 혁신 기반을 마련한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 중요도에 따라 계층별 접근을 통제해 보안을 강화하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기반 아키텍처’를 통해 보안 위협을 차단하고 민감한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예정이다. 전력·AI 융복합 신사업 모델에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력한 한국적 AI를 적용한다. 한국어 특화 거대 언어 모델(LLM)과 KT AI 스튜디오를 활용해 AI 모델을 계속 최적화할 계획이라고 KT는 설명했다. 아울러 세 기관은 혁신 벤처와 스타트업 등
가트너(Gartner)는 2027년까지 AI 에이전트가 사용자 계정 탈취(ATO) 시간을 50% 줄일 것으로 전망했다. 제레미 드호인 가트너 VP 애널리스트는 “계정 탈취는 여전히 해커들의 주요 공격 수단”이라며 “데이터 유출, 피싱, 사회 공학, 멀웨어 등 다양한 방법으로 비밀번호를 수집한 해커들은 사용자가 여러 사이트에서 같은 비밀번호를 사용한다는 것을 염두하고 자동화 봇을 이용해 여러 서비스에서 로그인을 시도한다”고 설명했다. AI 에이전트는 딥페이크 기술을 악용한 사회 공학 공격부터 사용자 자격증명 악용의 종단간 자동화까지 더 많은 계정 탈취 단계를 자동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업체는 AI 에이전트가 관여하는 상호작용을 탐지, 모니터링, 분류할 수 있는 웹, 애플리케이션, API, 음성 채널 제품을 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키프 칸 가트너 VP 애널리스트는 “진화하는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보안 리더는 비밀번호를 요구하지 않는 피싱 방지 다중 인증(MFA)을 도입해야 한다”며 “사용자가 인증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경우에는 비밀번호 사용 체계에서 다중 장치 패스키로의 전환을 유도하고 장려하는 교육과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계정 탈
LG전자가 20일부터 나흘간 중국 상하이 신국제엑스포센터에서 열리는 ‘AWE(Appliance & Electronics World Expo) 2025’에 참가한다. AWE는 약 1000개 업체가 참가하고 36만 명 이상의 관람객이 모이는 중국 최대 가전 박람회다. LG전자는 올해 AWE에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위한 LG전자의 공감지능’(Affectionate Intelligence designed for every lifestyle)을 주제로 규모 1104㎡ 전시관을 마련해 AI 홈 솔루션을 선보인다. 아시아 고객들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AI 가전, IoT 기술 등을 맞춤형으로 제안하고 핵심 부품 기술력에 AI를 더한 ‘AI 코어테크’를 소개한다. LG전자는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될 공감지능 기반의 AI 홈을 이번 전시에서 구현했다. 부스 입구에 설치된 하이라이트 존에서는 AI 홈 허브 ‘LG 씽큐 온’과 집 안 곳곳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고객의 말과 행동, 환경을 감지하고 고객과 대화하며 연결된 가전과 IoT 기기를 제어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AI 홈 플랫폼 LG 씽큐를 활용해 나에게 맞는 가전을 만들어가는 ‘씽큐 업’과 고장이나 이상징
웍스AI가 지난 19일 서울 용산구 레리치에서 ‘웍스AI VIP Agentic Night Day’를 성황리에 마쳤다. 이번 행사에는 주요 기업 관계자와 AI 전문가 약 80명이 참석해 AI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논의하며 혁신 사례를 공유했다. 행사는 김덕진 IT 커뮤니케이션 연구소장의 ‘AI 에이전트 트렌드 리뷰’로 시작됐다. 김 소장은 AI가 단순한 분석 도구를 넘어 사용자의 맥락을 이해하고 직접 실행하는 ‘에이전트 AI 시대’가 도래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AI 기술의 윤리적 책임과 산업 확장의 과제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김현명 LS ITC 디지털 혁신팀장은 웍스AI와 협력해 구축한 그룹 맞춤형 GPT 시스템 ‘LSGPT’의 도입 과정을 발표했다. 그는 “LSGPT를 통해 직원 1인당 평균 29분의 업무 시간을 절감하는 효과를 확인했고 보안성과 사용자 편의성을 동시에 강화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스템 도입으로 1만 2천 명 규모의 직원들이 디지털 혁신을 경험하고 있다. 표철민 웍스AI 대표는 AI 서비스 대중화를 목표로 한 ‘종량제 후불 요금 모델’을 소개했다. 사용량에 따라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기존 대비 최대 90%의 비용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코오롱베니트가 자체 개발한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고객관계관리) 솔루션 ‘세일즈웍스(가칭)’를 출시한다고 20일 밝혔다. 코오롱베니트는 자사 및 코오롱그룹 시스템에 이 솔루션을 먼저 적용해 세부적인 기능을 고도화해 향후 외부 고객에게도 제품을 판매할 계획이다. 세일즈웍스는 데이터 기반의 영업 전략을 지원한다. 솔루션에 축적한 고객 데이터를 고객 가치 제고를 목적으로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분석한다. 사용자는 구매 데이터와 행동 패턴을 통합적으로 분석해 맞춤형 서비스와 제품을 고객에게 제안할 수 있다. 세일즈웍스는 기존의 판매자 중심 영업 프로세스를 혁신함으로써 고객과의 장기적인 파트너십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회사는 전했다. 코오롱베니트는 “세일즈웍스는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내부 구성원 간 업무 프로세스 개선에도 효과가 있다”며 “영업 활동과 관련한 전체 데이터가 유기적으로 통합 관리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데이터 분석을 통해 세일즈웍스는 잠재적인 사업 기회를 도출하고 수주 성공 확률을 추정한다. 사업 프로젝트와 관련 예상 수주액과 원가를 예측해 손익을 계산하는 방식이다. 실시간 프로젝트 진행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