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SNS와 공유경제의 조합은 ‘환상적’, 신뢰 기반의 공유경제 원칙과 블록체인 기술은 ‘완벽한 조합’ 들어가면서 필자는 지난 몇 개월 간 디지털 신원(Digital Identity)에 대해 연재하였다. 1탄에서는 디지털 신원 개념과 함께 디지털 신원 확인을 위한 요구조건들로 진화한 모바일폰 번호와 SNS 플랫폼을 이용한 싱글사인온(Single sign on), 이중(Two factor) 인증 등에 대해 설명하였고, 2탄에서는 특히 블록체인에 주목하여 그 개념을 설명하면서 이를 활용한 디지털 신원 조회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신원 관리 비즈니스 모델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최근 공인인증서 폐지 이슈가 지속되고 있는데, 블록체인을 활용한 인증 방식이 함께 고민되어야 할 것 같다. 마지막 3탄에서는 아날로그를 포함한 신원 조회의 진화에 대해 정리하면서 국내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2018년 핫 이슈는 단연 블록체인이다. 디지털기술 발달로 인류는 이미 디지털경제 시대에 살고 있고, 인터넷, 모바일을 넘어 데이터가 새로운 자원인 시대가 되면서 데이터경제 시대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여기에
[첨단 헬로티] 라온피플, “자체 기술력을 통해 글로벌 브랜드와 경쟁 자신있다” 라온피플이 4차 산업혁명의 중심축으로 빠르게 성장하기 시작한 스마트 팩토리 산업에서 비전 솔루션 혁신을 리딩하는 글로벌 주역으로 도약하고 있다. 25메가 산업용카메라에 이어 50메가 제품을 개발한데 이어 인공지능을 접목한 비전검사 소프트웨어로 국내 머신비전 기술을 한단계 끌어올렸다. 본지는 라온피플 이석중 대표를 만나 라온피플의 강점과 그간의 노력들에 대해 들어봤다. ▲ 라온피플 이석중 대표 1. 귀사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연역 및 비즈니스 영역, 산업별) 2010년 1월 창사 이래 지금까지 수많은 다양한 머신비전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하는 과정에서 국내외 고객들과 파트너들로부터 고도의 기술력과 제품의 품질 우수성을 인정받을 수 있었습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매년 연구개발에 집중 투자한 결과, 수십여 건의 국내외 지식재산권을 비롯하여 유무형의 기술자산을 내재화할 수 있게 됨으로써 딥러닝 비전 검사 소프트웨어, 2D/3D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바코드 리더기, 카메라 모듈 및 렌즈 검사기 전 제품을 제3자에게 의존하지 않고 라온피플 내
[첨단 헬로티] 디쌤 “다양한 사업분야의 경험, 우수 인력, 자체적인 장비 개발 조직 갖춰” 디쌤은 1999년에 창립하여 지금까지 약 19년 동안 머신비전 검사시스템 사업을 큰 축으로 자동차, 식음료, 디스플레이산업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우수한 검사 장비를 공급해 오고 있다. 올해부터는 OLED와 신재생/대체에너지 관련 분야로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디쌤의 머신비전 사업의 강점과 올해 주력 판매 제품, 그리고 앞으로의 사업 계획에 대해 정준한 부사장을 만나 들어봤다. ▲ 디쌤 정준한 부사장 1. 귀사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디쌤은 1999년에 창립하여 지금까지 약 19년 동안 머신비전을 전문으로 하는 검사시스템 사업을 큰 축으로 자동차, 식음료, 디스플레이산업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우수한 검사 장비를 공급해 오고 있습니다. 이와함께 2006년부터 머신비전과 관련된 각종 우수한 콤포넌트들을 공급하기 위하여 독일, 미국, 스위스, 일본, 대만, 중국 등의 외국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산업용 카메라 및 렌즈, 조명, 산업용PC 등의 제품들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현재 이 사업부는 넥스버로 스핀오프돼 운영되고 있습니다.
[첨단 헬로티] 다트비젼, 고객 중심의 기술 지원 바탕으로 끊임없이 연구 개발 매진 다트비젼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모바일, 및 각종 제조업 등과 국방, 과학, 의학, 교통 등의 여러 분야에 걸쳐 우수한 품질과 안정적인 성능의 머신비전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 임베디드 비전 솔루션을 출시했고, 머신비전 전용 임베디드 보드 개발할 계획도 가지고 있다. 다트비젼 조현기 대표를 만나 다트비젼의 강점과 앞으로 차별화 전략에 대해 들어봤다. ▲ 다트비젼 조현기 대표 1. 귀사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연역 및 비즈니스 영역, 산업별) 영상처리전문기업 주식회사 다트비젼은 1997년 설립 이후, 반도체, 디스플레이, 모바일, 및 각종 제조업 등과 국방, 과학, 의학, 교통 등의 여러 분야에 걸쳐 우수한 품질과 안정적인 성능의 머신비전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특히, 30여개 글로벌 브랜드의 우수한 머신비전 제품을 국내에 공급합니다. 다트비젼은 오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차별화된 기술 지원을 통해 국내 머신비전 분야 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며, 고객을 먼저 생각하고, 고객과 함께 하는 신뢰받는 기업으로 성장해 오고 있습니다. 2. 귀사의
창의도전 R&D 집중 지원, 첫걸음기업 지원목표제 운영 기술혁신을 통한 중소기업의 성장과 일자리 창출 촉진을 위해 2018년도 1조 917억원의 기술개발(이하 R&D) 자금이 지원된다. 기술개발 지원사업의 주요 특징을 보면, ①일자리 창출중심으로 R&D 지원제도를 개선하고, ②R&D사업에 처음 참여하는 기업 대상 목표관리제를 운영한다. 중소기업 중심의 혁신성장을 위해 ③창의·도전적인 R&D를 집중 지원하고, 민간 주도. ④지역 혁신클러스터화를 촉진하며, ⑤민간 주도. ⑥수요자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기술혁신을 통한 중소기업의 성장과 일자리 창출 촉진을 위해 2018년도 1조 917억원의 기술개발(이하 R&D) 자금이 지원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주요 제도개선 사항, 사업별 지원내용 및 일정 등을 정리한 2018년도 중소기업 R&D 지원사업 통합공고를 발표했다. 이번 통합공고에 포함된 사업은 중소벤처기업부 출범을 계기로 타 부처에서 이관된 사업을 포함하여 총 13개 사업(세부사업 기준) 1조 917억 원이며, 2017년 9,601억
[첨단 헬로티] 생산업체의 가동시간 및 인쇄 가독성 ‘UP’, 유지 보수 ‘DOWN’ 까다로운 음료 생산 환경에서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선명하고 깨끗한 제품 코드를 인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레이저 마킹은 음료 생산업체에 가동시간을 높이고 유지 보수를 줄이며 인쇄 가독성을 높이도록 도와준다. 해결 과제: 일부 시장의 경우 살균처리 포장 사용량이 연간 최고 9% 증가하고 있다. 유통기한이 길어 음료 제품의 신선도, 맛, 영양 품질 보호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화려하고 광택이 있으며 여러 개의 패널이 사용된 살균처리 용기에 인쇄하기는 쉽지 않으며 온도가 낮은 특정한 음료가 들어 있는 경우에는 더 까다로워진다. Videojet의 장점: Videojet 3340 CO2 레이저 마킹 시스템은 살균처리 포장을 비롯한 다양한 음료 포장에 선명하고 영구적인 코드를 인쇄할 수 있다. 30와트의 전력으로 분당 최대 900미터의 라인 속도로 제품에 코드를 인쇄할 수 있다. 또한 Videojet 3340 시스템의 레이저 튜브는 가스 용량을 늘리고(다른 Videojet CO2 레이저 대비) 공기 냉각에 최적화되어 수명이 45,000시간
[첨단 헬로티] 화인스텍, 직원이 함께 성장하며 기업 가치가 전년 대비 100% 성장하는 것이 목표다 단순히 글로벌 메이커 제품들을 유통하는 것은 기업의 연속성에 한계를 갖게 마련이다. 이들 제품들을 통합하고 부가가치를 보탬으로써 새로운 솔루션내지는 서비스로 급성장하고 있는 머신비전 기업이 있어 화제다. 바로 화인스텍이다. 기업의 가치를 오로지 ‘직원’에 두고 있는 화인스텍 김묵현 대표를 만나 국내 머신비전 산업의 현주소와 함께 화인스텍의 가파른 성장의 비결에 대해 들어봤다. ▲ 주)화인스텍 김묵현 대표 Q. 화인스텍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화인스텍은 카메라를 비롯해 렌즈, 프레임 그래버 등 머신비전을 다루는 전문 기업입니다. 반도체, LCD, OLED, 모바일 기기 등과 같은 전기전자 분야와 자동차 생산라인 등에 사용되는 머신비전 시스템의 카메라와 렌즈, 프레임그래버, 조명, 오토포커스 시스템, 3D 측정 시스템 등에 대해 끊임없이 연구,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2009년도 설립된 화인스텍은 일본의 카메라 전문기업 SENTECH과 덴마크의 JAI, 미국의 FLIR를 비롯해 일본의 머신비전 렌즈 전문기업 VS Technology
[첨단 헬로티] 프로옵틱스, 2년에 걸쳐 개발 완성한 ‘Wide Angle 5x Objective Lens Module’ 주목 초정밀 조립 기술을 보유하고 하고 있는 프로옵틱스가 2년에 걸쳐 개발 완성한 ‘Wide Angle 5x Objective Lens Module’가 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고분해능 머신비전용 렌즈는 최근 지속 성장하고 있는 시장인 OLED 디스플레이 패널과 모바일폰용 이미지 센서의 검사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프로옵틱스 정진호 대표를 만나 프로옵틱스의 강점과 올해 주력 제품에 대해 들어봤다. ▲ (주)프로옵틱스 정진호 대표 Q. 프로옵틱스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프로옵틱스는 2000년 3월 1일 경기도 이천에서 회사를 창립하였습니다. 창립 이 후 현재까지 연간 10~20여건 정도의 신규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습니다. 주요 사업분야로는 산업용 머신비전 광학계, 노광 광학계, 휴대폰 카메라 Align용 Collimation Lens, 머신비전용 현미경 시스템, 3D 카메라, 3D 프로젝터, 의료용 X-ray DR 렌즈, 3D 복강 내시경렌즈, 지문인식 렌즈, 내방사
[첨단 헬로티] 앤비젼, 차세대 제품과 솔루션으로 고객들의 개발 과제의 성공 지원해 나갈 것 올해 앤비젼은 머신비전 시장에서 오랜 기간 주력해오고, 현장에서 안정성을 검증 받아온 High-end TDI Line scan카메라 및 산업용 렌즈 분야에서 새로운 혁신적 도약을 할 수 있는 차세대 제품 및 솔루션을 선보일 계획이다. 앤비젼 김덕표 대표를 만나 국내 머신비전 시장에 대한 견해와 주요 사업전략에 대해 들어봤다. ▲ (주)앤비젼 김덕표 대표 Q. 앤비젼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앤비젼은 사람의 눈을 대신하여 인지하고 판단하는 비전 솔루션을 핵심으로 머신비전 분야의 핵심 제품과 엔지니어링 컨설팅, 기술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전 솔루션 전문기업입니다. 머신비전 기술은 제조 과정에서의 물리적 형상 및 결함 추적, 표면 마무리 검사, 색상 검사 등의 품질 검사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반도체에서부터 PCB, 소형 전자부품, 모바일, 디스플레이, 자동차, 철강, 식음료 산업 등에 이르기까지 산업 전반으로 적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앤비젼은 이러한 다양한 산업의 필요에 맞는 머신비전 솔루션을 제공하여 각 제품의 품질과 생
[첨단 헬로티] 제7회 한국머신비전산업전, 오는 3월 28일부터 30일까지 코엑스에서 개최 올해로 7회째를 맞이하는 한국머신비전산업전은 국내 머신비전 산업의 대표적인 전시회이다. 오는 3월 28일부터 30일까지 개최되는 이번 전시회는 머신비전의 핵심인 센서에서 프로세서, 케이블에서 카메라, 소프트웨어, 렌즈, 조명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차별화된 제품과 서비스가 전시될 예정이다. 이와함께 머신비전이 적용되고 있는 기계 기술 및 자동차 산업에서부터 의료 기술 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 분야의 애플리케이션도 전시 참관객들의 이목을 끌 것으로 보인다. 머신비전은 Industry 4.0의 자동화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데이터 분석 기능이 발전함에 따라 비전 장비를 통해 액세스 할 수 있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결함있는 제품을 식별하고 결함을 표시하고 결함을 이해하며 Industry 4.0 공장에서 신속하고 효과적인 개입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머신비전 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제7회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 2018)이 오는 3월 28일부터 30일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3일간 열리는 이번 행
[첨단 헬로티] 중대형 물류기업용 저가형 관제기술 확보 등 다양한 효과 기대 국내의 물류기술을 살펴보면 지게차, 컨테이너, 파렛트 등 일반 물류기기장비의 경우는 기술개발 수준과 국산화율은 높으나 자동인식, 자동피킹, 자동소팅 등 자동화기술과 AGV, 무인지게차 등 무인고도장비기술 등은 2년 정도 뒤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기술개발 필요성에 따라 본지는 ‘중대형 물류센터 적용이 가능한 물류운송로봇 스케줄링 기술 개발’ 사례를 2회에 걸쳐 싣는다. 라. 물류운송로봇 스케쥴링 알고리즘 물류운송로봇의 스케쥴링 문제는 사용자가 주문한 물품 목록을 최소의 비용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로봇의 작업순서를 결정하는 문제다. 이것은 물품 목록 정보와 물류 창고의 물품 보관 상태로부터 최적의 작업순서를 제시하는 것이며, 이는 처리시간이 최소가 되도록 작업순서를 결정하는 문제와 같다고 볼 수 있다. Order picking 시스템에서 AGV 관제의 가장 중요한 부문 중 하나는 물품 목록을 대기 중인 AGV인 한정된 자원에 할당하는 것이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고려해야할 것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먼저 창고 내의 물품 보관소에서 피킹 룸으
[첨단 헬로티] 중대형 물류기업용 저가형 관제기술 확보 등 다양한 효과 기대 국내의 물류기술을 살펴보면 지게차, 컨테이너, 파렛트 등 일반 물류기기장비의 경우는 기술개발 수준과 국산화율은 높으나 자동인식, 자동피킹, 자동소팅 등 자동화기술과 AGV, 무인지게차 등 무인고도장비기술 등은 2년 정도 뒤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기술개발 필요성에 따라 본지는 ‘중대형 물류센터 적용이 가능한 물류운송로봇 스케줄링 기술 개발’ 사례를 2회에 걸쳐 싣는다. 라. 물류운송로봇 스케쥴링 알고리즘 물류운송로봇의 스케쥴링 문제는 사용자가 주문한 물품 목록을 최소의 비용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로봇의 작업순서를 결정하는 문제다. 이것은 물품 목록 정보와 물류 창고의 물품 보관 상태로부터 최적의 작업순서를 제시하는 것이며, 이는 처리시간이 최소가 되도록 작업순서를 결정하는 문제와 같다고 볼 수 있다. Order picking 시스템에서 AGV 관제의 가장 중요한 부문 중 하나는 물품 목록을 대기 중인 AGV인 한정된 자원에 할당하는 것이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고려해야할 것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먼저 창고 내의 물품 보관소에서 피킹 룸으
[첨단 헬로티] 인더스트리 4.0 및 전산업 자동화로 인해 3D 기술 증가 3차원은 이미지 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보고서에서는 시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3D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각각의 강점과 약점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3 차원이 어떠한 응용 프로그램에 가치가 있는지 여부에 대한 질문에 답할 수 있는 기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1. 2D 카메라 기술 에어리어 스캔 및 라인 스캔 카메라는 2D 카메라 기술로 제공된다. 에어리어 스캔 카메라는 단일 이미지로 분석할 장면을 캡처하는 반면, 라인 스캔 카메라는 이미지가 라인 단위로 기록되는 스캔 프로세스를 사용한다. 선택된 카메라 모델에 따라 장면은 RGB 값에서 i.e, 단색 또는 컬러 이미지로 표현된다. 1.1 응용 분야 2D 이미지 처리는 응용 프로그램이 높은 대비를 제공하거나 객체의 구조와 색상이 최종 결과에 결정적인 경우에 적합하다. 현재 2D는 이미지 처리 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이다. 2D 카메라용 응용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위치 확인, 감지, 측정 및 읽기와 같은 이미지 처리의 모든 영역에서 찾을 수 있다. 2D 카메라의 일반적인 응용 분야는 다음과 같다.
[첨단 헬로티] 인더스트리 4.0 및 전산업 자동화로 인해 3D 기술 증가 3차원은 이미지 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보고서에서는 시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3D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각각의 강점과 약점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3 차원이 어떠한 응용 프로그램에 가치가 있는지 여부에 대한 질문에 답할 수 있는 기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1. 2D 카메라 기술 에어리어 스캔 및 라인 스캔 카메라는 2D 카메라 기술로 제공된다. 에어리어 스캔 카메라는 단일 이미지로 분석할 장면을 캡처하는 반면, 라인 스캔 카메라는 이미지가 라인 단위로 기록되는 스캔 프로세스를 사용한다. 선택된 카메라 모델에 따라 장면은 RGB 값에서 i.e, 단색 또는 컬러 이미지로 표현된다. 1.1 응용 분야 2D 이미지 처리는 응용 프로그램이 높은 대비를 제공하거나 객체의 구조와 색상이 최종 결과에 결정적인 경우에 적합하다. 현재 2D는 이미지 처리 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이다. 2D 카메라용 응용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위치 확인, 감지, 측정 및 읽기와 같은 이미지 처리의 모든 영역에서 찾을 수 있다. 2D 카메라의 일반적인 응용 분야는 다음과 같다.
[첨단 헬로티] 자율주행차의 단계는 어떻게 구분될까? 미국자동차공학회 SAE(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는 완전자율주행차의 실현 과정을 기술적 요소가 제각기 적용되는 기준에 따라 6단계로 분류하고 있다. 실제로, 미국연방고속도로안전관리국(NHTSA)에서 내놓은 이전의 기준은 현재 SAE의 가이드라인으로 대체되고 있다. SAE 기준의 자율주행차 6단계 내용 및 구현 가능 시기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레벨 0(양산차 도입 시기: 1900년-현재)-1970년대 웨건 차량 가장 낮은 단계인 레벨 0은 기본적으로 좌석과 운전대만을 의미하며 자동화 요소는 전혀 없다. 자동변속기어는 자율주행을 구분하는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다. 레벨 0은 상당히 광범위해서 미국의 코미디 영화 ‘휴가 대소동(National Lampoon’s Vacation)’에 등장하던 1980년대 웨건 차량부터 이후의 현대적인 차량 모두 여기에 포함된다. 볼보의 차선이탈 경고나 닛산의 이동사물 감지처럼 시각 및 청각 경고를 지원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장착 차량도 여기에 해당된다. 신호음과 불빛을 낼 뿐, 자동차 조종 및 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