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는 전기및전자공학부 김동준 교수 연구팀이 고성능 조립형 SSD 시스템 개발을 통해 차세대 SSD의 읽기/쓰기 성능을 비약적으로 높일 뿐 아니라 SSD 수명연장에도 적용 가능한 SSD 시스템 반도체 구조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김동준 교수 연구팀은 기존 SSD 설계가 갖는 상호-결합형 구조의 한계를 밝히고 CPU, GPU 등의 비메모리 시스템 반도체 설계에서 주로 활용되는 칩 내부에서 패킷-기반 데이터를 자유롭게 전송하는 온-칩 네트워크 기술을 바탕으로 SSD 내부에 플래시 메모리 전용 온-칩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성능을 극대화하는 상호-분리형(de-coupled) 구조를 제안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SSD의 프론트-엔드 설계와 백-엔드 설계의 상호 의존도를 줄여 독립적으로 설계하고 조립 가능한 '조립형 SSD'를 개발했다. 김동준 교수팀이 개발한 조립형 SSD 시스템 구조는 내부 구성요소 중 SSD 컨트롤러 내부, 플래시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기점으로 CPU에 가까운 부분을 프론트-엔드(front-end), 플래시 메모리에 가까운 부분을 백-엔드(back-end)로 구분했다. 백-엔드의 플래시 컨트롤러 사이 간 데이터 이동이 가능
기념수 제막식·음악 공연·동문 노래자랑·특별 전시회 등 부대행사 진행 충북 음성군 소재 감곡초등학교(이하 감곡초) 개교 100주년 기념 총동문회 행사가 지난 11일 감곡초등학교에서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감곡초 개교 100주년을 맞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주관으로 조병옥 군수, 이남옥 교육장, 이혜숙 교장, 오서진 추진위원장, 강대식 동문회장, 김승건 사무국장 등 동문 및 관계자 약 750여명을 초청해 열렸다. 감곡초는 2023년 6월 12일 감곡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해 올해로 개교 100주년을 맞이했다. 총동문회는 강대식 감곡초등학교 총동문회장 대회사를 시작으로 진행됐다. 곧이어 기념수 제막식·감사패 및 감사장 전달·스승과 제자 감사 이벤트·음악 공연 및 동문 노래자랑·특별 전시회·단체 기념사진 촬영 등 구성으로 부대행사가 계속됐다. 특히, ‘한눈으로 보는 100년의 역사’를 주제로 열린 특별 전시회는 감곡초의 지난 100년을 담아 동문 및 관계자에게 추억을 선사했다. 오서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추진위원장은 “동문이 참여하고, 후원한 덕분에 모교 100주년 기념식에서 화합의 장이 마련됐다”며 “올 연말까지 100년사 기념집 및 기념비 제작을 마무리해 소임을 다하겠다
아태지역 인공지능 기반 예지보전 솔루션 시장 수요 파악과 사업 영역 확장 목표 퓨처메인이 이달 7일부터 사흘간 개최한 싱가포르정보통신박람회(CommunicAsia2023 이하 CA2023)에 참가해 참관객에게 인공지능 기반 예지보전 솔루션을 소개했다. CA2023은 국제박람회기구(UFUI)가 공인하며, 정보통신(ICT) 분야 세계 4대 박람회로 평가받는다. 퓨처메인은 이번 박람회에서 설비예지보전 솔루션 ExRBM(Expert Reliability Based Maintenance Program)을 전시했다. 퓨처메인 부스에서는 참관객에게 솔루션 작동 원리·적용 가능 설비·진단 가능 결함 영역 등 정보를 제공했다. ExRBM은 엔지니어링 빅데이터에 인공지능(AI)을 융합한 솔루션으로, 인공지능이 설비 초기 결함을 진단해 발생 원인 및 유지보수 방안을 제시하는 기능을 한다. 퓨처메인 관계자는 “기업이 ExRBM을 도입하면, 진단 분석 전문가 없이도 설비 관리가 가능하다”며 “해당 솔루션은 진동 센서를 통해 진동량·주파수를 분석해, 사용자는 설비 고장 발생 전 사전 알람을 통해 유지보수 비용 감축과 설비 상태 유지 등 장점을 누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선휘 퓨처메
신한카드는 모바일앱에서 카드 신청 시 얼굴을 통해 본인을 확인할 수 있는 '얼굴인식 비대면 실명인증'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고 14일 밝혔다. 얼굴 인식 비대면 실명인증 서비스는는 고객이 모바일앱에서 카드를 신청할 때 실명 확인을 위해 촬영한 신분증 사진과 실시간 얼굴 영상을 안면인식 알고리즘으로 비교해 본인을 확인하는 방식이다. 신한카드 기존 회원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 이 서비스는 카드를 신청하는 과정에서 신분증 확인 이후 '얼굴인증'을 선택하면 별도 준비과정 없이 핸드폰 카메라를 통한 얼굴 영상만으로 바로 본인 인증을 할 수 있다. 본인 계좌 1원 인증 외에도 얼굴인증 수단을 추가해 인증 방식을 다양화했다. 또한 얼굴 촬영을 할 때 간단한 동작 지시로 본인이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라이브니스 검사법' 기술과 신분증 확인을 결합해 보안성도 확보했다. 한편 신한카드는 얼굴 정보를 이용한 안면인식 결제 서비스인 '신한 페이스페이(Face Pay)를 금융위원회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받아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얼굴인식 비대면 실명인증 서비스를 통해 쌓은 경험을 기반으로 비대면 금융 환경에서의 생체 인증
교육 실습 플랫폼 기업 엘리스그룹이 장애인 운동선수 및 예술인 채용을 시작으로 ESG 경영 실천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 14일 밝혔다. 엘리스그룹은 장애인 고용 의무를 다하고자 론볼 종목의 임춘희 선수, 미술 분야 장애예술인 이종원 작가와 고용 계약을 체결했다. 이들은 앞으로 엘리스그룹 소속으로 안정적인 환경에서 체육, 예술 활동을 이어 나간다. 임춘희 선수는 엘리스그룹이 장애인 운동선수 교육 및 운영 계약을 맺은 갤럭시아에스엠으로부터 장애인 운동선수 트레이닝 및 지도교육 등을 받게 된다. 엘리스그룹은 체육 활동 전념을 위한 지원과 더불어 경기 현장 응원 등 엘리스 구성원으로서 상호 소통할 수 있는 활동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종원 작가는 엘리스그룹이 교육 운영 계약을 체결한 장애인표준사업장 우리행성으로부터 전문적인 미술 교육과 예술 활동 공간 등을 제공받는다. 엘리스그룹은 이종원 작가의 작품을 활용해 굿즈 및 디지털 아트를 제작하는 등 협업을 추진한다. 김재원 엘리스그룹 대표는 "'성장'을 핵심 기업 가치로 지향하는 엘리스는 이번 채용을 통해 장애인 근로자들이 더욱 안정적인 환경에서 교육받고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며 "앞으로도 장애인 채용을 늘려
중·고등학생 '리브 넥스트' 앱 이용자 기부 참여 KB국민은행은 Z세대(1997∼2006년생) 전용 금융플랫폼 '리브 넥스트(Next)'에서 고객과 함께 모은 2800만원을 기부했다고 14일 밝혔다. 지난 10월 개점 이후 리브 넥스트에서는 '하트 모아 기부하기' 캠페인이 진행됐다. 이용자가 앱 내 꿈·진로·ESG(환경·사회적 책무·기업지배구조 개선) 관련 콘텐츠에 댓글을 달거나 '좋아요'를 눌러 모은 하트에 대한 기부 의사를 밝히면, KB국민은행이 이용자가 원하는 기부처에 하트에 상응하는 금액을 모두 기부하는 방식이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올해 2∼4월 3842개 중·고등학교 학생이 직접 이 기부에 참여해 당초 목표보다 많은 2800만원이 모였다. 기부에 가장 많이 참여해 제 2대 '기부좋은학교'로 선정된 정신여자고등학교에는 500만원의 장학금도 전달할 예정이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리브 넥스트 출시 이후 모인 전체 기부 하트는 1000만 개, 1억 원 상당"이라며 "그동안 앞서 두 차례에 걸쳐 약 6000만원의 기부금이 동물보호, 아동지원, 환경보호, 노인복지 부문에 전달됐다"고 설명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지난달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수출액이 역대 5월 최고 실적을 기록했던 전년 동월 대비 30% 가까이 줄며 11개월째 감소세를 보였다. 1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5월 ICT 수출액은 144억5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28.5%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 수출액 감소율이 35.7%, 디스플레이 12.0%, 휴대전화 17.2%, 컴퓨터·주변기기 53.1%, 통신장비 11.1% 등으로 각각 나타났다. 반도체 업황 부진이 이어지며 메모리 반도체 수출액이 34억1000만 달러로 53.1% 급감하며 11개월 연속 감소를 기록했다. 시스템 반도체 수출액은 36억4000만 달러, 감소율 4.9%로 5개월 만에 한 자릿수 감소로 둔화했다. 디스플레이에서 LCD 수출액은 3억3000만 달러로 국내 생산 중단 영향으로 감소세가 이어졌고, OLED 수출액은 10억6000만 달러로 베트남 수출이 늘며 7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휴대전화 완제품 수출액은 3억2000만 달러로 24.2% 줄었고, 휴대전화 부품은 6억 달러로 12.9%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31.6%, 베트남 14.6%, 미국 36.0%, 유럽연합 30.7%, 일본 10.9%
온라인 세미나 플랫폼 두비즈(DUBIZ) 통해 진행 디지털제품여권(Digital Product Passport 이하 DPP) 실현에 선봉장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받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는 무선주파수 인식 시스템으로, RFID 태그 내 정보를 심은 후 해당 정보가 필요할 때마다 RFID 리더기로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이다. 접촉식 정보 추출 기술인 바코드 기술과 비견된다. 한편, DPP는 산업 내 모든 제품에 대한 전 수명 주기를 디지털화해 탄소배출량을 집계 및 활용하는 기술 정책으로, 유럽연합(이하 EU)이 2026년 시행을 발표했다. EU는 탄소중립 정책의 일환으로 DPP를 활용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RFID는 DPP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오는 7월 6일 ‘RFID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가 3시간에 걸쳐 온라인을 통해 진행된다. 이번 웨비나는 스마트자산관리를 위한 RFID·스마트제조를 위한 RFID·스마트이력추적과 RFID·스마트물류를 위한 RFID 등 네 가지 세션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김진희 헬로티 국장이 사회자로 행사를 진행하고, 염동석 에일리언테크놀로지아시아 과
온라인 세미나 플랫폼 두비즈(DUBIZ) 통해 진행 디지털제품여권(Digital Product Passport 이하 DPP) 실현에 선봉장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받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는 무선주파수 인식 시스템으로, RFID 태그 내 정보를 심은 후 해당 정보가 필요할 때마다 RFID 리더기로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이다. 접촉식 정보 추출 기술인 바코드 기술과 비견된다. 한편, DPP는 산업 내 모든 제품에 대한 전 수명 주기를 디지털화해 탄소배출량을 집계 및 활용하는 기술 정책으로, 유럽연합(이하 EU)이 2026년 시행을 발표했다. EU는 탄소중립 정책의 일환으로 DPP를 활용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RFID는 DPP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오는 7월 6일 ‘RFID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가 3시간에 걸쳐 온라인을 통해 진행된다. 이번 웨비나는 스마트자산관리를 위한 RFID·스마트제조를 위한 RFID·스마트이력추적과 RFID·스마트물류를 위한 RFID 등 네 가지 세션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김진희 헬로티 국장이 사회자로 행사를 진행하고, 염동석 에일리언테크놀로지아시아 과
다양한 파트너 참가 및 구축 사례 통해 효율적인 데이터 활용 방안 및 관련 인사이트 공유 한국 HPE는 지난 13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데이터를 주제로 한 첫 주요 행사인 '2023 HPE 데이터 서비스 이노베이션 데이' 컨퍼런스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데이터 기반 HPE 최신 제품을 소개하고, HPE와 함께 시장을 선도하는 파트너십 스폰서들의 세션을 통해 기업고객들의 차세대 운영 및 비즈니스 모델 설계에 대한 인사이트를 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김영채 한국HPE 대표는 개회사에서 "데이터는 수십억 개의 접점에 걸쳐 고객의 경험을 더욱 풍부하게 하고 의사결정 속도를 가속화하기도 하며, 다음 스텝을 예측해 실행가능한 인사이트를 도출해내기도 한다"며 "HPE는 이러한 데이터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에 주목해 많은 기업이 효율적인 데이터 운영 관리 전략을 통해 비즈니스를 혁신하도록 이번 행사를 준비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오늘 행사가 업계 선두주자의 다양한 인사이트를 배우고 각 비즈니스의 잠재력을 실현시키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행사에는 큐물로, 인텔, VM웨어, 스캘리티, 스크림 등 다양한 HPE 파트너들이 함께 참여해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디지털 보호계전기 파워로직 P7'를 22일 웨비나를 통해 소개한다. 파워로직 P7은 차세대 디지털 변전소 계통 보호를 위한 디지털 보호 계전기다.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계통 보호 및 화재예방은 모든 산업군에서 필수요소다. 그중 화학단지, 발전소, 데이터센터와 같이 전력 누전이 될 경우 손실이 큰 사업군은 전력의 발생부터 소비까지의 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장애와 고장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이번 웨비나를 통해서 디지털 보호계전기 파워로직P7을 소개한다. 파워로직 P7은 장비 최상의 유연성과 디지털 성능을 보유하고 있어 대규모 배전 전력 시스템의 장애와 고장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컬러 터치스크린을 통해 편리하게 조작이 가능하고, 가시성이 좋은 모니터링을 통해 작업자는 배전반의 온도, 환경 등을 파악해 산업현장의 안정성과 에너지 사용량 등을 파악해 산업 현장에 에너지 효율을 높인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관계자는 "전력 유틸리티 산업군, 석유화학 단지 및 중공업, 신재생 에너지 산업 분야, 전력 공급 의존도 높은 산업군, 데이터센터 관련 업계 종사자에게 특히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6
2023 대한민국 군수산업발전대전(InLEX KOREA 2023) 참가 코난테크놀로지가 15일까지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3 군수산업발전대전에 참가해 군사용 지능정보 플랫폼을 선보인다고 14일 밝혔다.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는 군수산업발전대전은 국가산업발전과 미래전투발전 소요창출을 위한 국내 최고의 官, 軍, 産, 學, 硏(관, 군, 산, 학, 연) 군수산업 플랫폼을 지향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코난테크놀로지는 비디오이해 AI솔루션인 Konan watcher(이하 코난 와처)의 국방 활용사례, 합성 데이터 기반의 적 장비 학습 데이터 생성 및 서비스 활용사례 등에 대해 소개한다. 코난와처는 영상(EO/IR) 및 합성 데이터기반의 국방 학습데이터셋을 수집 및 생성하고, 아군 및 적장비 탐지, 식별, 인식 및 통합관리 프로세스를 적용해 유무인복합체계 및 전투지원체계에 적용 가능한 군사용 지능형 플랫폼이다. 그 일환으로 코난테크놀로지는 밀리터리 이미지넷 및 적 장비판독 AI 모델 구축 사업을 수행중이다. 코난테크놀로지가 선보인 코난 와처의 핵심은 MLOps를 플랫폼에 적용해 학습 데이터 구축, 학습 모델 구축, 학습 모델 배포 등의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디지털 보호계전기 파워로직 P7'를 22일 웨비나를 통해 소개한다. 파워로직 P7은 차세대 디지털 변전소 계통 보호를 위한 디지털 보호 계전기다.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계통 보호 및 화재예방은 모든 산업군에서 필수요소다. 그중 화학단지, 발전소, 데이터센터와 같이 전력 누전이 될 경우 손실이 큰 사업군은 전력의 발생부터 소비까지의 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장애와 고장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이번 웨비나를 통해서 디지털 보호계전기 파워로직P7을 소개한다. 파워로직 P7은 장비 최상의 유연성과 디지털 성능을 보유하고 있어 대규모 배전 전력 시스템의 장애와 고장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컬러 터치스크린을 통해 편리하게 조작이 가능하고, 가시성이 좋은 모니터링을 통해 작업자는 배전반의 온도, 환경 등을 파악해 산업현장의 안정성과 에너지 사용량 등을 파악해 산업 현장에 에너지 효율을 높인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관계자는 "전력 유틸리티 산업군, 석유화학 단지 및 중공업, 신재생 에너지 산업 분야, 전력 공급 의존도 높은 산업군, 데이터센터 관련 업계 종사자에게 특히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6
통합 솔루션으로 글로벌 부품 가용성, 수요, 비용, 규정 준수 데이터에 대한 실시간 가시성 제공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가 서플라이프레임(Supplyframe) 디자인투소스 인텔리전스(Design-to-Source Intelligence, 이하 DSI) 플랫폼을 지멘스 엑셀레이터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포트폴리오와 통합한다고 14일 밝혔다. 서플라이프레임과 전자 시스템 설계 목적의 지멘스 엑스페디션(Xpedition) 소프트웨어의 통합을 시작으로, 현재의 완전 통합 솔루션은 설계 시점에서 글로벌 부품 가용성, 수요, 비용, 규정 준수 및 관련 매개변수 데이터에 대한 실시간 가시성을 제공함으로써 공급망 회복력을 촉진한다. 새로운 솔루션은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 설계 및 분석 기술 분야에서 시장을 선도하는 지멘스의 기술력과 서플라이프레임의 심층적인 시장 인텔리전스를 결합했다. 이는 고객이 설계 시점에서 비용을 절감하고 민첩성을 높이며 많은 정보들을 바탕으로 더 나은 부품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제품 수명 주기 관리(product lifecycle management, 이하 PLM)와 ECAD(ele
산업 디지털 시대를 위한 AI 기반 제조 지능화를 살펴볼 수 있는 Insight Connect 2023 컨퍼런스가 개최된다. 이번 INSIGHT CONNECT 2023×KOFAS 컨퍼런스는 6월 29일(목)과 30일(금) 이틀간 창원컨벤션센터(CECO) 전시장 내 세미나룸에서 개최된다. 초변화의 시대 4차 산업혁명으로부터 촉발된 빅데이터, 인공지능, 디지털 트윈 등 신기술과 코로나19 팬데믹은 전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시켰다. 기계산업과 제조업에 디지털 전환은 생존 기준이자 최우선 과제가 됐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제조 혁신 방안과 산업 디지털 전환을 위한 관련 기술 적용 사례 등이 발표될 예정이다. 6월 29일에는 AI 기반 디지털 제조 혁신 사례라는 주제로 원프레딕트, 다임리서치, 픽잇코리아, 한국요꼬가와전기가 발표를 진행한다. 둘째 날에는 아니아나IDT, 현대자동차, 트위니, 인포인이 기술별 제조 지능화 선도 사례를 소개한다. 창원컨벤션센터(CECO) 세미나룸에서 진행되는 이번 컨퍼런스는 두비즈 홈페이지(https://dubiz.co.kr/Event/161)에서 사전등록을 통해 참여할 수 있으며, 본 컨퍼런스에 사전등록하신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