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멤버앤컴퍼니가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이하 KMAC)과 B2B 리서치 사업 확대를 위한 전략적 독점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업무 협약식은 송기홍 리멤버 대표, 한수희 KMAC 대표 등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9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위치한 KMAC 본사에서 진행됐다. 이번 MOU 체결로 양사는 B2B 리서치 시장에서 각 사의 차별화된 강점을 기반으로 리서치 전 과정에 걸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그동안 리서치 시장은 B2C 영역을 중심으로 성장해 왔다. 하지만 최근 체계적인 리서치를 통한 빠른 시장 현황 파악과 이를 기반으로 한 신뢰도·정확도 높은 데이터 기반 전략 수립이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B2B 리서치 시장이 빠르게 성장 중이다. 특히 산업별 특화가 용이하고 저비용·고효율의 장점을 갖춰 시장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리멤버 리서치는 정확한 타겟팅을 통한 B2B 영역의 정량·정성조사가 모두 가능한 것이 강점이다. 최신 비즈니스 프로필을 기반으로 산업, 직급, 직무 등 정교한 타겟팅 리서치가 가능하며, 기업 니즈에 맞춘 정확도 높은 응답의 맞춤형 리서치를 제공한다. 여기에 기업이 단기적으로
스노우플레이크는 오픈소스 포스트그레SQL 기술과 서비스 기업 크런치데이터를 인수할 계획이라고 10일 밝혔다. 스노우플레이크는 이번 인수로 크런치데이터의 포스트그레스 데이터베이스를 스노우플레이크 AI 데이터 클라우드에 직접 통합하고 ‘스노우플레이크 포스트그레스(Snowflake Postgres)’를 출시해 프라이빗 프리뷰로 선보일 예정이다. 스노우플레이크 포스트그레스를 통해 사용자는 스노우플레이크 AI 데이터 클라우드에서 미국 연방 정부의 클라우드 보안인증 FedRAMP 규정을 준수하면서 AI에 최적화되고 엔터프라이즈 및 개발자 친화적인 포스트그레스로 AI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다. 포스트그레스는 현재 개발자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데이터베이스로 전체 개발자의 49%가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노우플레이크 포스트그레스는 크런치데이터의 필수 성능 지표, 내장된 확장 기능,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등을 활용해 엔터프라이즈 워크로드의 구축부터 운영까지 전체 수명 주기를 지원하도록 설계됐다. 비벡 라구나탄 스노우플레이크 엔지니어링 총괄 수석 부사장은 “스노우플레이크는 가장 신뢰받고 포괄적인 데이터 및 AI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라며 “이번 인수는
티맥스소프트가 “지능화 시대의 글로벌 탑텐(TOP10) 소프트웨어 기업으로서 디지털 전환을 주도한다”라는 새로운 비전을 선포했다. 티맥스소프트는 최근 경기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 사옥에서 열린 창립 28주년 기념행사에서 비전 선포식을 진행했다. 회사는 이날 임직원들에게 “AI(인공지능)가 가져올 대격변의 시대에 비즈니스 가치를 더욱 높여 글로벌 상위 10위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선언하며, 함께 나아가자는 메시지를 전했다. 새로운 비전은 티맥스소프트의 글로벌을 향한 목표를 분명하게 드러냈다. 기술 전문성을 통해 국내·외 고객의 만족과 성공에 기여하고 AI 패러다임으로 다변화된 산업의 요구에 기민하게 대응해 혁신 가치를 창출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글로벌 비전 실현을 위해 임직원에게 제시한 핵심 가치는 ▲신뢰 극대화(Trust Maximization) ▲기술 전문성(Technological Excellence) ▲고객 충성도(Customer Loyalty) ▲인재 중시(Talent Focus) ▲AI 역량 강화(AI Empowerment)이다. AI와 클라우드로 재편된 글로벌 정보통신기술(ICT) 수요를 포용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한 지향점
토스가 ‘페이스페이’ 가맹점을 확대한다고 10일 밝혔다. 페이스페이는 얼굴 인식만으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다. 높은 정확도와 빠른 속도가 강점으로, 토스 앱에서 본인 확인 절차를 거쳐 얼굴을 최초 1회 등록하면 신용카드, 체크카드, 계좌 중 원하는 수단으로 편리하게 결제할 수 있다. 토스는 지난 2월 편의점에서 페이스페이를 처음 선보인 데 이어 서울 전 자치구 2만 개 점포에서 시범 운영에 나선다. 페이스페이를 사전 가입한 이용자 중 일부에게 먼저 서비스를 오픈하고 결제 가능 대상은 점차 늘려갈 계획이다. 페이스페이는 토스 결제 단말기 및 포스(POS) 솔루션 공급 자회사인 토스플레이스 단말기가 비치된 가맹점에서 이용할 수 있다. 가맹점 수 확대와 더불어 이용할 수 있는 업종도 다양해졌다. 카페, 음식점, 미용실, 학원, 헬스장 등 생활 밀착형 가맹점에서 페이스페이 이용이 가능하다. 안전하고 편리한 페이스페이를 위한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24시간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을 가동해 부정 거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바로 조치한다. ‘안심보상제’도 운영한다. 페이스페이 이용 중 부정 거래가 발생할 경우 피해 금액을 토스가 선제적으로 보상한다. 서비스
구글 클라우드가 LG CNS와 협력해 ‘클라우드 WAN(Cloud WAN)’을 활용한 네트워크 인프라 혁신으로 LG 그룹 계열사 및 엔터프라이즈 고객의 AI 트랜스포메이션을 가속화한다. 클라우드 WAN은 전 세계 규모의 구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완전 관리형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 솔루션이다. 클라우드 WAN은 애플리케이션 성능 최적화와 높은 안정성을 바탕으로 기업들이 공용 인터넷 대비 더 빠른 서비스 성능을 확보하도록 지원한다. 직접 관리하는 광역 네트워크(WAN) 대비 총 소유비용 절감 효과도 제공한다. 구글 클라우드는 LG CNS와 함께 현대적인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도입해 고객 경험 향상과 AI 전환 기반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AI 애플리케이션 운영에 필수적인 빠르고 효율적인 통신 환경을 지원하는 동시에 글로벌 네트워크 인프라를 활용해 고객이 해외 지사를 설립하거나 새로운 지역에서 서비스를 시작할 때 안정적인 연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는다. 클라우드 WAN은 멀티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SaaS 환경 등 다양한 비즈니스 상황에서 유연한 확장성과 애자일한 네트워크 관리를 지원한다. SD-WAN, VPN, 인터커넥트 등 다양한 연결 방식도 제
한컴인스페이스는 지구관측 민간위성 ‘세종 2호’를 오는 21일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FALCON9) 로켓을 통해 발사한다고 9일 밝혔다. 세종 2호는 6U급(가로 200mm X 세로 300mm X 높이 100mm, 무게 약 10.8kg)의 초소형 위성으로 지상으로부터 약 500~600km 저궤도에서 임무를 수행한다. 8개 분광 밴드를 가진 다중분광카메라(Multi-spectral Camera)를 탑재해 지상폭 20km(Swath)에 걸쳐 5m급 해상도의 지구관측 영상을 제공한다. 한컴인스페이스는 ‘세종 1호’의 운용 경험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세종 2호를 통해 확보될 고품질 영상 데이터를 농업, 건설, 안전, 물류 등 고도의 분석이 필요한 다양한 산업 분야의 의사결정 지원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번 발사는 지구관측을 넘어 국내 우주산업 기술 검증에도 기여한다. 세종 2호에는 한화시스템이 개발 중인 위성용 SAR(합성개구레이더) 안테나의 우주코팅 시편이 탑재돼 1년간 90분 간격으로 궤도상의 온도 데이터를 수집해 제공함으로써 우주 부품 및 소재의 국산화와 신뢰성 검증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발사는 한컴인스페이
한국레노버가 프로야구 구단 한화이글스와 공식 마케팅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지난 5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레노버 브랜드데이’ 행사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레노버의 다양한 라인업을 직접 체험해볼 수 있는 전시존과 다양한 온·오프라인 프로모션, 야구 팬들과 소통하는 이벤트를 마련해 경기를 찾은 관람객의 큰 관심을 끌었다. 한국레노버는 한화생명볼파크에 ▲게이밍 존 ▲AI PC 존 ▲태블릿 존 총 3개의 체험존을 마련했다. 게이밍 존에는 고성능 게이밍 노트북 ‘리전 프로 7i’, 프리미엄 데스크탑 ‘리전 타워 7i’, 울트라 와이드 모니터 ‘R34w-30’, 게이밍 특화 태블릿 ‘리전 탭 Y700 3세대’ 등 레노버 리전 에코시스템을 한 자리에 전시했다. AI PC존에는 인텔 기반 온디바이스 AI 기술이 탑재된 ‘요가 슬림 7i 아우라 에디션’과 프리미엄 컨버터블 노트북 ‘요가 7i 투인원’ 그리고 요가 북 9i를 전시해 관람객이 레노버의 AI 기반 스마트 기능을 직접 체험해보는 기회를 가졌다. 태블릿 존에는 ‘리전 탭, ‘요가 탭 플러스’, ‘아이디어 탭 프로’, ‘레노버 탭’을 전시해 관람객의 주목을 받았다. 이 날 레노버는 한국레노버 신규식 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최문정 교수 연구팀이 젠더에 따라 디지털 해킹 피해 경험과 대응 방식이 다르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8일 밝혔다. 해킹으로 인한 사이버 범죄 우려가 커지고 있음에도 기존 연구는 주로 기술적 측면에만 집중돼 있을 뿐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연구팀은 유사한 디지털 접근성과 사용 능력을 갖췄음에도 디지털 활용 결과에서 사회적 불균형이 나타나는 ‘제3레벨 디지털 격차’ 관점에서 젠더 차이에 주목했다. 해킹 피해를 본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의 게시물 1만3000여건을 수집해 인공지능으로 분석한 결과, 여성은 게임을 제외한 거의 모든 온라인 서비스 영역에서 남성보다 해킹 피해 경험을 더 많이 보고했다. 남성은 게임 관련 서비스의 해킹 피해가 두드러졌다. 여성은 해킹으로 인해 평판 손상, 금전적 손실, 개인화된 콘텐츠의 변경 등 부정적인 결과를 겪을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해킹에 대한 대처 전략에서도 젠더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남성은 해킹 출처를 추적하거나 계정을 복구하는 등 능동적인 전략을 주로 사용했지만, 여성은 피해 사실을 공유하거나 도움을 요청하는 등 사회적 자원을 활용하는
카스퍼스키가 전 세계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자 계정 700만 건 이상이 악성코드나 피싱 등으로 유출됐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보이는 GenZ 세대의 보안 인식을 환기하고 실질적인 보호 조치를 유도하기 위한 차원에서 마련됐다. 카스퍼스키의 Digital Footprint Intelligence 팀은 2024년 동안 넷플릭스, 디즈니+,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애플 TV+, 맥스 등 주요 스트리밍 플랫폼에 연결된 유출 자격 증명(credentials)을 분석한 결과, 총 703만5236건 침해 사례를 확인했다. 이들은 플랫폼 자체 해킹이 아닌 악성코드 감염, 피싱 사이트 이용, 비공식 앱 사용 등 외부 위협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출 계정 중 넷플릭스가 563만 건 이상으로 가장 많았고 디즈니+가 약 68만 건,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는 1600건 수준이었다. 브라질, 멕시코, 인도, 독일, 프랑스 등이 침해 계정이 많은 국가로 집계됐다. 이들 플랫폼은 GenZ 세대가 온라인 팬덤, 밈, 편집 영상 등을 통해 활발히 활동하는 공간으로 몰입도 높은 이용 행태가 보안상 취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침해된 기기는 스트리밍
유니티는 BMW 그룹이 3D 에셋 관리 플랫폼 ‘3D Mine’을 구동하기 위해 유니티 에셋 매니저(Unity Asset Manager)를 선택했다고 5일 밝혔다. 이를 통해 BMW 그룹은 빠르고 원활한 협력, 강화된 보안, 대규모 팀 간의 더 효율적인 운영 등 디지털 혁신을 크게 진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고급 자동차 제조업체 BMW 그룹은 유니티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을 통해 버전 관리 문제, 일관성 없는 파일 형식, 협업 장애물 등 방대한 3D 에셋 라이브러리를 관리하면서 직면해 온 오랜 과제를 해결하고 있다. 유니티 에셋 매니저는 이 과정을 더욱 간소화하고 중앙 집중화함으로써 BMW가 여러 부서에 걸쳐 콘텐츠 제작과 혁신을 확장할 수 있는 툴을 제공한다. 알렉스 블룸 유니티 최고 운영 책임자는 “BMW 그룹의 더욱 스마트하고 연결된 미래를 위한 여정을 지원하게 되어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며 “이제 BMW 그룹의 여러 부서들은 유니티 에셋 매니저를 통해 3D 에셋에 대한 단일 정보 소스에서 동기화된 작업이 가능하고 이를 유지하면서도 엔터프라이즈급 보안을 제공하고 새로운 효율성을 도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유니티의 광범위한 생태계는 고급 시각화 및 실시간
벡터코리아는 전기차, 의료, 항공, 산업용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자들을 위한 테스트 및 시뮬레이션 솔루션인 CANoe의 최신 버전 ‘CANoe 19’를 5일 공식 발표했다. 이번 릴리스는 DDS(Data Distributed Service) 지원, 새로운 전기 모터 모델 옵션(Electric Motor Model Option), 의료공학 전용 에디션(CANoe MedTech) 등을 포함해 분산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자들의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이 추가됐다. CANoe 19는 가상 실행 환경에서의 SIL(Software-in-the-Loop), 그리고 실제 하드웨어에서의 HIL(Hardware-in-the-Loop) 테스트를 모두 지원한다. 이로써 프로토타입 하드웨어, 실제 대상 하드웨어 및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와 서브시스템, ECU(전자제어장치) 및 전체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분석 및 테스트할 수 있다. 이번 버전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업데이트 중 하나는 DDS(Data Distributed Service)와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연결 기능을 각각 독립적인 옵션으로 제공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분산 데이터 통신을 기반으로 하
마에스트로 포렌식이 오는 19일 서울 독산동 인섹시큐리티 교육센터에서 수사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디지털 포렌식 및 침해사고 포렌식(DFIR)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실제 수사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디지털 증거 수집 및 분석 기술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세미나는 약 3시간 동안 디지털 포렌식 기술 소개와 운영체제별 실습 세션으로 구성된다. 마에스트로 포렌식은 자체 솔루션 ‘마에스트로 위즈덤(MAESTRO WISDOM)’ 시리즈를 기반으로 윈도우, 맥, 리눅스, 모바일 등 다양한 플랫폼 환경에서의 실시간·원격 분석 기술을 소개할 예정이다. 위즈덤 시리즈는 기존 단일 아티팩트 기반 분석을 넘어 수백 개 이상의 디지털 아티팩트를 연관 분석하는 방식으로, 기존 대비 3배 이상 빠른 증거 식별과 분석 속도를 제공한다. 포렌식 표준 형식(E01, dd, AFF4)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개인정보 중심 분석 기능도 탑재돼 법적 규제에 대한 대응도 가능하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Wisdom Live’를 활용한 윈도우 아티팩트 실시간 분석, ‘Wisdom macOS’를 통한 맥 환경 분석, ‘Wisdom Mobile’의 모바일 악성코드 탐지, ‘Wisdom
서울로 무대 확장...팝업 행사와 라이브쇼로 나뉘어 3일간 진행 구글이 오는 6월 13일부터 15일까지 서울 성수동과 KBS 아레나에서 ‘유튜브 팬페스트 코리아 2025(YouTube Fanfest Korea 2025, 이하 유튜브 팬페스트)’를 개최한다. 팬과 크리에이터가 소통하는 유튜브 대표 축제인 이번 행사는 팝업 행사와 라이브쇼로 나뉘어 3일간 진행된다. 작년 인천에서 6년 만에 오프라인으로 돌아온 유튜브 팬페스트는 약 1만여 명의 팬과 크리에이터를 끌어모으며 성황을 이뤘다. 올해는 행사 규모를 확장해 서울로 무대를 옮기고, 참여 크리에이터 수도 두 배 이상 늘어날 예정이다. 특히, LG유플러스가 구글과의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공식 참여한다. LG유플러스는 크리에이터 지원 프로그램과 AI 기술을 결합해 팬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현장에서 고객 중심의 브랜드 철학을 담은 새로운 슬로건을 최초 공개할 계획이다. 이번 유튜브 팬페스트는 크리에이터 존, 쇼핑/쇼츠 존, 유플러스 AI 체험존, 야외 포토존, 밋앤그릿 존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팝업 행사는 성수동 ‘스페이스 S50’에서 열리며, 뷰티·패션·푸드·여행 등 다양한 분야의 인기 크리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서울 코엑스에서 ‘ETRI 컨퍼런스 2025’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5일 밝혔다. ‘ETRI의 현재, 대한민국의 미래’를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는 약 2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세계최초 200Gbps급 6G 시연, AI 안내로봇 공개, 전략기술 세미나, 30개 기술의 성과전시, 기업설명회(IR)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이번 행사에서 가장 주목을 받은 기술은 세계 최초로 실시간 시연된 6G 통신 기술이었다. ETRI는 서브테라헤르츠(Sub-THz) 대역과 10GHz 광대역폭을 활용한 다중 송·수신 기술을 기반으로 서울부터 대전, 부산까지 약 800km 구간에서 통신지연이 5밀리초(ms) 미만의 초저지연 전송을 성공적으로 구현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AI 안내로봇 ‘에디(Eddie)’도 큰 박수를 받았다. 이날 ETRI 방승찬 원장은 시각장애인용 글라스를 쓰고 로봇 에디를 데리고 단상으로 내려왔다. 에디는 시각장애인을 돕는 안내견 역할을 톡톡히 해내 청중으로부터 뜨거운 함성과 격려를 받기도 했다. 에디는 4족 보행 플랫폼에 실시간 음성 안내와 대화 기능을 탑재한 멀티모달 AI 기반 로봇이다.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이동
레노버와 모토로라 모빌리티가 ‘2025 FIFA 클럽 월드컵’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모토로라는 이번 대회의 스마트폰 공식 파트너로 선정됐으며 이를 계기로 전 세계 축구 팬들과 소통하며 글로벌 브랜드 인지도를 강화할 예정이다. 이번 파트너십은 세계 유수의 스포츠 시설을 지원해 온 레노버의 기술력과 유산을 기반으로 하며, 경기장 안팎의 모든 이들에게 더 스마트한 기술을 제공한다는 브랜드 사명을 반영한다. 전 세계 클럽 축구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대회로 주목받고 있는 2025 FIFA 클럽 월드컵은 6월 14일부터 미국에서 개최된다. 6개 대륙 연맹에서 32개 팀이 참가해 클럽 월드컵 챔피언 자리를 두고 4주 동안 총 63개의 경기를 치른다. 공식 파트너사 레노버와 모토로라는 FIFA 및 토너먼트에 참여하는 32개 팀에 첨단 AI PC, 태블릿, 워크스테이션, 모토로라 스마트폰 등 필수 하드웨어와 서비스, 스마트 솔루션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 장비들은 대회 운영, 콘텐츠 제작, 팀 간 협업, 현장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계획이다. 현장 마케팅 활동으로는 경기 전·중·후에 경기장 LED 스크린과 전광판을 통해 레노버와 모토로라 브랜드 콘텐츠가 송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