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프로토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각종 3D프린터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지난 5월 출시된 스트라타시스의 3D프린터 F770은 3D프린팅에서 가장 일반적인 FDM 방식의 프린터로, 1000x610 x610mm의 큰 트레이 사이즈가 특징이다. 관계자는 1m의 대형 부품을 기존 3D프린터보다 훨씬 저렴하게 출력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라고 밝혔다. 같은 달 출시된 Origin One은 광중합 방식의 3D프린터다. 하단부에 위치한 넓직한 판에 액체 재료를 부어놓고 아래에서부터 빛을 쏴 경화시키면 위에 있는 판이 내려와 들어올리는 작업을 반복, 위에서부터 출력물이 거꾸로 만들어져 내려오는 방식이다. Origin One은 한 시간에 100mm까지 출력이 가능하고 기존의 금형 사출 공정처럼 열변형온도가 높고 고강도·고탄성의 제품을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관계자는 “프로토텍은 3D프린팅 업계에서 최초로 항공 인증
헬로티 조상록 기자 | 마틴프라우트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자체 생산한 랙-롤러 피니언, 로봇 감속기, 웜기어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랙-롤러 피니언은 무윤활 구동이(필요 시 표면보호피막 정도의 양으로 충분) 가능하기 때문에 클린 생산 환경에 적합하다. 이 제품은 미끄럼 마찰을 최소화 하였으며, 다양한 용량 및 길이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백래쉬 및 진동, 그리고 불규칙한 운동을 최소화 하였다. 고정밀 감속기는 로봇 감속기로, 소형·중형·대형으로 구성돼 있다. 마틴프라우트의 감속기는 입력축의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며, 탄성변형을 배제한 기구운동만으로 감속이 가능하다. 또 1단부 헬리컬기어 구조로 소음이 개선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헬로티 서재창 기자 | 텔레다인 플리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에서 FLIR A50·A70 스마트 센서 열화상 카메라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텔레다인 플리어가 전시회에서 선보인 FLIR A50/A70 스마트 센서 열화상 카메라는 공통 프로토콜을 사용해 산업 제어 및 모니터링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간편한 내장형 분석 기능과 온도 기반 측정 도구가 필요한 고객에게 적합하다. 텔레다인 플리어는 사용자의 주변환경 인식 및 파악 능력을 향상시켜주는 기술과 제품을 설계, 개발, 제작, 홍보, 공급하는 기업이다. 당사는 열화상 기술, 실화상 기술, 영상 분석 기술, 측정 및 진단 기술, 첨단 위협 감시 시스템 등을 이용해 혁신적인 각종 목표물 감시 솔루션을 일상 생활에 도입하고 있다. 텔레다인 플리어는 각종 정부 기관 및 국방, 산업 및 민간 시장에도 다양한 용도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당사의 제품은 응급 구조 대원과 군인의 인명 보호 및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쎄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에서 너트러너와 토르크트랜스듀서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쎄텍이 전시회에서 선보인 나사체결기 STNR TYPE의 너트러너는 소형 경량으로 설치, 운전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제품이다. 구동 모터는 AC 서보를 채택해 브러쉬 교환이 필요 없고 시퀀스 제어가 용이하며, 토르크 효율을 향상시켜 ±0.5%대의 고정밀도를 실현했으며 일정한 토크로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는 장치로 사용된다. 이와 더불어 토르크 센서는 스트레인 게이지 방식의 내부 비틀림을 신호처리해 직접적으로 아날로그 신호를 이용하거나 디지털 신호를 이용해 토르크를 측정·제어 하는 장치다. 쎄텍은 스트레인 게이지 방식을 방식의 토르크 트랜스듀서, 로드셀, 너트런너, 인디게이터, 변위변환기와 디지털 인디게이터, 증폭기 등을 제조, 판매하는 기업이다. 당사의 제품은 우수한 품질과 고정밀도 및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산업 생산 설비 현장에 지속적으로
헬로티 서재창 기자 | 프랑케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에서 와이어 레이스 베어링 등 당사의 베어링 라인업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당사는 독일 프랑케 GmbH의 한국 지사로, 와이어 레이스 베어링과 알루미늄 리니어 시스템 제조 기업이다. 당사의 안티프릭션 베어링은 볼과 볼케이지 그리고 4개의 레이스링이 볼을 에워싸는 구조로 구성돼 있다. 프랑케 와이어 레이스 베어링은 엘리먼트(레이스 웨이, 볼및 볼케이지) 또는 완제품 형태의 베어링의 두 가지 형태로 공급되고 있다. 기존 베어링과 다르게, 베어링의 하우징과 회전체가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적은 마찰력을 가진 레이스 웨이와 접촉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특별한 구조로 인해 프랑케 베어링은 콤팩트하며 아무리 작은 공간이라 하더라도 탄력적으로 적용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베어링 유격이 전혀 없는 로테이션 예압조절 4 포인트 베어링으로서 편하중이 있는 어플리케이션에서 고정밀 베어링을 구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위너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에서 당사의 직교로봇인 빅이어(Big Ear)'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위너는 샤프트, 롤러, 스크류 제조 기업이다. 위너는 열처리, 크롬도금, 정밀 연삭기술을 통해 직경 Ø4mm~Ø80mm까지 6000mm의 장축용 샤프트 및 다양한 종류의 트랙롤러 베어링을 생산하고 있다. 위너는 고속용 가이드인 스피드 가이드의 원천기술을 보유했으며, 여기에 타이밍벨트가 결합돼 경제적이면서 오픈 스크류 타입을 적용한 직교로봇을 발명한 바 있다. 이 제품은 공정 간 로봇이동이 필수인 4차 산업에 적합해 성장 가능성이 큰 제품으로 조명받고 있다. 직교로봇은 정밀한 반도체를 제조하고 민감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공하는데 사용된다. 특별한 오픈 스크류를 적용한 직교로봇인 빅이어는 길이가 10미터 이상으로 길어지게 구성돼 있으며, 이동속도가 무려 7배 이상 늘었다. 또한, 소음은 감소했으며, 모터의 효율 높아짐에 따라 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티라유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핵심 솔루션과 자율주행로봇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티라유텍은 올해 전시회에서 생산관리시스템(MES), 생산계획시스템(APS), 공급망관리(SCM), 중견/중소형 통합 제조 운영 시스템(MOM), 창고관리 시스템(WMS), 자율주행로봇(AMR) 등 스마트팩토리·물류 핵심 솔루션을 소개하며 참관객들의 주목을 받았다. 티라유텍의 자체 기술로 만들어진 생산관리시스템 ‘THiRA MES’는 FPD, 반도체, 전자부품, 화학 등 다양한 제조 산업에 적용되고 있다. 제조 현장과 실시간으로 연동돼 생산 활동을 최적화할 수 있는 정보를 관리·제어함으로써 제조 경쟁력을 높인다. 티라봇은 안정적인 접지로 고르지 않은 바닥 등 험준한 환경에서도 물류 이송이 가능한 티라유텍의 자율주행로봇이다. 열악한 실내외 환경과 10도의 경사로 등까지 주행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이번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비룡전자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에서 단자대 제품군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지난 1989년에 설립된 비룡전자는 전기·전자부품 제조 기업으로, 주요 품목으로는 단자대(PCB, RELAY, ONE TOUCH, MINIATURE, TAB, THROUGH, CONNECTOR TYPE 등), CT 단자대 등을 생산하고 있다. 비룡전자는 32년간 축적된 기술력과 ISO14001, ISO9001,SQ,TS16949를 비롯한 UL, VDE 등 해외 유명 인증을 획득해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참가해 1800개 부스에서 최신 스마트 제조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건흥전기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에서 제어용 스위치 라인업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전시회에서 선보인 제어용 스위치 중 하나인 NS22 시리즈는 제품 시인성 및 편의성을 고려한 디자인으로 제작됐다. 이 시리즈는 접점 블록 장착이 편리하고 견고하며, 고사양·고수명 제품이다. 또한, 연속 장착 가능한 접점블록 구조며, 내환경 강화 재질 및 IP66에 적합한 제품이다. 건흥전기는 국내 산업용 자동제어기기 제조 기업으로 근접센서, 말굽센서, 포토센서, 매입형스위치 등을 선보이며 유니트와 구동제어를 간단히 수행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건흥전기의 제품은 국내 자동체, 조선, 반도체 등 제조라인 설비, 검사장비, 제조장비 등에 적용돼 설치 및 사용되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전문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위드인포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에서 ‘진정한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위드엠이에스’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위드인포텍은 스마트팩토리 조성을 위한 통합 시스템 구축 과정에서 제조 기업의 요구사항을 반영해 업무 프로세스를 재설계하는 등 맞춤형 개발을 추구하는 전문 기업이다. 자사 개발 위드-엠이에스를 통해 전사자원관리를 기본 인프라로 MES/POP, QMS, EMS, SCM, 그룹웨어 등 제조 전반의 정보시스템과 자동화, 설비 인터페이스를 아우르는 통합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다. 위드인포텍은 기업 구성원의 능동적인 생각과 의사결정을 돕는 스마트팩토리를 추구한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참가
헬로티 함수미 기자 | ROS 기반 로봇 솔루션 제공 기업 로아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에서 메크아이(Mech-Eye) 제품군과 함께 3D 비전을 폭넓게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토털 로봇 솔루션 전문 기업인 로아스는 이번 전시에서 중국 메크마인드(Mech-Mind) 로보틱스 사의 메크아이 제품군의 산업 현장 적용을 실연하며, 시스템의 높은 정확도를 보여줬다. 로아스는 이렇게 혁신적 3D비전을 이용한 산업용 협동 로봇과 함께 스마트 공장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참가하여 1,800개 부스에서 최신 스마트 제조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이미지포커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다양한 산업용 카메라 및 조명, 비전 라이브러리 소프트웨어 등을 폭넓게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2003년 설립된 이미지포커스는 고객이 머신비전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개발할 수 있게끔 카메라, 보드, 렌즈, 조명, 프로그램 등 토털 솔루션 제품을 공급하는 회사다. 무인생산장비 및 검사장비에 적합한 고해상도 카메라와 다양한 성능의 머신비전 제품을 취급하며, 이번 전시에서는 캐나다, 독일, 일본산 고성능 산업용 카메라와 그 외 조명 등 머신비전 시스템 요소를 소개했다. CIS의 고해상도 카메라 VCC 25CXP1M는 5120(H) x 5120(V)dml 높은 해상도와 G pixel 분해능 4.5um의 정밀 측정 기능을 갖췄으며 CMOS 글로벌 셔터가 적용되었다. IO Industries의 Victorem 262G41 또한 5120(H) x 5120(V)의 높은 해상도 품질을 지녔으며, G pix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한백정밀시스템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반도체 검사장비 웨이퍼 진공척 등 제품을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전시된 웨이퍼 진공척은 반도체 후공정 검사장비에 장착되는 제품으로, 고정도 검사을 위한 웨이퍼 고정 척이다. 검사공정에 따라 가열척과 냉각척으로 구분되며 냉각척의 경우, 척 내부에 냉각유로를 생성하기 위해 상, 하판으로 구분 가공 후 브레이징해 후처리한다. 한백정밀시스템은 자동계량시스템 및 분말충진기, 밴드실러 그리고 이송기까지 공장 자동화기계 설비를 전문으로 하고 있는 기업이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참가하여 1,800개 부스에서 최신 스마트 제조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유진로봇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자율주행 물류로봇 GoCart와 라이다 제품군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GoCart는 다양한 성격의 물류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율 물류배송 시스템이다. 독자적인 3D ToF LiDAR 기반의 지능형 내비게이션을 통해 부가적인 인식표시 없이도 정확한 내비게이션과 장애물 회피를 지원한다. 주요 특징으로는 ▲FMS (Fleet Management System) 지원 ▲YUJIN 3D LiDAR 기반의 3D SLAM & Navigation ▲FMS를 통해 자동문 및 엘리베이터가 제어 가능한 스마트 인터페이스 제공 ▲국내최초 PL d 레벨 안전 시스템 획득 등이 있다. YUJIN LiDAR는 사물감지, Mapping, SLAM, Navigation 등 다양한 환경에 최적화된 실내용 2D/3D LiDAR 센서다. ▲ToF (Time of Flight) 싱글채널 ▲수직 스캔 각도
헬로티 이동재 기자 | SFA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로봇피킹시스템 등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SFA의 로봇피킹시스템은 딥러닝을 이용해 대상 물체를 인식하고, 최적의 포인트 추출을 통해, 자동으로 정형 및 비정형 물체를 Pick&Place하는 로봇 시스템이다. 기존 물류 시스템 (CV Sorter, Conveyor, Palletizer 등)과 연계해 물류 시스템 자동화 및 무인화가 가능하다. 1998년 설립된 SFA는 CRT, PDP, LCD와 OLED로 이어지는 디스플레이 산업의 세대 교체에서 고객사에 최적의 물류시스템 및 공정장비를 제공하면서 비약적으로 성장했다. 디스플레이 이외에도 2차전지, 반도체 및 유통/제조 AMHS 등의 다양한 산업 분야에 성공적으로 진출해 여러 글로벌 고객사로부터 세계일류 종합장비회사로 인정받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