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행정안전부와 함께 17일부터 19일까지 고양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대한민국 안전산업박람회’를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올해 박람회는 ‘스마트 재난관리, 재난 대응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다’를 주제로 열리며, 380개 기업과 기관이 참여해 최신 재난관리 제품과 기술을 선보인다. 행사장에는 AI, 로봇, 드론, 디지털트윈을 집약한 ‘첨단재난대응기술존’과 화재·침수·지진·산사태·산업안전 분야의 ‘일반산업관’이 마련된다. 해외 바이어 95개사가 참가하는 수출상담회와 국내 대기업·공공기관 41곳이 참여하는 동반성장구매상담회도 진행된다. 또한 교통·재난·생활·산업·수상·항공안전 등 33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찾아가는 안전체험교실’이 운영돼 모든 연령층이 실질적인 안전체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종돈 경기도 안전관리실장은 “2015년부터 전국 최초로 시작해 올해로 11회째를 맞은 이번 박람회가 대한민국 재난안전산업의 발전과 수출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며 “국민과 재난안전 관계자가 함께 참여해 안전의 중요성을 되새기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기존 모델 대비 20배 빠른 속도·절반 크기 혁신 구현 0.03nm 파장 분해능·넓은 측정범위로 정밀시험 지원 한국요꼬가와전기가 광 디바이스 및 광 모듈 생산 시험 시장을 겨냥한 신형 광 스펙트럼 분석기(OSA) ‘AQ6361’을 선보였다. 이번 신제품은 데이터센터 확장과 AI 기술 확산으로 급증하는 광 디바이스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제품이다. 최근 레이저 다이오드, 광 트랜시버, 광 증폭기 등 고성능 광 부품의 시장 수요가 빠르게 늘면서 생산 현장에서는 보다 정밀하고 효율적인 측정 솔루션이 필요해졌다. 특히, 측정 속도와 공간 효율성은 기업들이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AQ6361’은 기존 베스트셀러 모델 ‘AQ6370E’를 기반으로 성능을 대폭 향상시켰다. 측정 속도는 최대 20배 빨라졌으며, 본체 크기는 절반 이하로 줄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최적의 설치 환경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고속 측정과 소형화는 복잡해지는 광 모듈 생산 라인에서 작업 효율과 공간 활용도를 크게 높여준다. 또한 0.03nm의 높은 파장 분해능, 1200~1700nm의 넓은 측정 범위, 73dB 수준의 우수한 미광 억제 성능을 갖춰 다양한 광 디바이
인하대학교는 최우혁 고분자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부산대학교 김채빈 응용화학공학부 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재활용이 가능한 차세대 친환경 고분자 전해질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차세대 전지의 핵심 소재인 고체 고분자 전해질은 높은 이온 전도성과 기계적 안정성을 모두 갖춰야 한다. 그러나 기존 열경화성 고분자는 한 번 굳으면 다시 가공하거나 재활용할 수 없어 환경 부담과 비용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동적 공유결합(CAN·covalent adaptable network)에 주목했다. 이 결합은 필요할 때 끊어지거나 다시 형성될 수 있어 재활용과 재가공이 가능하다. 해외에서 전자재료와 구조용 소재에는 적용 사례가 있었지만, 전해질로서 강한 접착력·기계적 탄성·이온 전도성을 동시에 확보한 경우는 드물었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 문제가 됐던 촉매 필요성과 물성·재활용성 간 충돌을 해결했다. 연구팀은 촉매가 필요 없는 동적 공유결합 기반 고분자 전해질을 설계해 사용 후 재활용과 리튬염 회수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소재를 선보였다. 연구는 β-아미노에스터 기반의 가역적 결합을 도입해 전지 구동 중에는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필요 시 가열을 통해
퀄컴 테크날러지스가 차세대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확산 전략과 혁신 방향을 제시하는 ‘스냅드래곤 라이드(Snapdragon Ride)’ 백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백서는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으로 전환 중인 글로벌 자동차 산업을 배경으로, 스냅드래곤 라이드 플랫폼을 통해 안전 중심 아키텍처, 통합 콕핏, 60여 개국에서 검증된 실주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확장 가능한 AI 기반 ADAS를 상용화하는 방식을 소개한다. 스냅드래곤 라이드 플랫폼은 고성능·전력 효율적 솔루션을 통해 내연기관차부터 전기차까지 다양한 구동 방식을 지원하며, 프리미엄 차량뿐 아니라 대중차까지 다양한 티어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생성형 AI를 활용해 운전자의 행동과 선호에 맞춘 주행 경험을 제공한다. 자연어 처리 및 음성 기반 기술을 통해 운전자와 대화형으로 소통하며, 위험 상황을 예측·완화하는 기능을 갖췄다. 백서는 2035년까지 출시되는 신차의 절반 이상이 레벨 2+ 및 레벨 3 단계의 ADAS를 탑재할 것으로 전망했다. 퀄컴은 BMW, GM, 르노, 폭스바겐 그룹의 카리아드(Cariad) 등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와 협력해 프리미엄과 대중차 시장 전반에서 ADAS
KAIST 출신 연구진들이 창업한 로봇 기업들이 국내외에서 성과를 내며 한국 로봇 산업의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휴보를 개발한 오준호 교수가 설립한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세계적 휴머노이드 기술력을 앞세워 상장에 성공했으며, 기계공학과 공경철 교수가 창업한 재활·의료 로봇 전문기업 엔젤로보틱스도 상장에 성공했다. 연구실 기반 창업이 실제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다. 이후에도 다양한 로봇 스타트업이 배출됐다. 푸른로보틱스, 위로보틱스, 트라이앵글로보틱스와 함께 ▲사족보행 로봇을 개발하는 라이온로보틱스 ▲자율보행 로봇에 주력하는 유로로보틱스 ▲보행형 이동 로봇을 상용화하는 디든로보틱스가 대표적이다. 라이온로보틱스는 최근 230억 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다. 주력 제품인 사족보행 로봇 ‘라이보(Raibo)’는 강화학습 기반 AI와 8시간 구동 성능을 바탕으로 비정형 지형 보행과 마라톤 풀코스 완주에 성공하며 내구성을 입증했다. 유로로보틱스는 35억 원 시드 투자와 15억 원 규모 딥테크 팁스 선정을 확보했다. 제어·자율보행 기술을 내재화해 휴머노이드 적용 가능성을 넓히고 있으며, 국방·건설·물류 등으로 적용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디든로보틱스는 철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국립한국교통대학교(이하 한국교통대)와 전력 반도체 기술 지원 강화를 위한 파워 랩(Power Lab) 설립 협력을 발표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협력은 지난 7월 1일부터 진행됐으며, 국내 자동차 및 산업용 분야 주요 고객에 대한 ST의 기술 지원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교통대 철도전기정보공학과 이재범 교수는 “산업과 자동차의 전기화 및 지속가능성 향상에 필수적인 전력 반도체 분야에서 ST와 협력하게 돼 기쁘다”며 “파워 랩의 활동을 통해 학술적 접근을 넘어 실용적이고 산업 중심적인 모델로 나아가 반도체 산업의 관점과 경험을 확장하고, 한국의 글로벌 기술 위상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히로시 노구치 ST APeC(중국 제외 아시아태평양) 세일즈·마케팅 수석 부사장은 “120년 역사를 바탕으로 교통공학 인재를 양성해 온 한국교통대와 협력하게 되어 영광스럽다”며 “파워 랩을 통해 한국 고객들의 기술 문의에 신속히 대응하고 고객 참여를 확대할 수 있게 됐다. 또한 STEM 프로그램을 통해 차세대 엔지니어 발굴·육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
해줌이 IT 서비스 기업 지엔텔과 전력중개사업(VPP)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육지 VPP 시장 선점을 목표로 소규모 분산전원 자원 확보에 나선다. 양사는 전력중개사업 인프라 구축과 제품 공급에서 협력 방안을 모색하며, 재생에너지의 안정적 공급을 기반으로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탄소중립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전력중개사업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국내 1호 전력중개사업자인 해줌은 전력거래소 발전량 예측대회에서의 수상과 AAA등급 발전량 예측 특허를 보유한 독보적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지엔텔과 인프라 구축 기술을 결합해 VPP 사업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예정이다. 지엔텔은 2004년 설립된 IT 서비스 기업으로, 5G 모바일 인프라, 5G 특화망, 스마트 에너지 등 다양한 영역에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해 왔다. 특히 태양광·에너지저장장치(ESS) 및 전기차 충전 인프라 사업에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며 에너지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권오현 해줌 대표는 “지엔텔의 인프라 구축 역량과 해줌의 VPP 기술력을 결합해 출력제어에 대응하고 태양광 발전사업자의 안정적인
Hokuetsu, 2025년 7월부터 공식 도입 … 디지털 전환 가속 복잡한 제약 조건도 10초 만에 해결하는 스마트 적재 계획 요꼬가와가 자회사 요꼬가와 디지털 코퍼레이션(Yokogawa Digital Corporation)을 통해 Hokuetsu 계열 물류사인 Hokuetsu Logistics Corporation에 ‘AI 기반 아웃바운드 적재 계획 자동화 솔루션’의 PoC(개념 증명)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Hokuetsu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2025년 7월부터 해당 솔루션을 공식 도입하기로 확정했다. Hokuetsu는 종이 및 펄프 제품 제조·판매 기업으로, 제품 운송 과정에서 형태·규격, 배송 지역 조건, 차량 종류 등 복잡한 제약 요인을 안고 있었다. 특히 다수 목적지 배송 시 트럭 운전자의 부담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동선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했지만, 기존 조합 최적화 방식으로는 계산 복잡도가 높아 계획 수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됐다. 더불어 적재 계획 전문가 양성 또한 난제가 되어왔다. 이에 요꼬가와는 Hokuetsu의 숙련된 계획 전문가들을 심층 인터뷰해 사고 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전문가 수준의 의사결정을 모방하는
씨이랩이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K-휴머노이드 연합’의 신규 참여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K-휴머노이드 연합은 2030년까지 대한민국을 글로벌 휴머노이드 강국으로 도약시키기 위해 지난 4월 출범한 국가 주도 협력체다. 삼성전자, SK, LG전자, 포스코 등 국내 대기업과 HD현대로보틱스, 두산로보틱스 등 로봇 제조사, 대학 및 연구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씨이랩은 이번 연합에서 비전 AI와 디지털 트윈 기술을 기반으로 휴머노이드와 자율이동로봇(AMR)이 산업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협업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한다. 우선, 130개 이상의 자체 비전 AI 모델을 활용해 객체 인식 성능을 고도화하고, 산업 환경에서 로봇이 상황을 정확히 이해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한다. 또한 디지털 트윈 구축 경험을 활용해 AMR의 이동 경로를 시뮬레이션하고 충돌 위험을 사전 예측·방지해 자율 주행 안정성을 높인다. 씨이랩은 향후 다양한 로봇 제조사와 협력해 산업 현장 적용 가능한 상용화 모델을 검증·확산하고, 제조·자율주행·스마트팩토리 등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AI 적용을 확대해 휴머노이드 상용화 생태계 조성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윤세혁 씨이랩 대표
원/달러 환율은 16일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 등의 영향으로 장 초반 하락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10분 현재 전날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보다 3.4원 내린 1385.6원이다. 환율은 전날보다 2.9원 내린 1386.1로 출발한 뒤 비슷한 흐름을 유지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결정이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우세한 금리 인하 전망이 달러 약세로 이어지고 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현재 97.338 수준이다. 3거래일째 97대를 지속하고 있다. 위험자산 선호 심리도 환율 하락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간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중 무역협상을 “매우 잘됐다”고 평가하면서 미국 뉴욕 증시가 호조를 보였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0.47%, 나스닥 종합지수는 0.94% 각각 상승해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40.27원으로, 전날 오후 3시30분 기준가인 941.09원보다 0.82원 하락했다. 엔/달러 환율은 0.03엔 오른 147.43엔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보그워너가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 2곳과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HEV) 플랫폼에 적용될 고전압 냉각수 히터(HVCH)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계약 중 하나는 전통적인 글로벌 완성차 업체와 진행하는 하이브리드 프로그램에서 보그워너의 첫 전기 히터 공급 사례다. 400V HVCH는 해당 업체의 PHEV 전 차종에 적용되며 2028년부터 양산된다. 또 다른 계약은 장기적 협력 관계를 맺고 있는 글로벌 OEM과 체결했으며, 800V HVCH를 픽업트럭을 포함한 여러 PHEV 플랫폼에 공급할 예정이다. 이 역시 2028년부터 양산이 시작된다. 보그워너는 HVCH를 통해 배터리 및 실내 난방 성능을 강화하고 전동화 부품 사업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볼커 웡 보그워너 부사장은 “첫 전기 히터 수주와 공급 확대 모두 기술 리더십을 입증하는 성과”라며 “파트너사와의 협력 관계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보그워너의 HVCH는 소형·모듈화된 설계로 경량화를 실현했으며, 저항 발열체와 스마트 컨트롤러를 적용해 냉각수에 열을 효율적으로 전달한다. 이를 통해 혹한기에도 배터리와 실내 난방을 안정적으로 지원한다. 또한 낮은 열 용량과 높은 출력
SK온이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의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대전 유성구 미래기술원에 파일럿 플랜트를 준공했다고 16일 밝혔다. 새로 준공된 플랜트는 약 4628㎡(1400평) 규모로, 고객사에 공급할 시제품을 생산하고 제품의 품질·성능을 평가·검증하는 역할을 한다. SK온은 이곳에서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하며, 일부 라인에서는 리튬 메탈 배터리도 연구한다. 리튬 메탈 배터리는 흑연 음극 대신 리튬 메탈을 적용해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는 차세대 기술이다. SK온은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목표를 기존 2030년에서 2029년으로 1년 앞당겼다. 초기에는 에너지 밀도 800Wh/L 수준을 목표로 하고, 장기적으로는 1000Wh/L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전고체 배터리는 전해질이 고체라 에너지 밀도가 높고 열·압력에도 강해 화재 및 폭발 위험이 적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제조 과정에서 높은 압력과 온도가 필요해 설비 구축이 어렵고, 고체 전해질 특성상 계면 저항을 줄이는 기술적 과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SK온은 파일럿 플랜트에 국내 최초로 ‘온간등압프레스(WIP) 프리 기술’을 적용했다. 이는 상온보다 높은 25∼100도 환경에서
IEC 1906 Award 3년 연속 수상…글로벌 무대서 입지 강화 공정 자동화·IoT·BCI 표준화 이끄는 요꼬가와 인재의 성과 요꼬가와 영국 법인의 데이비드 보드(Mr. David Board) 직원이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로부터 ‘IEC 1906 Award’를 수상했다. 이 상은 IEC 전기·전자 기술 표준화에 탁월한 기여를 한 개인에게 수여되는 권위 있는 상으로, 요꼬가와 직원이 이 상을 수상한 것은 올해로 3년 연속이다. 보드는 공정 자동화 분야의 핵심 표준 개발에 기여해왔다. 그는 공정 자동화 시스템용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국제 표준(IEC 63303)의 공동 의장을 맡았으며, 배치 제어 시스템 표준(IEC 61512) 의장으로 활동했다. 또한 IEC 기술위원회 65(IEC/TC65)에서 연속 공정 운영을 위한 절차 자동화 표준(IEC 63661)의 프로젝트 책임자로 참여하며 산업계의 표준 정립을 주도했다. 이와 더불어 보드는 사물인터넷(IoT)과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표준화에도 적극적이다. ISO/IEC JTC 1/SC 41 전문가 위원회에서 IoT 기초 표준 분과 의장을 맡아 글로벌 IoT 확산의 기틀을 마련했으며, 뇌-컴퓨터
제조업의 경쟁 환경은 빠르게 변하고 있으며, AI와 디지털 트윈은 새로운 혁신의 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생산성과 품질을 동시에 높이기 위해서는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과 실시간 시뮬레이션이 필수로 요구된다. 이번 ‘2025 자동화기술동향포럼 웨비나’는 산업자동화 분야의 최신 동향과 글로벌 현장에서 검증된 솔루션을 한 자리에서 소개하며 스마트 제조 혁신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된다. 이번 웨비나는 위너스오토메이션이 주최하며, Rockwell Automation, Cisco, Rittal, Belden-ProSoft 등 글로벌 선도 기업이 참여한다. 각사는 AI 기반 자율제조, 예지보전, 네트워크 보안, 스마트 제어 패널 등 다양한 주제의 솔루션을 발표해 차세대 제조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한다. 기조연설에서는 윤병동 원프레딕트 대표이사이자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가 ‘Manufacturing AI Transformation - Beyond Manufacturing’을 주제로, 조규민 이안 최고운영책임자가 ‘산업 AI x 디지털트윈 기술 인사이드 아웃’을 주제로 발표한다. 이어 백효인 Rockwell Automation 팀장은 ‘AI Powered 솔루
제조업의 경쟁 환경은 빠르게 변하고 있으며, AI와 디지털 트윈은 새로운 혁신의 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생산성과 품질을 동시에 높이기 위해서는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과 실시간 시뮬레이션이 필수로 요구된다. 이번 ‘2025 자동화기술동향포럼 웨비나’는 산업자동화 분야의 최신 동향과 글로벌 현장에서 검증된 솔루션을 한 자리에서 소개하며 스마트 제조 혁신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된다. 이번 웨비나는 위너스오토메이션이 주최하며, Rockwell Automation, Cisco, Rittal, Belden-ProSoft 등 글로벌 선도 기업이 참여한다. 각사는 AI 기반 자율제조, 예지보전, 네트워크 보안, 스마트 제어 패널 등 다양한 주제의 솔루션을 발표해 차세대 제조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한다. 기조연설에서는 윤병동 원프레딕트 대표이사이자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가 ‘Manufacturing AI Transformation - Beyond Manufacturing’을 주제로, 조규민 이안 최고운영책임자가 ‘산업 AI x 디지털트윈 기술 인사이드 아웃’을 주제로 발표한다. 이어 백효인 Rockwell Automation 팀장은 ‘AI Powered 솔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