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마이 테크놀로지스가 새로운 글로벌 통합 파트너 프로그램 ‘아카마이 파트너 커넥트(Akamai Partner Connect)’를 발표했다. 기존에 분리되어 있던 파트너 구조를 단일 프레임워크로 통합해 단순성과 유연성을 강화하고, 현지화된 등급 체계와 전략적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파트너사의 시장 진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이번 프로그램은 재판매, 유통, 기술 솔루션 지원, 서비스, 추천(Referrals) 등으로 나뉘어 있던 파트너 참여 모델을 하나로 묶어 복잡성을 줄이고 지리적 특성에 따른 참여 방식을 간소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아카마이는 파트너의 피드백을 반영해 인센티브 구조를 명확히 하고 지역 차원의 유연성을 확대할 수 있도록 했다. 폴 조셉 아카마이 글로벌 채널 부문 부사장은 “파트너들은 더 쉽게 참여할 수 있고 명확한 인센티브 구조를 제공하며 지역 차원의 유연성 확대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원하고 있다”며 “아카마이 파트너 커넥트는 이러한 피드백을 반영하여 각 파트너 유형의 비즈니스 모델에 최적화된 방식으로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전략적 솔루션과 연계된 보상을 제공하며 각 지역 팀이 파트너의 운영 방식에 맞게 파트너를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은 읽기 어렵고, 해석은 더 어렵습니다. 하지만 한 줄의 공고, 하나의 법 개정이 산업 현장과 기업의 방향을 바꿉니다. [알쓸정책]은 산업 종사자들이 꼭 알아야 할 주요 정책과 제도 변화, 공고 내용을 실무 관점에서 쉽게 풀어주는 주간 시리즈입니다. 기술개발 지원사업부터 인허가 제도, ESG·세제 변화, 규제 샌드박스까지. 산업인의 정책 내비게이션, 지금부터 시작합니다. 산업부, OECD 원자력 장관회의서 SMR 상용화 방안 논의 산업통상자원부는 18∼19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원자력기구(NEA) 주관 ‘제3차 신원자력 로드맵 컨퍼런스’를 주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회의는 원자력 활용 방안, 자금 조달, 원전 공급망, 개도국 원전 건설 등을 주요 의제로 다룬 국제 장관급 회의다. 올해 한국이 의장국을 맡아 산업부가 회의를 주최했으며, 회원국은 물론 국제기구와 글로벌 기업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참가국들은 원자력의 활용 범위를 기존 전력 생산에서 나아가 에너지 집약 시설, 열·수소 생산 등으로 확대할 필요성에 공감했다. 또한 소형모듈원자로(SMR)를 포함한 원전 산업의 혁신 방안과 상용화 촉진
에스투더블유가 코스닥 시장에 신규 상장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2018년 설립 이후 특수 목적 빅데이터와 산업 특화 AI 기술을 결합해 공공과 민간 전반에 걸친 사업 확장성을 입증한 에스투더블유는 이번 상장을 새로운 성장 기점으로 삼고 세계적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계획이다. 에스투더블유는 2025년 9월 19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다. 앞선 수요예측에서는 약 1145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공모가를 희망밴드 최상단인 1만 3200원으로 확정했고 일반청약에서도 약 1973 대 1의 경쟁률을 달성하며 5조 1400억 원 이상의 증거금을 모집했다. 기관투자자 의무보유 확약 우선배정제도 요건을 충족하면서 투자 안정성도 확보했다. 이를 통해 기술력과 사업성에 대한 시장 기대감을 확인했다. 회사는 이번 상장을 계기로 확보한 공모자금을 해외법인 신설, 글로벌 브랜딩 강화, 데이터센터(IDC) 건립 등 글로벌 비즈니스 기반 구축에 집중 투입할 방침이다. 특히 상장사로서의 신뢰도를 앞세워 글로벌 공공 부문 B2G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각국의 기업 및 민간 시장으로 확장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국가 안보와 산업을 아우르는 투트랙 전략을 정교화해 국제 시장 경
오는 30일 오후 2시부터 3시 10분까지 3D 머신비전을 주제로 한 웨비나가 열려 주목된다. 이번 웨비나는 화인스텍이 주최하며 제조·물류 현장에서 3D 머신비전과 로봇 융합이 가져올 혁신적인 자동화 전략을 심도 있게 다룬다. 오늘날 자동화 산업은 생산성 향상, 품질 관리, 비용 절감이라는 공통 과제에 직면해 있다. 그러나 기존 2D 머신비전만으로는 복잡한 형상 인식이나 정밀 검사, 로봇 연계 자동화의 요구를 충족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대한 해답으로 주목받는 기술이 바로 3D 머신비전이다. 화인스텍은 이번 웨비나에서 3D 머신비전의 기본 원리와 2D 비전과의 차이, 주요 기술 요소를 소개한다. 이어 ▲2차 전지 ▲물류·유통 ▲자동차 ▲HBM 반도체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의 실제 적용 사례를 구체적으로 다룬다. 이를 통해 3D 비전이 어떻게 현장의 생산성과 품질을 동시에 높이고 있는지 보여줄 예정이다. 특히, 로봇과의 융합 세션에서는 3D 비전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화두 아래, 제조 현장에서 실현 가능한 스마트 자동화 전략과 시너지 효과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참가자들은 로봇 기반 생산 공정에 3D 비전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 방향성을 얻을
오는 30일 오후 2시부터 3시 10분까지 3D 머신비전을 주제로 한 웨비나가 열려 주목된다. 이번 웨비나는 화인스텍이 주최하며 제조·물류 현장에서 3D 머신비전과 로봇 융합이 가져올 혁신적인 자동화 전략을 심도 있게 다룬다. 오늘날 자동화 산업은 생산성 향상, 품질 관리, 비용 절감이라는 공통 과제에 직면해 있다. 그러나 기존 2D 머신비전만으로는 복잡한 형상 인식이나 정밀 검사, 로봇 연계 자동화의 요구를 충족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대한 해답으로 주목받는 기술이 바로 3D 머신비전이다. 화인스텍은 이번 웨비나에서 3D 머신비전의 기본 원리와 2D 비전과의 차이, 주요 기술 요소를 소개한다. 이어 ▲2차 전지 ▲물류·유통 ▲자동차 ▲HBM 반도체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의 실제 적용 사례를 구체적으로 다룬다. 이를 통해 3D 비전이 어떻게 현장의 생산성과 품질을 동시에 높이고 있는지 보여줄 예정이다. 특히, 로봇과의 융합 세션에서는 3D 비전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화두 아래, 제조 현장에서 실현 가능한 스마트 자동화 전략과 시너지 효과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참가자들은 로봇 기반 생산 공정에 3D 비전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 방향성을 얻을
멘딕스가 메가존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한국 시장에서 로우코드 기반 디지털 혁신 가속화에 나섰다. 이번 협력은 로우코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도입하려는 국내 기업들에게 글로벌 수준의 개발 역량을 제공하고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안정적이고 민첩한 솔루션 활용을 지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 멘딕스는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의 사업부로 최근 AI Agent 시대를 선도하는 Studio Pro 통합 기능 Maia를 선보이며 글로벌 확장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메가존은 메가존클라우드의 모회사로한국 시장에 대한 전문성과 광범위한 유통망을 기반으로 멘딕스의 공식 총판 파트너 역할을 맡는다. 이를 통해 국내 기업들은 멘딕스의 플랫폼을 보다 손쉽게 활용해 아이디어를 실효성 있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고 엔터프라이즈급 보안과 거버넌스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양사는 이번 계약을 통해 시장 개발과 고객사 공동 대응, 기술 지원 등 포괄적인 프레임워크를 마련했다. 메가존은 리셀러 발굴과 영입, 교육 프로그램 운영, 세일즈 역량 강화, 제품 인증, 고객 서비스 지원 등 전 과정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연간 매출 목표 달성과 공동 성장 전략에 기여할 계획이다. 또한
케이알엠이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고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이 운영하는 ‘K-휴머노이드 연합’의 신규 참여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19일 밝혔다. ‘K-휴머노이드 연합’은 2030년까지 대한민국을 세계 휴머노이드 로봇 강국으로 도약시키기 위해 올해 4월 출범한 범국가 프로젝트다. 서울대, KAIST, 연세대, 포항공대(POSTECH) 등 주요 연구기관과 삼성전자, LG전자, SK, 포스코 등 국내 대표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케이알엠은 이번 합류를 계기로 휴머노이드 로봇의 고하중·고기동성을 구현할 수 있는 ‘고토크밀도 일체형 구동기(QDD, Quasi-Direct Drive)’ 개발과 핵심 지식재산(IP) 확보에 나선다. 케이알엠은 이미 모터, 감속기, 제어기를 아우르는 전주기 설계 및 양산 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부품 시장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다. 케이알엠은 고스트로보틱스(Ghost Robotics)의 핵심 파트너사로서 사족보행 로봇과 로봇 매니퓰레이터 분야에 공급 및 수출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월 2만 개 이상의 모터를 생산할 수 있는 양산 인프라도 구축해 휴머노이드 로봇 부품의 해외 의존도를 줄이는 데 기여
인하대학교는 우주 미세중력 환경이 우주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과 원인을 뇌신경회로칩 모델을 통해 규명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인하대 양수근·유혜진 교수팀과 동국대 방석영 교수팀, 광주과학기술원 조경래 교수팀이 공동으로 수행했다. 연구진은 뇌신경회로 모사칩을 활용해 미세중력 환경에서 신경세포의 연결성과 활성을 측정했다. 그 결과 지상 환경과 비교했을 때 신경세포의 연결성이 유의미하게 감소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실험은 랫드 배아에서 추출한 신경아세포를 성숙한 신경세포로 분화시킨 뒤 뇌신경회로칩에 탑재해 미세중력 모사환경에서 배양하며 진행됐다. 관찰 결과, 세포 내 활성산소가 증가하고 칼슘 농도가 변했으며, 축삭돌기 밀도와 시냅스 형성이 감소했다. 또한 세포 스트레스 방어에 관여하는 유전자(HSPA4) 발현이 줄어든 반면, 신경퇴행 질환과 연관된 유전자(SNCA)는 발현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우주인의 비가역적인 뇌인지기능 변화가 인류의 화성 탐사와 지속가능한 우주개척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난제라고 지적해 왔다. 이에 따라 전 세계 연구진이 대응 방안을 찾기 위해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양수근 인하대 의과대학 교
제조 현장은 비용 절감, 생산성 향상, 설치 간소화라는 과제를 동시에 풀어야 한다. 제어 패널의 공간 효율과 배선 구성, 운전 안정성은 곧 설비 가동률과 품질로 이어진다. 이번 온라인 세미나는 스마트 모터 스타터와 네트워크 기반 패널 아키텍처를 통해 패널 설계부터 시운전, 운용까지의 복잡도를 낮추는 방법을 제시한다. 발표는 임호빈 로크웰 오토메이션 코리아 차장이 맡는다. 세션에서는 ‘M100 스마트 모터 스타터’와 ‘EtherNet/IP 인캐비닛 솔루션’을 중심으로 공간·배선·연결성·안전 측면의 정량 지표를 제시하고 제어 패널의 표준화와 운영 단순화를 위한 구성 방안을 설명한다. M100 스마트 모터 스타터는 최대 78%의 패널 설치공간을 줄이고 최대 56%의 배선 비용을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좌우 Zero Stack 설치와 최대 55°C 환경에서의 성능 저하 없는 동작을 지원해 패널 밀도를 높이면서도 열 환경을 관리한다. Point-on-Wave(POW) 스위칭으로 전기 부하를 정밀 제어하고, IEC 61508 SIL3 / PL-e 등급의 STO 기능을 제공해 안전 회로 신뢰성을 확보한다. Trip 전류 범위는 0.75~9A, 4.6~23A로 안내된다
제조 현장은 비용 절감, 생산성 향상, 설치 간소화라는 과제를 동시에 풀어야 한다. 제어 패널의 공간 효율과 배선 구성, 운전 안정성은 곧 설비 가동률과 품질로 이어진다. 이번 온라인 세미나는 스마트 모터 스타터와 네트워크 기반 패널 아키텍처를 통해 패널 설계부터 시운전, 운용까지의 복잡도를 낮추는 방법을 제시한다. 발표는 임호빈 로크웰 오토메이션 코리아 차장이 맡는다. 세션에서는 ‘M100 스마트 모터 스타터’와 ‘EtherNet/IP 인캐비닛 솔루션’을 중심으로 공간·배선·연결성·안전 측면의 정량 지표를 제시하고 제어 패널의 표준화와 운영 단순화를 위한 구성 방안을 설명한다. M100 스마트 모터 스타터는 최대 78%의 패널 설치공간을 줄이고 최대 56%의 배선 비용을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좌우 Zero Stack 설치와 최대 55°C 환경에서의 성능 저하 없는 동작을 지원해 패널 밀도를 높이면서도 열 환경을 관리한다. Point-on-Wave(POW) 스위칭으로 전기 부하를 정밀 제어하고, IEC 61508 SIL3 / PL-e 등급의 STO 기능을 제공해 안전 회로 신뢰성을 확보한다. Trip 전류 범위는 0.75~9A, 4.6~23A로 안내된다
생성형 AI와 영화의 만남, 서태규 감독을 만나다 생성형 AI는 빠른 속도로 우리 일상에 녹아들고 있다. AI 태동기만 해도 전문가와 대중 모두 창작만큼은 AI가 가장 늦게 침투할 영역이라 예상했다. 창작은 ‘창의성’을 기반으로 한 인간 고유의 영역이라는 믿음 때문이었다. 그러나 현실은 달랐다. AI 기술이 가파르게 발전하면서 생성형 AI는 글과 그림, 음악과 영상 등 장르를 가리지 않고 본격적으로 전 영역을 파고들었다. 이제 사람들은 AI와 함께 글을 쓰거나 AI로 생성된 이미지를 자신의 SNS에 올린다. AI가 작곡해 준 플레이리스트를 들으면서 휴식을 취하고, 유튜브와 각종 숏폼 플랫폼에서 영상화된 AI 콘텐츠를 즐기면서 시간을 보낸다. AI라는 새로운 도구의 등장과 함께 창작자들 역시 이 도구 사용법을 두고 고민에 빠졌다. 특히 ‘영화’는 예술 장르 중에서도 흔히 ‘종합 예술’로 꼽히며 다양한 예술적 요소를 아우르면서 동시에 촬영·연출·편집 등 전문적인 기술 역량이 요구된다. 홀로 하는 작업이 아닌 팀 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사이에 존재하는 기술적 역량을 조율하는 것 또한 중요한 과제다. 이러한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며 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인물이
NVIDIA Jetson AGX Orin으로 가속된 엣지 AI 연산 VLM 기반 장면 라벨링+LLM 기반 자연어 내비게이션 엣지 AI 분야 선두기업 어드밴텍이 NVIDIA Jetson AGX Orin 기반의 AMR 개발자 키트를 공개했다. AMR 개발자 키트는 자율이동로봇(AMR)의 상용화를 가속화할 수 있는 레퍼런스 디자인으로, 개발자와 OEM, 시스템 통합업체가 지능형 로봇을 보다 손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 개발자 키트는 360° 파노라마 인식과 고성능 엣지 AI, 비전-언어 모델(VLM) 및 대형 언어 모델(LLM)을 결합해 단순한 이동을 넘어 ‘이해하고 상호작용하는 로봇’을 지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성이나 텍스트로 “커피를 어디서 살 수 있나요?”라고 입력하면, AMR은 VLM이 자동 라벨링한 목적지를 인식해 즉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물리적 공간에서 AI의 실질적 역할을 강화하는 ‘Physical AI’ 구현의 한 사례로 평가된다. 하드웨어 측면에서는 4개의 GMSL 2D 카메라와 4개의 스테레오 3D 카메라를 탑재해 깊이 기반 파노라마 인식을 제공한다. 밀리초 단위의 동기화로 비주얼 SLAM, 3D 매핑, 장애물 감지 기능을
국토부·산업부, 'SAF 혼합 의무화제도 로드맵' 발표… 국제항공 탄소중립 선도 'SAF 얼라이언스' 공식 출범으로 제도 정비 및 이행 관리 추진 국내 출발 항공편이 오는 2027년부터 지속가능항공유(SAF, Sustainable Aviation Fuel)를 의무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9월 19일 대한건축사협회에서 항공·정유업계 및 관계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국제항공 탄소중립 선도와 신산업 육성을 위한 지속가능항공유(SAF) 혼합 의무화제도 로드맵을 공동으로 발표하며, 동시에 SAF 동맹을 공식 출범했다. 이 자리에는 강희업 국토부 2차관과 이원주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이 참석하여 국내 항공 산업의 친환경 전환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표명했다. 국제 목표에 발맞춰 국내 제도화 가속화 국제민간항공기구(ICAO)는 '2050 탄소중립(Net Zero)' 목표 달성을 위해 2030년까지 국제항공 부문 탄소 배출량을 5% 감축할 것을 권고하며 SAF 활용을 강조한 바 있다(2023년 11월). 이에 유럽연합(EU)과 영국은 SAF 혼합 의무화 제도를 선제적으로 도입하며 올해를 SAF 의무화의 원년으로 선언하는 등 국제항공 탈
캐디안은 차세대 BIM 뷰어 ‘CADian BIM Viewer 2026’을 공식 출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제품은 오토데스크 Revit 원본 파일을 별도 변환 과정 없이 직접 열람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해 BIM 협업의 효율성과 접근성을 크게 높인 것이 특징이다. CADian BIM Viewer 2026은 건축·엔지니어링 업계에서 널리 쓰이는 Revit의 .rvt, .rfa 파일을 중간 변환 없이 바로 열람할 수 있는 국산 BIM 뷰어다. 기존에는 중립 포맷(.ifc) 변환 과정에서 형상이나 속성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이번 제품은 이를 최소화해 보다 정밀하고 신뢰성 있는 모델 검토가 가능하다. PDF 및 IFC 파일 내보내기, 단일·다중 시트 출력 기능도 지원돼 협업자는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 BIM 모델을 전자 문서 형태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무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출력 기능은 강점으로 꼽힌다. 사용자 경험도 강화됐다. CADian BIM Viewer는 Revit과 유사한 UI와 조작 방식을 채택해 기존 사용자라면 별도의 교육 없이 바로 활용할 수 있다. 주요 기능으로는 뷰 스케일 조정, 가시성 및 그래픽 설정, 단면 박
AI 선박 자율운항 솔루션 전문기업 씨드로닉스(대표 박별터)가 싱가포르 해양통합관리청(Maritime and Port Authority of Singapore, MPA)이 주최한 ‘제5회 싱가포르 해양 리더십 최고위 과정(Maritime Leadership Programme, MLP)’의 한국 탐방 첫날 방문 기업으로 선정됐다. 씨드로닉스는 지난 17일 서울 소재 R&D 연구소에서 글로벌 해양 리더들과 함께하는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이번 탐방에는 PSA Corporation, Wartsila 등 글로벌 해양 산업을 선도하는 기업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했다. 참가자들은 씨드로닉스 연구소를 방문해 최신 자율운항 AI 솔루션을 직접 체험했으며, 해양 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혁신 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현장에서는 씨드로닉스가 개발한 선박 항해 전 과정을 스마트화할 수 있는 해양 상황 인식 및 자율운항 솔루션이 공개돼 높은 호응을 얻었다. 씨드로닉스는 항만 출발부터 도착까지 선박의 전 과정을 디지털화할 수 있는 AI 기반 기술을 집중적으로 소개했다. 특히 실시간 AI 어라운드뷰(Around View) 시스템을 활용한 시뮬레이터 체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