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2025년 경영전망조사"…대기업이 긴축·투자축소 기조 강해 우리나라 기업 절반가량이 내년 긴축 경영에 나설 계획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아울러 기업 10곳 중 8곳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당선이 우리 경제에 부정적이라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30인 이상 기업 239개사 최고경영자(CEO)와 임원을 대상으로 최근 실시한 '2025년 기업 경영 전망 조사' 결과를 1일 발표했다. 응답 기업 65.7%가 내년 경영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힌 가운데 이 중 49.7%는 내년 경영 기조를 '긴축 경영'으로 정했다고 답했다. '현상 유지'와 '확대 경영'을 택한 비율은 각각 28.0%, 22.3%였다. 기업들이 긴축 경영에 나서겠다고 답한 비율은 2019년 조사 이후 가장 높았다고 경총은 전했다. 또 긴축 경영을 택한 비율은 300인 이상 규모 기업(61.0%)이 300인 미만 규모 기업(45.7%)보다 15.3%포인트(p)나 높았다. 300인 이상 기업의 긴축 경영 응답은 2016년 조사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았다. 긴축 경영의 시행계획을 묻는 말에는 '전사적 원가절감'(66.7%), '인력 운용 합리화'(52.6%), '신규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 29일 광양 율촌산단에 연산 2만 1500톤 규모 수산화리튬 제2공장 준공…1공장 합산 연산 총 4만 3천톤 생산체제 구축 포스코그룹이 이차전지용 수산화리튬 연산 4만 3천톤 생산체제를 완성해 이차전지 산업에 필수적인 핵심광물을 국산화하고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했다. 포스코그룹 계열사인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은 11월 29일 전남 율촌산업단지에 광석 기반 수산화리튬 제2공장을 준공했다. 지난해 11월 제1공장 준공 후 1년만에 제2공장을 준공하여 총 연산 4만 3천톤 규모의 리튬 생산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이는 전기차 약 100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은 포스코홀딩스와 호주 광산 회사인 필바라미네랄스(Pilbara Minerals)가 합작해 지난 2021년 설립한 회사로, 호주 리튬 광석 원료를 국내로 들여와 이차전지소재용 수산화리튬을 생산한다. 이날 준공식에는 한덕수 국무총리, 김영록 전남도지사, 권향엽 국회의원, 이승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 강석훈 한국산업은행 회장, 정인화 광양시장과 글로벌 배터리사 관계자,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이경섭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 사장, 제프 로빈슨(Jeff Robi
Emulate3D와 엔비디아 옴니버스의 통합으로 공장 규모의 실시간 시뮬레이션 가능 산업 자동화 및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전념하는 세계 최대 기업인 로크웰 오토메이션(Rockwell Automation)은 인공지능 및 물리 기반 시뮬레이션 기술을 통해 공장 운영을 향상시키기 위해 엔비디아 옴니버스(NVIDIA Omniverse)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Emulate3D 디지털 트윈 소프트웨어에 통합한다고 발표했다. 디지털 트윈은 시뮬레이션 모델과 에뮬레이션을 통해 장비 개발 및 제어 테스트를 개선하여 시동 시간과 위험을 줄여준다. 장비가 라인으로 연결됨에 따라 모델 확장 및 개별적으로 설계된 구성 요소 간의 사일로화된 전문 지식과 통합 문제로 인한 문제가 발생한다. 장비 간 상호 운용성을 포함한 시스템 수준의 관점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시스템 수준의 테스트를 위해서는 협업이 필요하다. 라인이 확장됨에 따라 더 큰 디지털 트윈에는 더 많은 컴퓨팅 성능이 필요하므로 병목 현상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자동화 리더는 디지털 트윈의 성공을 기반으로 전체 공장 규모 모델을 달성하기 위해 확장 가능한 솔루션이 필요하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헥사곤(Hexagon)의 제조 인텔리전스 사업부가 공장 공작 기계 프로그래밍 시간을 75% 단축할 수 있는 자동화된 컴퓨터 지원 제조(CAM) 프로그래밍 도구 ProPlanAI를 공개하며 제조 혁신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ProPlanAI는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Microsoft Ignite Conference에서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이 도구는 헥사곤의 클라우드 기반 협업 플랫폼인 넥서스(Nexus)에 내장된 마이크로소프트 에저(Microsoft Azure) 서비스를 기반으로 작동하며, 제조업체가 기존 CAM 프로그래밍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도록 지원한다. 헥사곤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의 Azure OpenAI Service, Azure Cosmos DB, Azure Databricks 기술이 적용된 ProPlanAI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반복적이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프로세스 계획을 자동화한다. 이는 모든 규모의 제조 기업이 기관 지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생산성을 극대화하도록 돕는다. 헥사곤 관계자는 “ProPlanAI는 CAM 프로그래머의 지식이 가장 필요한 작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제조업체는 이를 통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높
글로벌 3D 프린팅 전시회인 폼넥스트 2024(Formnext 2024)에서 제조업체가 산업용으로 3D 프린팅 기술을 채택하고 확장하는 데 있어 직면하는 가장 시급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3D 프린팅 선도 기업들로 구성된 새로운 컨소시엄이 발표되었다. 리딩 마인즈(Leading Minds)라고 명명된 이 협력에는 앤시스(Ansys), EOS, HP, Materialise, 니콘 SLM(Nikon SLM), 레니쇼(Renishaw), 스트라타시스(Stratasys), 트럼프(TRUMPF)가 멤버로 참여한다. 이 컨소시엄은 3D 프린팅 도입을 방해하는 여러 장벽을 극복하여 제조 기업이 3D 프린팅 솔루션을 보다 효과적으로 통합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컨소시엄의 초기 이니셔티브는 3D 프린팅을 위한 공통 언어 프레임워크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컨소시엄에 따르면, 3D 프린팅은 제품 디자인을 혁신하고 고도로 맞춤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그 가치가 입증되었다. 오늘날 3D 프린팅은 틈새 혁신에서 대량 생산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업계는 회의론을 극복하고 3D 프린팅을 현대 산업 생산의 초석으로 굳힐 수 있는 구체적이고 확
자이스(ZEISS)가 최근 광학 및 촉각 측정 기술 분야의 포트폴리오 확장을 위해 ZEISS O-INSPECT 듀오를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이 솔루션은 정밀 측정 기술과 고해상도 현미경 검사를 결합하여 하나의 장비로 크고 작은 부품을 모두 검사할 수 있다. 자이스에 따르면, ZEISS O-INSPECT 듀오는 부품 검사 및 측정에 있어 최고 수준의 기준을 요구하는 품질 실험실과 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효율성, 유연성, 정밀성을 결합하여 현대 생산 공정의 증가하는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 ZEISS O-INSPECT 듀오는 회로 기판이나 연료 전지 같은 대형 공작물부터 소형 부품까지 복잡한 부품의 측정과 검사를 위해 특별히 설계되었다. 고해상도 현미경의 통합 덕분에 이제 대형 부품을 절단하지 않고도 검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귀중한 자원을 절약하고 측정 데이터를 오류 없이 더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다. 광학 및 촉각 측정 기술이 결합된 ZEISS O-INSPECT 듀오의 가장 큰 장점은 광학 및 촉각 측정 기술의 결합이다. 비접촉 센서 기술을 통해 민감한 부품을 측정할 수 있으며 정확한 결과를 보장한다. 촉각 3D 측정을 위해 스캐닝 모드에서 빠른 속도
헥사곤(Hexagon)의 제조 인텔리전스 사업부와 니콘 SLM(Nikon SLM)이 손잡고 항공기 부품 설계와 제조에 혁신을 가져왔다. 외신에 따르면, 두 기업은 적층 제조(Additive Manufacturing, AM)와 시뮬레이션 기반 설계를 결합하여 에어버스 A330 연료 공기 분리기의 무게를 기존 35kg에서 8.8kg로 줄이며 75% 경량화에 성공했다. 연료 공기 분리기는 에어버스 A330의 보조 동력 장치(APU) 연료 시스템에 필수적인 부품으로, 복잡한 구조와 공정을 필요로 한다. 기존 설계는 30개 이상의 부품을 수작업으로 조립하는 방식이어서 제작 과정이 노동집약적이고 시간도 오래 걸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헥사곤은 적층 제조 설계(DfAM) 기술을, 니콘 SLM은 대형 멀티 레이저 3D 프린터를 도입했다. 두 기업은 제조 공정을 최적화하고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혁신적인 설계와 생산 방식을 개발했다. 헥사곤은 자사의 MSC Apex 제너레이티브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기존 30여 개의 부품을 단일 구조로 통합했다. 이를 통해 부품 경량화 뿐만 아니라 성능과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켰다. 또한 Simufact 시뮬레이션 도구를 사용해 제작
HD현대의 조선 중간 지주사인 HD한국조선해양은 아시아 선사와 컨테이너선 4척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총수주 금액은 1조997억원이다. 이번에 수주한 컨테이너선 4척은 HD현대삼호에서 건조해 오는 2028년 11월까지 인도할 예정이다. HD한국조선해양은 이번 수주 건을 포함해 현재까지 총 181척(해양 설비 1기 포함) 205억6천만달러를 수주해 연간 수주 목표 135억달러의 152.2%를 잠정 달성했다. 선종별로는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8척, LNG 벙커링선 7척, 석유화학제품 운반선(PC선) 62척, 액화석유가스(LPG)·암모니아 운반선 50척, 컨테이너선 28척, 에탄 운반선 3척, 액화이산화탄소 운반선 2척, 초대형 원유 운반선(VLCC) 6척, 탱커 7척, 자동차 운반선(PCTC) 2척, 부유식 저장·재기화 설비(FSRU) 1척, 해양 설비 1기, 특수선 4척을 수주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이번 주 국내 주유소 휘발유와 경유의 주간 평균 가격이 7주 연속 동반 상승했다. 30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11월 넷째 주(24∼28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직전 주 대비 L당 4.3원 상승한 1,638.3원을 기록했다. 가격이 가장 높은 서울은 직전 주보다 0.5원 상승한 1,702.5원, 가격이 가장 낮은 대구는 2.2원 오른 1,607.5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가장 저렴한 상표는 알뜰주유소로, L당 평균가는 1,609.9원이었다. 경유 평균 판매가격은 L당 8.1원 상승한 1,475.8원으로 나타났다. 이번 주 국제유가는 OPEC+ 회의에서 석유 감산 완화 시기의 연기를 결정할 수 있다는 시장 기대와 불안정한 이스라엘-레바논 휴전 상황 등을 반영해 상승했다. 수입 원유 가격 기준인 두바이유는 직전 주와 같은 72.5달러였다. 국제 휘발유 가격은 1.5달러 오른 80.5달러, 국제 자동차용 경유는 0.8달러 내린 88.8달러로 집계됐다. 국제유가 변동은 통상 2∼3주가량 차이를 두고 국내 주유소 가격에 반영된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글로벌 산업 장비 기업 아트라스콥코 그룹(Atlas Copco)이 독일의 통합 품질관리솔루션 개발 기업인 VisionTools Bildanalyse Systeme GmbH(이하 VisionTools)를 전격 인수했다. 바하우젤에 본사를 둔 VisionTools는 주로 자동차 산업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 품질관리솔루션을 제공하며, 이번 인수로 아트라스콥코의 자동차 부문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VisionTools는 고객 맞춤형 시스템 설치와 조정에 특화된 기업으로, 특히 V60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고도화된 품질 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 V60은 여러 대의 카메라와 3D 스캐너를 통합하여 간단한 작업부터 복잡한 주요 프로젝트까지 폭넓게 지원하며, 프로그래밍 지식 없이도 정교한 품질 관리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이 소프트웨어는 산업용 컴퓨터, 조명, 공정 제어 시스템과의 통합은 물론, 다양한 카메라 모델과 상위 시스템 간의 통신을 지원해 자동차 부품 제조와 같은 정밀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강점을 발휘한다. VisionTools는 독창적인 2D 및 3D 이미지 분석 기술을 기반으로 고객 맞춤형 솔루션 설계가 가능하다는 점에
2023년 전 세계 제조업 자동화가 역대 최고 속도로 가속화되고 있다. 국제로봇연맹(IFR)이 발표한 ‘세계 로봇 2024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평균 로봇 밀도는 직원 10,000명당 162대를 기록하며 7년 전의 74대에서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제조업의 자동화 수준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다. IFR 회장 이토 타카유키는 “로봇 밀도는 전 세계 제조업에서 자동화가 얼마나 도입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바로미터”라고 말했다. IFR 보고서는 아시아, 유럽, 북미 등 주요 지역의 제조업에서 자동화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특히 한국, 싱가포르, 중국이 세계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아시아, 로봇 도입 선도...한국이 단연 1위 아시아는 직원 10,000명당 182대의 로봇 밀도를 기록하며 7.6%의 증가율을 보였다. 한국은 1,012대라는 압도적인 수치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한국의 로봇 밀도는 2018년 이후 매년 평균 5%씩 증가하고 있으며, 전자 산업과 자동차 산업이 주요 도입처로 꼽힌다. 싱가포르는 직원 10,000명당 770대로 2위를 차지했다. 제조업 종사자 수가 적은 소규모 국가임에도 높은 자동화
지멘스(Siemens)가 미국의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선도 기업 알테어 엔지니어링(Altair Engineering)을 106억 달러에 인수하며 산업용 소프트웨어 및 인공지능(AI) 시장에서의 입지를 대폭 강화했다. 이번 인수는 디지털 혁신과 지속 가능성 강화라는 글로벌 트렌드에 부합하는 지멘스의 전략적 행보로 평가된다. 독일 엔지니어링 그룹 지멘스는 알테어 엔지니어링을 인수하며,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용 소프트웨어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이번 인수로 지멘스는 제품 수명 주기 관리(PLM)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을 9%에서 15%로 끌어올리며, 4위에서 2위로 도약할 전망이다. 알테어는 디트로이트에서 1985년 스타트업으로 출발해, 현재는 전 세계 산업 시뮬레이션 및 데이터 분석 시장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선도 기업으로 자리잡았다. 지멘스의 CEO 롤랜드 부쉬(Roland Busch)는 “알테어와 지멘스 엑셀러레이터 플랫폼의 결합으로 세계에서 가장 완벽한 인공지능 기반 설계 및 시뮬레이션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게 될 것”이라며, “이번 인수는 디지털 혁신과 지속 가능성을 가속화하려는 우리의 전략과 일치한다”고 밝혔다. 알테어의 설립자이자
아미텍(Ametek)이 첨단 레이저 기반 프로젝션 및 검사 시스템의 선도적 공급업체인 버텍 비전 인터내셔널(Virtek Vision International)을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버텍(Virtek)은 AI 기반 소프트웨어와 알고리즘으로 구동되는 첨단 3D 레이저 프로젝터, 스마트 카메라, 품질 관리 검사 시스템의 개발 및 제조를 전문으로 한다. 이 회사의 혁신적인 머신비전 솔루션은 고객에게 정밀한 가상 레이저 가이드 측정 및 검사 기능을 제공하여 광범위한 항공우주, 방위 및 산업 애플리케이션에서 복잡한 조립 공정을 자동화하고 제조 효율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다. 데이비드 자피코(David A. Zapico) 아미텍 회장 겸 최고경영자는 "버텍은 뛰어난 기업이며 우리 크레아폼 비즈니스와 전략적으로 매우 잘 맞는다. 이 회사의 강력한 기술 역량은 첨단 소프트웨어와 알고리즘으로 지원되는 광범위한 자동 3D 스캐닝 및 검사 기능을 제공하는 크레아폼을 훌륭하게 보완한다"고 말했다. 버텍은 캐나다 워털루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연간 약 4천만 달러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이 회사는 첨단 분석, 모니터링, 테스트, 보정 및 디스플레이 계측 분야의 선두주자인 전자 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LG생산기술원, 한국기술사회장상-로보스, 파아일랜드, 전자신문사장상-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등 머신비전 테크 이노베이션부문 수상 한국정보과학진흥협회(이사장 박승진, 이하 KISE)는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회장 김일목, 이하 kmvia)와 지난 10월 25일 코엑스에서 과학기술 혁신기업을 발굴·지원하는 '싸이텍 이노베이션 어워드 2024(창의과학신기술경진대회)-머신비전 테크 이노베이션부문' 시상식을 개최했다. LG생산기술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하는 등 머신비전 산업 발전에 기여한 단체들이 영예를 안았으며, 이번 어워드는 AI와 머신비전 분야의 혁신 기술력과 산업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 평가했다. 싸이텍 이노베이션 어워드는 3개 영역으로 구분된다. 미래인재를 양성하는 크리에이티브 싸이텍 분야는 (사)한국정보과학진흥협회가, 머신비전 테크 이노베이션분야는 (사)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가, 디지털 테크 이노베이션분야는 (사)한국웹에이전시협회가 각각 맡아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다. 머신비전 테크 이노베이션 분야는 4차산업혁명 시대 스마트팩토리 구현을 위한 기술과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기술역량을 평가하는 '스마트 공장 부문', 스마트
LG디스플레이는 업계 최초로 개발한 '색 인지 차이 평가법'이 최근 국제전기기술위원회(이하 IEC)에서 국제 표준으로 공식 제정됐다고 31일 밝혔다. IEC는 세계무역기구가 인정한 세계 3대 표준화 기구로 글로벌 주요 제조사들은 IEC 표준에 따라 제품 성능을 측정하고 있다. 색 인지 차이란 디스플레이가 구현하는 동일한 색을 시청자별로 서로 다르게 인지해 색 왜곡이 발생하는 현상이다. 주로 시청자의 시각 특성에 의해 발생하는데 디스플레이의 종류에 따라 그 차이가 더 커질 수 있다. 이 차이가 작을수록 일반 시청자는 원작자가 의도한 색을 정확하게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료 업계나 영상 제작 업계 등 높은 색 정확도를 요구하는 산업 분야에서도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LG디스플레이의 색 인지 차이 평가법은 자연광과 유사한 조명 아래서 7가지 표준색을 기계로 정밀 측정한 색과 사람이 눈으로 보는 색의 차이를 수치화해 계산하는 방식이다. 새로운 표준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의 대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은 색 인지 차이가 업계 최저 수준인 약 10%에 불과해 색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윤수영 LG디스플레이 CTO(최고기술책임자) 부사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