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맥스티베로는 지난 10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개최된 '제9회 글로벌 상용SW 명품대상' 시상식에서 '티베로(Tibero)' DBMS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대상)을 수상했다고 13일 밝혔다. 지난 2015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는 글로벌 상용SW 명품대상은 우수한 상용 소프트웨어와 SaaS 제품을 개발·보급하고 국내외 소프트웨어 산업 발전에 기여한 기업들을 격려하기 위한 자리다. 이번 시상식에서 티베로 DBMS는 국내 최초이자 세계 두 번째로 개발한 고가용 다중화 기술 TAC(Tibero Active Clustering)를 비롯해 20여 년 이상 축적된 우수한 제품력과 다년간 국내외 공급 실적을 인정받았다. 아울러 국산 소프트웨어로 DBMS 시장을 선도하고 우리나라 상용SW 발전에 기여한 공 또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티베로 DMBS는 지난해 3월 온프레미스부터 클라우드까지 환경 제약 없는 사용자 맞춤형 DBMS '티베로7(Tibero7)'으로 업그레이드 출시된 바 있다. 이후 공공, 금융, 엔터프라이즈 기업 등 클라우드 전환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다양한 산업군에서 도입이 늘고 있다. 티맥스티베로의 장관상 수상은 이번이 세번째다. 앞선 2016년에는
獨 뉘른베르크 SPS 2023에서 드라이브 솔루션 내놔 산업용 모터 및 감속기·서보 컨트롤러·광학식 엔코더 등 융합 기술 제시 맥슨모터(이하 맥슨)가 이달 23일부터 사흘간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열리는 자동화·부품 박람회 ‘SPS 2023’에서 내놓을 드라이브 솔루션을 공개했다. 맥슨이 이번 행사에서 소개하는 솔루션은 산업용 모터 ‘IDX 56’, 감속기 ‘GPX HP’, 광학식 엔코더 ‘TSX RIO’, 차세대 서보 컨트롤러 ‘ESCON2 Module 60/30’를 비롯해 ‘EC 프레임리스 DT 모터’ 등이다. IDX 56은 산업용 모터 제품군으로, 맥슨 GB12 감속기 및 ENX 22 EMT 엔코더가 융합된 기술이다. ENX 22 EMT 엔코더는 멀티 턴 기술을 탑재해, IDX 모터 전원이 꺼질 시 지점 위치를 기억하는 메모리 기능을 부여한다. 해당 엔코더는 최대 토크 48Nm, 최대 연속 토크 30Nm을 기반으로 16비트 멀티 턴 분해능, 17비트 싱글 턴 분해능을 지원한다. 씰 시스템이 적용된 GPX HP 감속기는 직경 16·22mm 두 가지 크기로 세분화된 제품으로, 시중에 출시된 멸균 가능 제품 대비 높은 토크를 전달한다. 의료용 핸드툴 및 수술 영
HPE가 파트너 프로그램인 HPE 파트너 레디 벤티지(HPE Partner Ready Vantage)의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HPE 파트너 레디 벤티지는 파트너사가 보다 애즈어서비스(as-a-service) 솔루션을 효과적으로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이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HPE 파트너 레디 벤티지 프로그램은 더 포괄적인 영역을 다루는 COE(Centers of Expertise), 새로운 컴피턴시와 함께 더욱 향상된 컴피턴시 개발체계를 제공한다. 사이먼 유잉턴 HPE 월드와이드 채널 및 파트너 생태계 부사장은 "HPE 파트너 레디 벤티지는 프로페셔널 서비스, 관리형 서비스, 고객성공 부문 전반에 걸쳐 수익성을 강화하고자하는 파트너사를 위한 게임 체인저"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제 고객들은 파트너사들로부터 자사 정보 및 데이터를 개선하고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을 기대하고 있다"며 "이때 파트너사는 HPE의 IP, 툴, 리소스를 활용해 HPE 그린레이크의 서비스형 포트폴리오 전반에 걸쳐 비즈니스 성장을 가속화하고 수익을 증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HPE 파트너 레디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HPE 파트너 레디 벤티지는 빌드(Build
시설관리 분야 경영 성과 인정받아 디더블유아이가 이달 9일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에서 열린 ‘제24회 한국FM대상’ 정보경영 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디더블유아이는 자체 개발 시설관리 솔루션을 통해 근무지 및 생활환경에 스마트 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그동안 시설물 현장 내 작업자 시각에서 시스템 사용의 애로사항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 따른 개발을 이어왔다. 디더블유아이가 개발한 애플리케이션 ‘유비스 마스터(U·BIS Master)’는 30여 개 메뉴 기반으로, 시설·에너지·보안·환경 등 영역에서 유지보수관리 과정을 수행한다. 산업 현장 내 NFC 단말기에 작업자의 모바일폰을 접촉한 후 실행하는 방식으로, 직관적인 활용성을 보유했다고 평가받는다. 디더블유아이 관계자는 "유비스 마스터는 화재·누수·누전 등 산업재해를 대비하면서도, 재해 발생 시 상황을 공유하는 솔루션"이라고 말했다. 해당 솔루션은 현재 전국 13여 개 정부 청사, 국세청 전국 세무서, 병원 호텔 등 약 60여 개 건물에서 활약 중이며, 글로벌 진출도 진행했다. 이어 ‘유비스 하이(U·BIS Hi)’는 병원 내에서 환자를 이송하는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으
플레이스테이션 공식 라이선스 획득 최대 7300MB/s, E18 컨트롤러, 3D TLC NAND 등 성능 및 기술 담아 씨게이트가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게임기기 브랜드 ‘플레이스테이션(PlayStation)’의 공식 라이선스를 업은 PS5 NVMe SSD 스토리지 모델을 출시했다. 이번 SSD는 최대 7300MB/s 순차 읽기 속도를 발휘하는 PCIe 4세대 모델로, PCIe 3세대 대비 최대 두 배 빠른 전송 속도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 씨게이트 인증 E18 컨트롤러 및 3D TLC NAND 등 콘솔 게임 특화 기술이 적용됐고, 미니멀 히트 싱크 기술을 통해 발열 최적화가 가능하다. PS5 NVMe SSD는 1·2TB 두 가지 용량으로 세분화됐고, 180만 평균 무고장 시간(MTBF) 및 최대 2550TB 총 쓰기 바이트 수(TBW)의 성능을 갖췄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유블럭스(u-blox)는 자사의 LTE-M 셀룰러 모듈 제품 판매량이 2500만 개를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유블럭스의 첫 번째 LTE-M 모듈인 유블럭스 SARA-R4는 2016년 발표됐으며 2017년까지 모든 필수 규제 및 이동통신사업자(MNO) 인증을 획득했다. 이후 유블럭스 LTE-M 셀룰러 모듈은 애프터마켓 텔레매틱스, 검침, 유틸리티, 산업 자동화, 모니터링, 자산 추적 및 관리와 같은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유블럭스 관계자는 "유블럭스는 LTE-M 모듈을 가장 먼저 출시하고 가장 빠르게 매스마켓 채택을 확대한 기업 중 한 곳으로 이는 유블럭스 기술이 그만큼 품질과 탄력성 면에서 뛰어나다는 것을 말해준다"며 "유블럭스는 사용자가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IoT 연결 혁신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 왔다"고 전했다. 유블럭스의 LTE-M 모듈 포트폴리오는 다양한 기존 및 신규 애플리케이션과 활용 사례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유블럭스의 솔루션은 더 작고 비용 효율적이며, 보다 우수한 전력 효율을 나타내도록 끊임없이 진화해 왔다. 슈테판 지잘라 유블럭스 CEO는 "LTE-M은 여러 중요한 산업용
코로나19로 비대면·비접촉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면서 산업 전반과 도시,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로봇 활용이 급격히 확대되고 로보틱스 4.0 혁명이 태동했다. 로보틱스 4.0 시대에는 사이버물리시스템(CPS) 상의 PDCA(Plan-Do-Check-Action)/ISM과 ‘가치(V)’라는 관점이 결합한 모델이 모든 영역의 오퍼레이션에 전제가 되고 산업 전반의 방향을 전환할 전망이다. 특히, 로봇은 공급망 운영을 개선할 잠재력이 있으며, 기존의 방법으로는 공급력 한계에 다다른 포장· 배송·주문 등을 해소함으로써 고객 요구 부응, 생산성 증대, 위험 감소, 비용 절감, 데이터 수집 개선 등 새로운 이점을 제공한다. 로봇은 특히 저부가가치·잠재적 위험·고위험 작업이 포함된 공급망의 운영에서 앞으로 5년간 강력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컨퍼런스를 통해 우리나라 로봇 정책과 함께 다양한 산업에서의 로봇의 실제 활용 사례, 앞으로의 로봇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본다. ▷ 발표 주제 :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하는 슈나이더 일렉트릭 로보틱스 솔루션 ▷ 발표 : 슈나이더 일렉트릭 박윤국 매니저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코로나19로 비대면·비접촉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면서 산업 전반과 도시,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로봇 활용이 급격히 확대되고 로보틱스 4.0 혁명이 태동했다. 로보틱스 4.0 시대에는 사이버물리시스템(CPS) 상의 PDCA(Plan-Do-Check-Action)/ISM과 ‘가치(V)’라는 관점이 결합한 모델이 모든 영역의 오퍼레이션에 전제가 되고 산업 전반의 방향을 전환할 전망이다. 특히, 로봇은 공급망 운영을 개선할 잠재력이 있으며, 기존의 방법으로는 공급력 한계에 다다른 포장· 배송·주문 등을 해소함으로써 고객 요구 부응, 생산성 증대, 위험 감소, 비용 절감, 데이터 수집 개선 등 새로운 이점을 제공한다. 로봇은 특히 저부가가치·잠재적 위험·고위험 작업이 포함된 공급망의 운영에서 앞으로 5년간 강력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컨퍼런스를 통해 우리나라 로봇 정책과 함께 다양한 산업에서의 로봇의 실제 활용 사례, 앞으로의 로봇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본다. ▷ 발표 주제 : 협업 애플리케이션 진화와 더 쉬어진 로봇 활용 ▷ 발표 : 온로봇코리아 최민석 대표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코로나19로 비대면·비접촉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면서 산업 전반과 도시,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로봇 활용이 급격히 확대되고 로보틱스 4.0 혁명이 태동했다. 로보틱스 4.0 시대에는 사이버물리시스템(CPS) 상의 PDCA(Plan-Do-Check-Action)/ISM과 ‘가치(V)’라는 관점이 결합한 모델이 모든 영역의 오퍼레이션에 전제가 되고 산업 전반의 방향을 전환할 전망이다. 특히, 로봇은 공급망 운영을 개선할 잠재력이 있으며, 기존의 방법으로는 공급력 한계에 다다른 포장· 배송·주문 등을 해소함으로써 고객 요구 부응, 생산성 증대, 위험 감소, 비용 절감, 데이터 수집 개선 등 새로운 이점을 제공한다. 로봇은 특히 저부가가치·잠재적 위험·고위험 작업이 포함된 공급망의 운영에서 앞으로 5년간 강력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컨퍼런스를 통해 우리나라 로봇 정책과 함께 다양한 산업에서의 로봇의 실제 활용 사례, 앞으로의 로봇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본다. ▷ 발표 주제 : 스마트제조-스웜 자율성 솔루션 ▷ 발표 : 에이디링크 Alan Tsai 프로덕트 매니저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코로나19로 비대면·비접촉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면서 산업 전반과 도시,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로봇 활용이 급격히 확대되고 로보틱스 4.0 혁명이 태동했다. 로보틱스 4.0 시대에는 사이버물리시스템(CPS) 상의 PDCA(Plan-Do-Check-Action)/ISM과 ‘가치(V)’라는 관점이 결합한 모델이 모든 영역의 오퍼레이션에 전제가 되고 산업 전반의 방향을 전환할 전망이다. 특히, 로봇은 공급망 운영을 개선할 잠재력이 있으며, 기존의 방법으로는 공급력 한계에 다다른 포장· 배송·주문 등을 해소함으로써 고객 요구 부응, 생산성 증대, 위험 감소, 비용 절감, 데이터 수집 개선 등 새로운 이점을 제공한다. 로봇은 특히 저부가가치·잠재적 위험·고위험 작업이 포함된 공급망의 운영에서 앞으로 5년간 강력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컨퍼런스를 통해 우리나라 로봇 정책과 함께 다양한 산업에서의 로봇의 실제 활용 사례, 앞으로의 로봇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본다. ▷ 발표 주제 : 제조용 로봇산업 가치사슬별 경쟁우위 진단과 정책과제 ▷ 산업연구원 박상수 박사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슬립테크 기업 에이슬립이 일본 소프트뱅크 그룹 산하 IT 기업인 리얼라이즈(Realize Innovations)와 업무 협약을 맺고 일본 진출을 위한 준비에 나선다고 13일 밝혔다. 리얼라이즈는 2000년 소프트뱅크 모바일로 설립됐고 이후 리얼라이즈로 사명을 바꾼 뒤 최근에는 모바일 영역을 넘어 최근 슬립테크 관련 솔루션 라인업을 확대하는 한편 다양한 기업과의 제휴를 통한 영역 확장에 나서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리얼라이즈는 일본 기업을 대상으로 에이슬립이 제공하는 솔루션을 판매할 예정이다. 에이슬립 관계자는 "리얼라이즈는 에이슬립 제공하는 솔루션을 판매하고 헬스케어 관련 서비스 협업 등을 진행할 것"이라며 "에이슬립의 B2B 서비스와 '슬립루틴' 앱을 연계한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고객에게 제공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에이슬립은 AI 기술을 바탕으로 수면 단계 및 무호흡증 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기술을 갖고 있다. 최근에는 수면다원검사와 스마트 워치 등 글로벌 IT 업체의 수면 측정 기기를 포함한 총 11개 기기 중 가장 높은 성능을 보인 것이 논문을 통해 발표됐다. 이 연구는 SCI급 학술지인 'JMIR mHealth and uHealth' 최신
메타코리아가 '메타 스파크 AR 콘텐츠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올해 처음 개최된 메타 스파크 AR(Spark AR) 콘텐츠 공모전은 지난해 출범한 증강현실(AR) 학습 프로그램인 '이머시브 러닝 아카데미(Immersive Learning Academy)' 과정의 일환으로 누구나 크리에이터로서의 가능성과 잠재력을 발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국내 AR 창작 생태계를 활성화하고자 기획됐다. 이번 공모전은 문화예술과 소셜임팩트(사회문제 해결) 총 두 가지 주제로 진행됐으며 메타코리아의 프로그램 파트너십팀과 메타 스파크 크리에이터인 '위에이알(WE-AR)'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창의성, 심미성, 사용자 경험성, 메시지 전달성 등을 기준으로 심사했다. 그 결과 AR이 가진 상호작용 특성을 활용해 사용자의 경험을 확장시키는 것은 물론, 창작물 기반으로 수익 창출의 가능성을 보여준 10개의 작품이 최종 선정됐다. 시상식에는 '베스트 크리에이터' 수상 3개 팀과 '넥스트 크리에이터' 수상 7개 팀을 비롯해 이머시브 러닝 아카데미 교육 과정에 참여한 다양한 참석자가 자리를 빛냈다. 최종 선발된 10개 팀에는 메타의 상장 및 기념품, 온·오프라인 수상작 전
LG전자가 전국 100개의 인기 숙소에서 이색 체험 마케팅을 진행한다. LG전자는 이달 14일부터 내년 1월 31일까지 제주 폴개우영, 경북 하루연가, 충북 동락, 강원 서로하우스, 전남 스테이황룡 등 전국 100개 유명 숙박업소에서 고객이 디오스 식기세척기, 전기레인지, 와인셀러와 퓨리케어 정수기를 체험하는 'LG 키친 트립'을 진행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고객 만족도가 높은 식기세척기 등 LG 주방가전이 주는 편리함을 여행지에서 많은 고객이 체험하도록 마련됐다. 특히 주방가전 사용에 익숙치 않은 MZ세대 고객에게 LG 프리미엄 주방가전을 직접 경험해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최신 LG 주방가전을 체험하고 싶은 고객은 LG전자 홈페이지 내 이벤트 페이지에서 여행할 지역에 있는 이벤트 숙소를 선택 후 예약하면 된다. LG전자는 개인 SNS에 체험후기를 남기는 고객에게 커피 쿠폰을 제공하고 추첨을 통해 디오스 식기세척기와 퓨리케어 정수기를 증정한다. LG 디오스 오브제컬렉션 식기세척기는 물을 100도(℃)로 끓여 만든 트루스팀으로 식기를 위생적으로 세척할 수 있으며, LG 퓨리케어 오브제컬렉션 정수기는 국내 최초 음성인식 기능을 적용해 음성만으로 출수
최첨단 물류 로봇 시스템 '오토스토어'...보관효율 4배·최대출고량 1.5배 증가 기대 CJ대한통운이 국내 유일 글로벌 권역 풀필먼트 센터인 인천GDC(Global Distribution Center)를 13일 공개했다. GDC는 소비지역 인접 국가에 미리 제품을 보관한 후 국가별 주문에 맞춰 포장, 발송하는 물류센터다. 2019년 국내 최초로 GDC 사업을 개시한 CJ대한통운은 글로벌 건강 라이프 쇼핑몰 '아이허브(iHerb)'를 대상으로 글로벌 물류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 이 곳은 최첨단 물류 로봇 시스템 '오토스토어(Auto-Store)'를 도입해 최종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CJ대한통운 이경진 CBE운영팀장은 "증축에 따른 운영규모 확대와 함께 로봇·데이터 기반의 최첨단 기술력이 가미됨에 따라 GDC 운영의 초격차 경쟁력이 확보되고 있다"고 말했다. CJ대한통운이 최근 센터 내 약 6264㎡(1895평) 규모의 공간을 증축하고 도입한 물류 로봇 시스템 오토스토어는 소비자 주문이 들어오면 실시간으로 로봇이 움직이며 물건이 담긴 Bin(보관 바구니)을 꺼내 출고 스테이션 작업자에게 전달한다. 제품이 사람을 찾아가는 'GTP(Goods-To-Person)
글로벌 원자재 화학 기업 중 가장 높은 ‘리더’ 그룹으로 분류 효성티앤씨가 모건스탠리캐피털 인터내셔널(MSCI) ESG 평가에서 지난해보다 두 단계 상승한 ‘AA등급’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MSCI ESG 평가 글로벌 주요 기업들이 참고하는 대표적인 글로벌 ESG 평가 지수다. MSCI는 1999년부터 매년 전 세계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ESG 관련 핵심 이슈를 평가해 가장 낮은 ‘CCC’부터 가장 높은 ‘AAA’까지 총 7단계의 등급을 부여하고 있다. 효성티앤씨는 업계를 선도하는 탄소 저감 전략으로 2019년과 2020년에 BB등급, 2021년에 BBB등급을 획득했고, 지난해 평가에서는 AA등급을 획득하며 동종업계인 글로벌 원자재 화학사들 사이에서 가장 높은 ‘리더’ 그룹으로 분류됐다. 특히 탄소배출, 유독성 물질 배출 및 폐기물, 물 부족, 화학적 위험성 등 4개 항목에서 최상위 성적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효성티앤씨 김치형 대표는 “효성티앤씨는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쳐오고 있다”며 “ESG 각 부문에서 지속가능한 경영을 실현함으로써 글로벌 일류 화학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효성티앤씨는 2023년 한국ESG기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