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매출액 1천대 제조기업' 대상 '공급망 전망과 과제' 설문

국내 제조기업들이 자사 공급망 경쟁력을 대체로 낮게 평가하는 가운데 올해 하반기 공급망 여건에 대해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지난달 22∼27일 시장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상위 1천대 제조기업 150곳을 대상으로 '제조기업의 공급망 전망과 과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3일 발표했다.

조사결과 기업들은 자사의 현재 공급망 경쟁력에 대해 100점 만점에 평균 58점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 유연성(팬데믹, 재해와 같은 돌발상황에 잘 대처함) ▲ 분산성(특정 국가 또는 업체에 편중되지 않음) ▲ 신속성(권역별 공급망 현지화로 신속하게 대응함) 등은 평균 56∼58점이었다.
또 ▲ 디지털화(공급망의 디지털전환 및 데이터 통합이 잘 이뤄짐) ▲ ESG 대응성(탈탄소 공정 등 주요국·업체의 ESG 요구사항 강화에 잘 대응함)의 경우 모두 55점으로 낮은 자체 평가를 내놓았다.

최근 2년간 글로벌 공급망 문제로 피해를 본 기업들은 그 원인으로 '특정 지역 봉쇄 등으로 인한 팬데믹 리스크'(35.3%), '우크라이나 사태나 국제정세 불안과 같은 지정학적 리스크'(30.7%), '운송 지연이나 파업 등 물류·운송 리스크'(27.5%) 등을 꼽았다.
글로벌 공급망 재조정 대책에 대해서는 '이미 구체적 대책을 마련했다'고 답한 기업은 6.0%에 그쳤다. '검토 중'이라고 답한 기업이 44.0%로 가장 많았고, '검토 예정' 기업은 35.3%였다.

올해 하반기 글로벌 공급망 여건에 대해서는 상반기와 비슷(48.0%)하거나 악화(42.7%)할 것으로 보는 기업이 90.7%에 달했다.
공급망 개선을 위한 내부 대책을 묻자 '복수의 기업으로부터 재료·부품을 조달해 대체 공급망 구축'(38.3%), '동일 제품을 타 거점에서도 생산'(22.1%), '재료·부품·제품 재고 확대'(12.1%), '스마트 제조 및 생산 자동화율 확대'(11.1%) 등으로 답했다.
공급망 개선을 위한 정부 지원 정책으로는 '수급처 다변화를 위한 거래처 정보제공 및 지원'(32.3%), '글로벌 공급망 모니터링 및 위기 경보 시스템 강화'(22.0%)', '공급망 리스크 민감 품목 관리·지원체계 고도화'(17.3%)' 등의 의견이 나왔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