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구조 자기복제 원천기술 개발
형상이 조절된 나노입자의 대량 합성기술이 국내외 연구진의 공동연구에 의해 성공했다. 이로써 새로운 나노구조의 광결정, 바이오 이미징, 메타물질의 제조 및 나노구조의 복제현상 연구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성균관대학교는 화학공학부 이기라 교수팀과 미국 뉴욕대 파인 교수팀이 공동수행한 연구 논문이 국제저널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지 최근호(4월 9일자)에 실렸다고 밝혔다.
공동연구팀은 나노입자들의 크기가 같으면 특정 조건에서 입자들이 스스로 모여 주기적으로 배열된 나노구조를 형성하는데, 이때 나노입자의 형상을 변화시키면 새로운 나노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는데 착안, 음전하의 고분자 입자 위에 산화규소화합물을 성장시킴으로써 눈사람 모양의 입자와 속이 파인 입자를 대량으로 제조하는 데 성공했다.
또한 연구진은 입자의 형성과정을 조절하여 눈사람 모양뿐만 아니라 아령 모양이나 실리카 구가 여러 개 있는 입자를 제조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비대칭 입자는 표면에 선택적으로 자성 물질을 붙임으로써 자기장에 반응하는 물질로도 가능함을 보였는데, 이러한 자기장에 반응하는 물질의 제조는 향후 DNA를 도입하여 특성정보를 갖는 나노구조가 복제되는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나노 원천기술개발사업과 선도연구센터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