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회장 이진원, 이하 KMVIA)는 매년 상반기와 하반기 협회보를 발행하고 있다. 품질 검사에서 가장 활발하게 사용돼 왔던 머신비전 기술. 4차 산업혁명 시대 모든 산업에서 머신비전이 중요한 기술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딥러닝 등 AI기술이 융합되면서 머신비전 기술도 한단계 진화되고 있다. 3D, 스마트카메라, 센서의 진화, 소형화, 임베디드 비젼, 로봇기반 비젼, AI 융합 등 요즘 머신비전 분야의 핫 키워드다. 협회보에는 회원사 소식 뿐만 아니라 국내외 최신 머신비전 산업 트렌드, 그리고 신제품과 신기술 등 다채로운 정보를 담고 있다. <2022년 12월 협회보 주요 내용> -한국정보과학진흥협회, 과학기술 혁신기업 발굴 지원하는 'SI-TECH INNOVATION·AWARD 2022'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스마트공장 부문 : 아이코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AI 머신비전 부문 : 아이브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장상 AI 머신비전 부문 : 엠비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장상 스마트 공장부문 : 오즈레이 전자신문사장상 스마트 공장 부문 : 넥스버 -줌인 -테크 인사이트 -애플리케이션 -마켓트렌드 헬로티 함수
지난 몇 년 동안 대부분의 머신비전 시스템은 흑백으로만 작동했습니다. 지금까지도 대부분의 머신비전 애플리케이션은 여전히 흑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지난 10년 동안 머신비전 애플리케이션에서 컬러를 사용하는 비중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이는 컬러 머신비전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카메라 기술과 알고리즘을 꾸준히 개선한 결과입니다. 결과적으로, 많은 머신비전 시스템 설계자들이 컬러를 중요한 요소로 사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게 됐습니다. 이번 기술 가이드를 통해 머신비전 컬러 이미징의 고유한 특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애플리케이션 요건에 가장 적합한 컬러 이미징 머신비전 기술이 무엇인지 확인해보세요.
지난 수십 년간 다수의 머신비전 인터페이스가 개발됐습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유지하기 위해 전 세계의 다양한 연구 그룹과 위원회가 조직됐습니다. 이 그룹은 카메라, 프레임 그래버, PC 등을 제조하는 기업의 요구 사항을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두고 동시에 머신비전 시장의 애플리케이션별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Firewire(1996년 출시), Camera Link(2000년 출시), GigE Vision(2006년 출시), USB3 Vision(2013년 1월 출시), CoaXPress(2010년 출시)를 위한 IIDC 표준과 같은 비전 표준이 개발됐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임베디드 비전용 MIPI CSI 인터페이스는 임베디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완전히 새로운 미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속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번 가이드는 머신비전에서 많이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개요와 몇 가지 주요 특장점, 과제,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전 산업 분야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가속화되면서 고객의 요구, 신기술 채택, 글로벌 경쟁 등 다양한 문제에 대응해 어떻게 혁신할 수 있을지가 주목되고 있다. 디지털과 접목된 공장은 더 지능적이고 유연한 자동화 산업용 기계 장비를 요구하고 있다. 관련 기업이 새로운 요구사항을 충족하려면 새로운 설계를 통해 점점 복잡해지는 기계에 대응해야 한다. IPE(Intelligent Performance Engineering, 지능형 성능 엔지니어링)는 기계 제조업체에 새로운 기계 도입과 관련된 복잡성을 해결해준다. 특히 다중 물리 시뮬레이션과 테스트, 통합 설계와 시뮬레이션, 폐루프 검증 등의 기능을 주축으로 첨단 디지털 스레트를 통해 혁신적인 무결성을 구축해준다. IPE는 증가하는 고객의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하면서, 기계의 안정성과 성능간 균형을 이루면서 개선한다. 지멘스 백서 및 지능형 성능 엔지니어링과 관련된 자료를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는 페이지(https://keynote.eventservice.kr/2022/siemens/1208_im/index.php?seq=1214_hellot)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2023년 제조업 전망 비롯해 스마트제조 핵심기술 동향, 기술 사례 발표 스마트미디어그룹 (주)첨단이 오는 2월 21일(화)부터 23일(목)까지 '스마트 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지난해에 이어 2회째를 맞은 스마트 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에서는 각 분야별 전문업체와 당해 제조업 전망을 비롯해 스마트제조 핵심기술의 동향을 다룬다. 이를 통해 참석자는 제조산업 및 혁신기술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제조기업이 국내외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스마트제조 기술이 필수적이다. DNA(Digital, Network, AI)기술 기반의 스마트 제조 혁신 가속화와 고도화 및 스마트 공장 공급기업의 경쟁력 제고가 필요한 상황이다. 스마트제조 구현을 위해서는 정부에서는 정책으로 뒷받침하고, 현장에서는 다양한 혁신기술과의 융합이 필요하다. 한 예로, 클라우드는 현재 제조업계에서 스마트 제조를 위한 기초 인프라로 여겨지며, 적용 사례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첫째날인 21일 오전에는 키노트 세션이 열린다. 키노트에서는 스마트 제조와 ESG, 스마트 제조와 RPA, 그리고 2023년 스마트 공장 정부사업 준비 가이드를 공유한다. 어드밴
2023년 제조업 전망 비롯해 스마트제조 핵심기술 동향, 기술 사례 발표 스마트미디어그룹 (주)첨단이 오는 2월 21일(화)부터 23일(목)까지 '스마트 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지난해에 이어 2회째를 맞은 스마트 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에서는 각 분야별 전문업체와 당해 제조업 전망을 비롯해 스마트제조 핵심기술의 동향을 다룬다. 이를 통해 참석자는 제조산업 및 혁신기술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제조기업이 국내외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스마트제조 기술이 필수적이다. DNA(Digital, Network, AI)기술 기반의 스마트 제조 혁신 가속화와 고도화 및 스마트 공장 공급기업의 경쟁력 제고가 필요한 상황이다. 스마트제조 구현을 위해서는 정부에서는 정책으로 뒷받침하고, 현장에서는 다양한 혁신기술과의 융합이 필요하다. 한 예로, 클라우드는 현재 제조업계에서 스마트 제조를 위한 기초 인프라로 여겨지며, 적용 사례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첫째날인 21일 오전에는 키노트 세션이 열린다. 키노트에서는 스마트 제조와 ESG, 스마트 제조와 RPA, 그리고 2023년 스마트 공장 정부사업 준비 가이드를 공유한다. 어드밴
스마트미디어그룹 (주)첨단이 오는 2월 22일 '2023 스마트 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제조기업이 국내외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제조 기술이 필수적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DNA(Digital, Network, AI) 기술 기반의 스마트제조혁신이 가속화되며 스마트공장 공급기업의 경쟁력 제고가 필요한 상황이다. 2023 스마트 제조 대전망 컨퍼런스에서는 각 분야별 전문업체와 함께 스마트 제조 핵심기술의 동향, 2023년도 전망을 살펴본다. 2월 22일 진행되는 스마트 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는 오전 스마트오퍼레이션 트랙과, 오후 스마트퀄리티 트랙으로 진행된다. 스마트 제조를 위한 스마트오퍼레이션 스마트 제조의 첫걸음은 현장 개선이다. 스마트오퍼레이션 트랙에서는 현장의 업무·생산 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는 기술과 정확한 제조데이터를 뽑아낼 수 있는 주요 기술의 트렌드와 전망에 대해 알아본다. 현장에서 설비 상태는 센서를 사용해 모니터링을 통해 계획되지 않은 가동 중지 시간을 제거하고, 수명을 연장하면서 유지 관리 비용을 최적화한다. 발표에는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김건 매니저의 IEC61499 표준의 So
2023 스마트 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 개최...3일차 스마트매니지먼트 & 스마트제어시스템 스마트제조 산업 분야별 전문 업체와 스마트제조 핵심 기술의 동향, 2023년도 전망을 함께 살펴보는 자리가 마련됐다. '스마트매니지먼트 & 스마트제어시스템' 온라인 세미나(이하 웨비나)가 2023 스마트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 3일차인 2월 23일 개최된다. 제조 기업이 국내외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스마트제조 기술이 필수적이다. 스마트제조 구현을 위해서는 스마트한 매니지먼트 시스템 역시 필수적이다. 이날 웨비나의 오전 스마트매니지먼트 세션에서는 최근 스마트제조 혁신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AR/VR, 빅데이터, AI 분야의 트렌드와 전망을 살펴본다. 아울러 스마트제조가 집중 조명받는 가운데 도전 과제로 직면한 보안 분야를 전문가의 시선으로 살펴본다. 스마트제조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선 현장의 IoT 환경이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산업용 IoT 기술의 동향도 집중 조명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의 박수범 부장이 ▲통신사 얼라이언스 기반 구독형 디지털트윈 팩토리 서비스 소개', 시스코코리아의 이정표 프로가 ▲산업용 네트워크 - OT/
2023 스마트 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 개최...3일차 스마트매니지먼트 & 스마트제어시스템 스마트제조 산업 분야별 전문 업체와 스마트제조 핵심 기술의 동향, 2023년도 전망을 함께 살펴보는 자리가 마련됐다. '스마트매니지먼트 & 스마트제어시스템' 온라인 세미나(이하 웨비나)가 2023 스마트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 3일차인 2월 23일 개최된다. 제조 기업이 국내외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스마트제조 기술이 필수적이다. 스마트제조 구현을 위해서는 스마트한 매니지먼트 시스템 역시 필수적이다. 이날 웨비나의 오전 스마트매니지먼트 세션에서는 최근 스마트제조 혁신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AR/VR, 빅데이터, AI 분야의 트렌드와 전망을 살펴본다. 아울러 스마트제조가 집중 조명받는 가운데 도전 과제로 직면한 보안 분야를 전문가의 시선으로 살펴본다. 스마트제조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선 현장의 IoT 환경이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산업용 IoT 기술의 동향도 집중 조명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의 박수범 부장이 ▲통신사 얼라이언스 기반 구독형 디지털트윈 팩토리 서비스 소개', 시스코코리아의 이정표 프로가 ▲산업용 네트워크 - 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