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열한 기술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글로벌 머신비전 시장에서 2025년을 이끌어갈 핵심 제품들이 속속 공개되고 있다. 이미지 센서의 고속화·고해상도 진화, AI 적용 확대, 극한 환경 대응력 강화 등 머신비전 업계의 기술 트렌드가 이들 신제품에 고스란히 반영됐다. 7월에 선정된 ‘글로벌 머신비전 신제품 TOP 10’은 라인 스캔 카메라, SWIR 기술, ToF 센서, 스마트 조명, 고속 고해상도 카메라 등 다양한 카테고리에서 두각을 나타낸 제품들로 구성됐다. JAI, Allied Vision, Basler, LUCID, Gpixel, TPL Vision 등 전통 강자부터 SinceVision과 같은 신흥 강자에 이르기까지, 각 사는 자사 기술의 정점을 이번 신제품에 응축해 머신비전 응용 분야의 폭과 깊이를 동시에 확장하고 있다. 검사 정확도와 속도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인 이미지 품질을 높이기 위해 센서 구조와 해상도, 파장 감지 범위를 확대한 제품부터, 좁은 설치 공간과 고진동 환경에도 적용 가능한 모듈형 조명 및 하우징까지—이 제품들은 스마트팩토리, 반도체, 물류, 식품, 바이오, 재활용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머신비전의 가치를 한층 더 끌어올릴 것이다.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노트북, PC, 모니터, 액세서리를 지원하는 새로운 사용자 감지(Human Presence Detection, HPD) 기술을 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기술은 하루 평균 20% 이상 전력소모를 절감하면서도 향상된 보안 및 강화된 개인정보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업계 선도적인 플라이트센스(FlightSense) ToF(Time-of-Flight) 센서와 고유의 AI 알고리즘을 결합해 핸즈프리 방식의 빠른 ‘윈도 헬로(Windows Hello)’ 인증을 제공하고 배터리 수명 연장, 사용자 개인정보보호 또는 건강 알림 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알레상드르 발메프레졸 ST 수석 부사장 겸 이미징 서브그룹 사업본부장은 “ST의 플라이트센스 기술은 지난 수년간 출시된 260종 이상의 노트북 및 PC 모델에 탑재되어 있다”며 “새로운 사용자 감지 솔루션은 이를 바탕으로 에너지 효율, 보안, 사용 편의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AI와 센서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통합이 가속화됨에 따라 앞으로는 훨씬 더 정교하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기기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릴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엔지니어들이 혁신적인 최신 솔루션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포괄적인 온라인 로보틱스 리소스 센터를 제공한다고 5일 밝혔다. 엔지니어링과 컴퓨터 과학이 융합된 로보틱스는 자동화, 제조, 의료 등 산업 분야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로보틱스는 정밀 구동이 요구되는 산업용 시스템부터 인공지능(AI) 기반 자동화 기술에 이르기까지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의 효율성과 안전성, 성능에 대한 기준을 새롭게 재정립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로보틱스 기술은 다양한 영역에서 발전하고 있다. 유기적인 동작들을 모방하도록 설계된 소프트 로보틱스는 의수 및 의족 개발을 혁신해 생체와 유사한 뛰어난 민첩성을 갖춘 인공 팔다리를 가능하게 한다. 스위핑 로보틱스(sweeping robotics)는 ToF(Time-of-Flight) 센서와 안테나 같은 첨단 구성요소를 통합해 자율 청소 기능을 극대화한다. 산업 현장에서는 로봇을 통해 반복적이고 위험한 작업을 자동화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협동 로봇(코봇)을 도입해 작업 흐름을 최적화하고 인력 배치를 전략적으로 전환할 수 있게 됐다. AI와 머신러닝의 발전으로 로봇은 점점 더 스마트하고 향상된
트위니는 작업 환경별로 맞춤 제작할 수 있는 저상형 자율주행 물류 이송 로봇 ‘나르고 팩토리’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나르고 팩토리는 픽업, 부품 이송·적재, 완제품 배송·전달 등 용도에 맞게 상부 모듈을 쉽게 변경하도록 설계한 것이 특징이다. 로봇암, 컨베이어벨트, 롤테이너, 리프트 부착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 공장, 물류기업 내 여러 작업에 활용할 수 있다. 2D 라이다 센서와 ToF(Time of Flight·비행거리 측정 방식) 센서, 뎁스 카메라 등을 통해 작업자와 장애물을 신속하게 감지하고 충돌을 방지, 안전성을 높였다. 인건비와 근로자 퇴직연금 부담, 인원 이탈 등 노동 문제를 해소하는 데 기여하고, 작업 속도를 높여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트위니는 나르고 팩토리를 통해 공장자동화 시장 확대를 꾀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오는 27일부터 29일까지 사흘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4(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AW 2024)’에서 첫 선을 보일 계획이다. 이와 함께 로봇 유통을 담당할 수 있는 협력사를 발굴해 제품의 보급을 속도감 있게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2.3k 해상도의 일체형 dToF(direct Time-of-Flight) 3D 라이다(Light Detection And Ranging) 모듈 출시를 26일 발표했다. 알렉산드르 발메프레졸 ST 이미징 서브그룹 사업본부장은 "ToF 센서는 대상 객체까지의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스마트 기기, 가전제품,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새로운 기능의 구현을 촉진하고 있다"며 "ST는 이미 20억 개의 센서를 시장에 공급한 바 있으며, 단일 존 디바이스에서 최신 고해상도 3D iToF 및 dToF 센서까지 모든 유형을 아우르는 독보적인 포트폴리오를 계속 확장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또한 "ST는 다양한 지역에 위치한 인하우스 대규모 모듈 어셈블리 시설을 통해 픽셀 및 메타표면 렌즈 기술과 설계에서 제조까지 모든 영역을 포괄하는 수직 통합 공급망을 구축하면서 매우 혁신적인 고집적 고성능 센서를 제공하게 됐다"고 밝혔다. 새로운 dToF 3D 라이다 디바이스인 VL53L9는 최대 2.3k 존의 해상도를 갖추고 있다. 시장에서 유일하게 듀얼 스캔 투광 조명을 내장해 소형 물체와 가장자리까지 감지하며, 2D 적외선(IR) 이미지
다양한 반도체 및 전자부품을 공급하며 업계를 선도하는 신제품 소개(NPI) 유통 기업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센서 설계 가이드를 위한 새로운 리소스 사이트를 발표했다. 해당 리소스 사이트는 센서 설계 애플리케이션의 복잡성에 대한 기사 모음을 확대해 엔지니어들이 복잡한 설계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독자들은 홈페이지를 찾아 해당 리소스 사이트에 액세스할 수 있다. 센서 설계의 발전은 가전제품, 의료 애플리케이션 및 자동차 제조 분야에서 새로운 장치의 혁신을 주도해왔다. 새로운 센서 설계 가이드 리소스 사이트는 ToF 센서, MEMS 마이크, 자이로스코프 및 가속도계 등의 주제에 대한 다양하고, 심층적인 기사를 제공한다. 임베디드 시스템 전문가 이슈마엘 치구미라(Ishmael Chigumira)는 보드 실장 온도 센서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기사에서 보드 외부에 위치하지 않은 채 PCB에 온도 센서를 통합할 수 있도록 만든 기술 혁신을 탐구한다. 이 기사는 다양한 유형의 온도 센서를 정의하고 보드 실장 센서를 이해하는 방법을 설명하며, 통합과 구현을 위한 몇 가지 모범 사례를 규정한다. VOC 센서의 활용법과 유의점(The Dos and Don’
전용 플라이트센스(FlightSense) 소프트웨어 패키지로 저전력 저비용 제스처 감지 지원 ToF 멀티존 거리측정 센서 활용해 카메라가 필요없는 솔루션 구현, 완벽한 개인정보보호 제공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터치리스 제스처 기반 제어를 지원하는 솔루션을 출시해 컨슈머 및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의 비용절감과 사용 편의성을 지원한다. 이 솔루션은 ST의 VL53L5CX 플라이트센스(FlightSense) ToF(Time-of-Flight) 멀티존 거리측정 센서와 무료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로 구성돼 있다. 제스처 기반 상호작용은 초기에는 고급 차량의 주요 기능으로 제공되었지만, 이제 주방가전, 온도조절장치, 스마트 홈 및 스마트 조명 제어, 노트북, AR/VR 헤드셋, 태블릿, 스마트폰 등 다양한 유형의 기기 기능을 향상시켜준다. 현재 터치리스 제스처를 해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자동판매기 및 발권기, 엘리베이터 제어, 대화형 사이니지와 같은 장비로 감염이 확산되는 일을 방지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ST는 자사의 VL53L5CX 멀티존 ToF 센서와 이를 지원하는 최신 보조 소프트웨어로 제스처 감지 기능을 보다 간단하고 저렴하게 구현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스마트폰 및 기타 기기에 첨단 3D 심도 이미징을 제공하는 새로운 고해상도 ToF(Time-of-Flight) 센서 제품군을 발표했다. 센서는 50만개 이상의 포인트로 거리를 측정하여 3차원 표면을 매핑한다. 센서에서 최대 5미터까지 물체를 감지하며, 패턴 조명을 사용하면 더 먼 거리의 물체까지 감지할 수 있다. 첫 제품인 VD55H1은 룸 매핑, 게임, 3D 아바타 등 새로운 AR/VR 시장의 적용사례를 구현한다. 이 센서를 스마트폰에 적용하면 보케 효과(Bokeh Effect), 다중 카메라 선택, 비디오 분할 등 카메라 시스템 기능의 성능을 향상시켜준다. 또한, 더 높은 해상도와 더 정확한 3D 이미지로 얼굴 인증 보안을 개선함으로써 전화 잠금해제, 모바일 결제를 비롯해 안전한 거래 및 액세스 제어와 관련된 모든 스마트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다. 로보틱스의 경우, VD55H1은 모든 대상 거리에 대해 높은 충실도로 3D 장면 매핑을 제공해 새롭고 더 강력한 기능을 구현하게 해준다. VD55H1과 같은 iToF 센서는 반사된 신호와 방출된 신호 사이의 위상 변이를 측정해 물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 이는 전송된 신호가
[헬로티] 텔레다인 테크놀로지스의 계열사이자 이미징 솔루션 분야 전문기업 텔레다인 e2v는 3D 감지 및 거리 측정용으로 최적화된 ToF(Time-of-Flight) CMOS 이미지 센서인 ‘Hydra3D’를 발표했다. 이 센서는 비전 가이드 로보틱스, 물류 및 자율주행 차량 등 최신 산업 응용 분야를 지원한다. 또한 Hydra3D의 고해상도 및 유연한 구성은 온칩 HDR과 결합되어 보안 감시, ITS, 건물 건축 및 드론 등 옥외 응용 분야에 적합하다. ▲ ToF CMOS 이미지 센서인 ‘Hydra3D’ 이 센서는 최신 10µm 3탭 픽셀이 특징이고 텔레다인 e2v의 독점 CMOS 기술로 설계됐으며 고부가가치 아날로그 반도체 파운드리 솔루션의 선도업체인 타워 세미컨덕터에 의해 생산된다. 832×600 픽셀의 해상도가 통합된 Hydra3D는 최소 20ns의 초고속 전송 시간, 우수한 복조 대조비 및 감도를 제공한다. 이 센서는 우수한 시간 정밀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실내외 조건, 단거리, 중거리 및 원거리에서 실시간으로 작동할 수 있다. Hydra3D는 평가 키트(Hydra3D EK)와 함께 제공
[헬로티]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이하, ETC 시스템 :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은 유료 도로의 입출입 게이트에 설치되어 있으며, 요금소에서 멈추지 않고 통행료를 지불하는 시스템이다. 그 구조는 ETC 차재기를 탑재한 차량이 진입하면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 통신에서 차량 정보와 입구 요금소, 출구 요금소, 통행요금 등의 정산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해 과금한다. 특히 트럭 등 운송 차량의 고속 자동차도의 요금 구분은 보통차․중형차․대형차․특대형차로 구분되어 있으며, 차재기 등록 정보가 중형차인 경우, 축수가 1개씩 늘어날 때마다 대형차, 특대형차로 등급이 올라가는 구조이기 때문에 특히 중형차에서 특대형차를 분류하기 위해서는 차축을 판정할 필요가 있다. 그림 1. ETC 레인 구성 예 그 중에는 적재물을 탑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차축을 10cm 정도 띄워 타이어의 마모를 경감하는 동시에 과금액을 낮추는 리프트 액슬 차량도 존재한다. 이러한 정보를 그림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퇴실 게이트 차량 통과 레인 노측대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 검지 센서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ToF(Time-of-Flight) VL53L3CX를 출시해 자사의 플라이트센스(FlightSense) ToF 거리측정 센서 역량을 확대했다고 밝혔다. 이 제품은 특허 받은 히스토그램 알고리즘을 갖춰 정확도를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다수 객체(Multiple object)에 대한 거리측정이 가능하다. VL53L3CX는 2.5cm ~ 3m까지 객체 거리를 측정하며, 기존 적외선 센서와 달리 대상의 색이나 반사율에 영향받지 않는다. 이를 통해 설계자는 원치 않는 배경 또는 전경을 무시하고 점유 감지기(occupancy detector)가 오류없이 객체를 감지하거나, 센서의 관측 시야 내에서 여러 대상의 정확한 거리를 보고하는 등 강력하고 새로운 기능들을 제품에 도입할 수 있다. ST의 특허 기술인 히스토그램 알고리즘은 커버글래스로 야기되는 잡음의 내성을 높이고 실시간 얼룩 보상이 가능하다. 이는 먼지가 심한 산업 환경에서 사용되는 진공청소기나 장비처럼 외부 오염으로 거리측정 정확도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해준다. 주변광이 있는 상황에서도 거리측정 성능을 개선해준다. VL
[첨단 헬로티] 세계적인 반도체 회사인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인텔의 상황 감지 기술에 사용되는 ST의 플라이트센스 ToF(Time-of-Flight) 거리측정 센서 출력 기반의 사용자 감지 솔루션을 출시했다. 이 솔루션은 PC 데이터 보안에 혁신적 방식을 제공하면서, 전력소모를 줄이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켜준다. 노트북 베젤의 커버 글래스 뒤에 보이지 않게 설치된 ST의 플라이트센스 ToF 센서는 PC 앞에 사용자가 있는지를 모니터링한다. 사용자가 자리를 비우면, 이를 ToF 센서가 감지하여 즉시 시스템을 잠그고 윈도우의 최신 대기모드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도록 해 보안을 향상시키고 전력소모를 줄여준다. 그 다음에는 저전력 자율모드로 전환되며, 사용자가 자리에 돌아오는지 스캐닝하면서 PC를 슬립모드로 유지해 전력소모를 줄인다. 사용자가 돌아오면 PC를 활성화하고, 키를 누르거나 마우스를 움직이지 않아도 자동으로 안면인식을 실행해 로그인해준다. 이 시스템에 사용된 특허 받은 ST의 알고리즘은 전력소모가 많은 비디오 분석이나 침입 가능성이 높은 웹캠에 의존하지 않고도 의자와 같은 무생물을 PC 앞에 가만히 앉아 있는 사람과 구별할 수 있다. 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