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코플랜트는 연결기준 지난 3분기 110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2조104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6% 감소했다. 회사 측은 별도 기준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9.6% 증가했으나, 자회사 SK에코엔지니어링의 원가율 상승 등으로 연결 기준으로는 영업 적자를 냈다고 설명했다. 매출도 마찬가지로 반도체·건설 부문에선 실적 성장을 거뒀으나 자회사 SK에코엔지니어링과 SK오션플랜트의 매출이 부진하면서 전체 매출액이 줄었다. 다만 4분기부터는 자회사로 편입된 산업용 가스 기업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 반도체 모듈 기업 에센코어의 실적이 본격 반영되며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고 회사 측은 강조했다. 환경사업의 경우 데이터센터 전용 IT자산처분서비스(ITAD) 등의 사업 확대에 힘입어 1∼3분기 누적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7.7% 증가한 1조1831억 원으로 집계됐다. 환경사업 영업이익은 46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배 성장했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 10월 조직 개편을 통해 반도체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이테크사업 조직을 신설했으며 인공지능(AI), 에너지, 환경 등 핵심 비즈니스 역량에 집중하며 본원적 경쟁력
그린수소 생산 후 그린 암모니아로 전환해 다른 대륙에 운송 사업에 5000만 달러 투자 SK에코플랜트가 캐나다 에너지 기업과 손잡고 6조 원 규모의 그린수소 상용화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SK에코플랜트는 17일 롯데호텔 서울에서 캐나다 월드에너지GH₂와 45억 달러(약 6조 원) 규모의 '뉴지오호닉 그린수소 1단계 프로젝트' 참여를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SK에코플랜트는 사업 지분의 20%에 해당하는 5000만 달러(약 660억 원) 규모를 투자해 사업개발에 참여하고, 향후 수전해 주기기와 그린 암모니아 플랜트 설계·조달·시공(EPC)까지 도맡으며 그린수소 사업의 전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번 사업은 캐나다 동부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의 뉴펀들랜드 섬에서 진행된다. 풍력발전으로 생산된 전기로 물을 분해해 탄소 배출 없이 그린수소를 뽑아내고, 이를 다시 그린 암모니아로 전환해 유럽 등 다른 대륙으로 운송하는 사업이다. 암모니아는 제조과정이 단순하고 상온에서 쉽게 액화돼 수소의 저장, 운반체로 각광받고 있다. 그린수소를 기반으로 생산된 그린 암모니아는 독일을 비롯한 유럽 지역 국가로 수출될 예정이다. 3단계로 진행되는 사업 중 이번
오토데스크가 SK에코엔지니어링과 플랜트 BIM(빌딩정보모델링) 기반 플랜트 EPC(설계·조달·시공) 적용 확대 및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서울 종로구 SK에코엔지니어링 본사에서 진행된 기술협약식에는 박진용 SK에코엔지니어링 부사장, 김대성 SK에코엔지니어링 부사장, 하레시 쿱찬다니 오토데스크 아시아태평양 지역 영업 총괄 부사장, 김동현 오토데스크코리아 대표 등 주요 경영진이 참석했다. 이번 MOU의 핵심인 플랜트 BIM은 BIM을 활용해 플랜트 산업의 3D 설계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프로세스 및 기술의 집합체다. 양사의 MOU는 ▲플랜트 BIM 기술개발을 통해 기존 O&G(석유·가스) 사업의 혁신을 추진하고 ▲EPC 사업에서 오토데스크 기술 및 솔루션을 활용해 BIM 적용을 확대 및 활성화하며 ▲클라우드 기반 EPC 엔지니어링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골자로 한다. 양사는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플랜트 BIM 기술 상용화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협업을 진행한다. 또 설계 자동화, 디지털, 모바일, 로봇, IoT 등 신기술과 추가 혁신 방안에 대해 공유하고 발전 기회를 모색하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
SK에코엔지니어링은 오동호 신임 대표이사를 선임했다고 16일 밝혔다. 오 신임 대표이사는 1996년 SK건설(현 SK에코플랜트)에 공채 입사 후 중국사업 담당임원, SK하이닉스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반도체사업 담당임원 등을 역임한 산업플랜트 전문가다. 오 대표이사는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 수익성 제고에 집중하고, 첨단소재·그린·바이오·디지털 등 신성장 산업 분야에 맞춤형 설계·조달·시공(EPC) 솔루션을 제공해 사업 영역을 더 확대할 계획이다. SK에코엔지니어링은 기술력과 전문성을 강화해 내실을 다지고 지속적인 성장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고 선임 배경을 밝혔다. 올해 2월 SK에코플랜트에서 물적분할된 SK에코엔지니어링은 이달 1일 사업 수행 경쟁력 강화와 리스크 관리 역량 제고를 위해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배터리, 소재로 분리돼 있던 기존 산업플랜트 조직을 단일 조직으로 통합하고, 스마트 건설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혁신기술 전담 조직을 신설했다. 경영지원과 사업운영 기능 조직의 일원화를 통해 사업 기획 단계부터 견적, 입찰, 사업 관리 전 과정을 최적화하는 체계도 구축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SK에코엔지니어링 고객사 스마트팩토리 구축 및 시설물 전력 효율화 달성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가 플랜트 EPC, Tech Solution 전문기업 SK에코엔지니어링과 '스마트 팩토리 에너지 효율화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서울 종로구 SK에코엔지니어링 사옥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김경록 대표와 SK에코엔지니어링 박진용 부사장 등 양사 주요 경영진이 참석했다. 양사는 협약을 통해 SK에코엔지니어링의 EPC 역량과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에너지관리 및 지속가능성 컨설팅을 결합해 지속가능성 실현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과 비전을 구축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SK에코엔지니어링 고객사의 시설물에 맞춤형 에너지관리 솔루션을 도입하고, SK에코엔지니어링 고객사의 해외 시설에 전력구매계약(PPA) 컨설팅을 제공함으로써 지속가능성을 위한 다양한 정보 공유와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또한 SK에코엔지니어링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도 지원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지속가능성 사업부는 에너지 및 탄소 관리에 대한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미국, 캐나다, 폴란드 등의 기업 재생에너지 구매를 위한 200건 이
SK에코플랜트가 기업공개(IPO) 절차에 본격 돌입한다. SK에코플랜트는 3월 21일 국내외 주요 증권사에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위한 제안요청서(RFP)를 발송했다고 밝혔다. 증권사의 제안서를 받아 예비후보자 선정 등을 거쳐 다음달 중 주관사단을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빠르면 내년 하반기 상장을 목표로 진행하며 구체적인 일정은 선정된 주관사단과 협의 하에 추후 확정된다. 조성옥 SK에코플랜트 Strategy 센터장은 “규모의 경제 전략에 따라 다수의 환경기업 M&A를 성사시키며 이미 국내 최대 환경사업자 위상을 확보했고 수소연료전지·해상풍력 등 친환경 에너지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했기 때문에 2023년에는 기업가치를 보다 높게 평가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SK에코플랜트는 올해 ‘성공적인 IPO 달성을 위한 준비를 완성하는 해’라고 밝힌 바 있다. 지난 2020년 본격적으로 ‘친환경 드라이브’를 걸고 국내 초대형 환경플랫폼 기업인 ‘환경시설관리(옛 EMC홀딩스)’를 인수하며 신시장 선점에 나섰다. 이후 볼트온 전략에 따라 총 6곳의 환경기업을 추가로 인수해 국내 수처리 1위, 사업장폐기물 소각 1위, 의료폐기물 소각 2위, 폐기물 매립
헬로티 서재창 기자 | SK에코플랜트가 플랜트 사업 부문을 분할 매각한다. SK에코플랜트는 13일 서울 종로구 관훈사옥에서 열린 임시주주총회에서 플랜트 사업부문을 분할 매각하는 안건이 통과됐다고 밝혔다. 분할 설립되는 신설법인명은 'SK에코엔지니어링'이며, 이 회사는 앞으로 전기차 배터리, 리튬이온전지분리막(이하 LiBS), 수소 등 그린에너지 분야의 엔지니어링 기업으로 새롭게 출범한다. SK에코엔지니어링은 현재 면허법인으로 설립한 비엘에이치엔지니어링과 합병하게 되며, 분할합병기일은 2022년 1월 17일이다. 비엘에이치엔지니어링이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지분 50.01%)는 미래에셋증권과 이음프라이빗에쿼티 컨소시엄에 4500억 원에 매각할 예정이다. 나머지 49.99% 지분은 SK에코플랜트가 보유한다. 새로 출범할 SK에코엔지니어링은 배터리, LiBS, 수소 등 미래 성장성이 높은 그린에너지 분야의 전문성을 강화하면서 첨단소재, 그린, 바이오, 디지털 등 SK그룹의 4대 핵심사업 성장을 위한 지원에 참여한다. SK에코플랜트 관계자는 "재무구조 등을 고려해 PE에 지분매각을 하지만 SK 멤버사들과 함께 추가적인 사업 기회는 계속해서 모색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