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트룩스가 주관기관으로서 전 과정 총괄...올해부터 2년간 진행 예정 솔트룩스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PA)이 주관하고 국가기록원이 추진하는 'AI 기반 지능형 기록정보 검색 솔루션 개발 및 실증' 사업을 수주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2025년부터 2년간 진행되며, 솔트룩스가 주관기관으로서 전 과정을 총괄하게 된다. 이번 과제의 핵심 목표는 국민 누구나 공공기록에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고도화된 지능형 검색 시스템을 개발하고 실증하는 데 있다. 단순 키워드 검색에서 벗어나 의미 기반 탐색이 가능한 차세대 AI 검색 환경을 구현하는 것이 주된 방향이다. 솔트룩스는 협업 부처 및 보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용 데이터를 구축하고, 검색 정확도를 90%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하이브리드 검색 시스템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초거대 언어모델(LLM), 비전-언어 융합모델(VLM), 의미 임베딩 검색 기술을 통합한 멀티모달 검색 구조를 적용한다. 여기에 벡터 검색과 키워드 리랭킹을 조합한 RAG 구조를 통해 정밀한 정보 탐색이 가능하도록 설계할 예정이다. 사용자 피드백을 자동 반영해 지속적으로 시스템을 고도화할
지태현 CTO, ‘AI Agent 환경에서 PaaS의 역할’ 주제로 발표 진행 에이프리카가 ‘K-AI PaaS Summit 2025’에 참가해 AI 에이전트 환경에서의 PaaS 역할과 자사의 서버리스 플랫폼 ‘세렝게티 Functions’를 중심으로 한 기술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서밋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가 공동 주관했으며, 디지털 정부 구현을 위한 민간 클라우드 기술 확산과 PaaS 활성화가 핵심 목표로 설정됐다. 행사에는 전국 지자체와 공공기관, 산하기관 정책 실무자들이 대거 참석해 공공부문 클라우드 도입 및 운영 전략에 대한 현실적 논의가 이뤄졌다. 특히, 에이프리카가 제시한 AI 에이전트 기반 PaaS 구조는 실무자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끌었다. 에이프리카의 지태현 CTO는 ‘AI Agent 환경에서 PaaS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에 나서며 “AI 에이전트는 더 이상 단순한 자동화 툴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판단하고 실행하는 새로운 인터페이스”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 요소가 유기적으로 통합된 플랫폼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그는 API 오케스트레이션, 워크플로우 자동화, LLMOps 기반 모델 운영, 보안 및 컴플라이언
AI 솔루션 도입 위한 온프레미스 및 하이브리드 인프라 공동 구축 등 협력 추진 바이브컴퍼니와 에이에스티글로벌이 생성형 AI 솔루션의 안정적 도입과 온프레미스 기반의 AI 인프라 확산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양사는 5월 22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AI 솔루션과 인프라 통합을 위한 전략적 협력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고도화된 AI 솔루션과 GPU 기반 인프라의 결합이다. 양사는 AI 솔루션 도입을 위한 온프레미스 및 하이브리드 인프라 공동 구축, 바이브컴퍼니의 주요 AI 솔루션 기반 공동 사업 전개, AI 환경 최적화를 위한 기술 협력을 주요 골자로 협력을 이어갈 방침이다. 바이브컴퍼니는 자체 개발한 생성형 LLM 모델 ‘VAIV GeM’을 중심으로 AI 검색(VAIV Search), 챗봇(VAIV Chatbot), 지식관리(KMS), 리서치(AIR) 등 다양한 업무 혁신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RAG 기반의 VAIV Search는 단순 생성형 응답이 아닌, 문서 기반의 신뢰 가능한 정답을 제시하는 구조로 설계돼 금융기관과 공공기관에서 빠르게 채택되고 있다. 한편, 에이에스티글로벌은 고성능 GPU 서버를 중심으로 AI 구현 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