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커스체인(Locus Chain)을 기반으로 한 Web3 게임 및 메타버스 플랫폼 크레타(Creta)가 개발 중인 ‘크레타 월드’의 글로벌 비공개 베타테스트(이하 CBT)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지난 2일과 3일 양일간 진행된 이번 CBT는 전 세계 유저들의 높은 관심 속에서 진행됐다. 사전 참가 신청 접수자는 1,000명을 넘었고, 동시 접속자 수는 최대 500명을 기록하며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CBT 기간 동안 ‘포트리스 W’ 등 로커스 게임체인 기술을 활용한 서버리스 게임들이 공개됐다. 특히 크레타 런처를 통해 참여자들이 블록체인 노드를 직접 운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기존 게임 플랫폼과 차별화된 기술력을 선보였다. 테스트 참가자들은 멀티버스 환경에서 자신만의 NFT를 실시간으로 발행하거나 특정 퀘스트를 완료하는 체험을 했다. 또한 탈중앙화 커뮤니티 서비스인 슈퍼클럽과의 연동 이벤트를 통해 크레타 멀티버스와 Web3 커뮤니티 간의 강력한 연결성을 경험했다. 참가자들은 크레타 멀티버스에서 생성된 NFT를 슈퍼클럽에 공유하고, 다중전송(Real Time Multi-transaction) 기능을 통해 디지털 자산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며 크레타 생태계의 편
사단법인 더함께새희망과 블록체인 전문기업 헤세그, 기부 대행업체 더루트코리아가 지난 5일 가상자산 기부 시스템 ‘호프 블럭(HOPE BLOCK)’ 활성화를 위해 협약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세 단체는 한국 내 암호화폐 기부 문화를 촉진하고, 보다 투명하고 안전한 기부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가상자산 기부는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신흥 기부 방식이다. 미국의 경우 2019년부터 활성화되어 현재 연간 20억 달러 이상의 암호화폐가 기부로 활용되고 있으며, 자선단체의 약 56%가 이를 수용하고 있다. 미국 더기빙블럭의 자료에 따르면 가상자산 기부는 매년 15%씩 성장하고 있으며, 2032년에는 전체 기부 시장의 2%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국의 경우 총 기부 시장이 약 15조 1천억 원에 달하는 만큼, 가상자산이 2%를 차지할 경우 약 3천억 원의 규모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 한국은 아직 가상자산 기부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다. 기존에도 몇 차례 가상자산 기부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나 기술적 한계로 인해 모두 실패한 바 있다. 암호화폐와 NFT 같은 가상자산을 기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실명 처리 및 거래 내역의 투명한 관리가 필수적
클라우드 블록체인 솔루션 전문기업 헤세그가 자체 개발한 레이어 1 메인넷, ‘닉토넷(NiktoNet)’ 기반의 블록체인 서비스인 바스(BaaS) 솔루션의 상용화 버전을 출시했다. 이번 상용화는 국내 블록체인 시장에서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루며, 다양한 기업들이 블록체인 서비스를 보다 쉽게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게 돕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헤세그의 바스 솔루션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블록체인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하는 솔루션으로,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을 위해 필수적인 메인넷을 구매하거나 자체적으로 구축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높은 비용을 혁신적으로 해결해준다. 특히 국내 최초로 상용화된 이 서비스는 NFT 발행, 신원인증 서비스, STO(증권형 토큰 발행) 등 블록체인 기술을 필요로 하는 기업들에게 필수적이었던 메인넷 도입 절차를 간소화했다. 많은 기업들이 메인넷 구매나 구축에 따른 높은 비용과 기술적 지원 부족으로 인해 블록체인 서비스를 개발하다 중도 포기하는 상황이 많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헤세그는 기업들이 클라우드 기반의 바스 솔루션을 임대하여 필요한 데이터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종량제 서비스를 도입, 블록체인 기술 도입의 경제적 부담을 대폭 줄였다. 헤세
국제디지털자산위원회(IDAC)가 주관하는 ‘디지털 자산으로 만나는 새로운 기회: 청소년 대상 디지털 자산(AI, NFT) 활용 콘텐츠 제작 교육’이 오는 9월과 10월 대전광역시의 초·중·고등학교에서 실시된다. 이번 교육은 ‘2024 대전광역시 비영리민간단체 공익활동지원사업’의 일환으로, 대전광역시교육청과 대전광역시의회 이중호 의원실, 블로코엑스와이지, 대전동부다문화교육지원센터가 후원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대전 지역의 학교들이 신청을 통해 참여할 수 있으며, IDAC에서 양성한 강사들이 직접 파견되어 두 차례에 걸친 교육을 진행하게 된다. 교육의 핵심 목표는 학생들이 디지털 자산과 NFT, 생성형 AI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자신만의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다. 교육 과정은 크게 다섯 가지로 나누어 진행된다. 먼저 디지털 자산과 NFT에 대한 이해를 돕는 기초 교육이 진행되며, 생성형 AI 기술에 대한 정보와 실습도 포함된다. 학생들은 이를 통해 자신만의 캐릭터를 기획하고, AI를 활용하여 이미지를 제작한 후 이를 NFT로 변환해보는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또한 다문화 인식 토론 세션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이 만든 캐릭터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독특함과 동질성에
TV조선과 크리스앤파트너스가 공동 주최하는 아시아 대표 디지털 테크토크 행사인 ‘서울메타위크’가 26일 개막했다. “기술의 파도를 항해하라: Ride the Waves of Technology”라는 주제 아래, 이번 행사에서는 AI 기술을 중심으로 글로벌 기업의 혁신 방향과 비즈니스 모델을 탐구하며 기업과 개인이 직면한 도전과 미래 비전에 대한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행사의 첫날인 26일에는 “AI 내일을 설계하다: AI Shaping Tomorrow’s World”라는 타이틀로 AI의 글로벌 메가트렌드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자요티카 모한 구글 클라우드 GenAI 스페셜리스트 △정민영 SK텔레콤 AI플랫폼 부사장 △아비나쉬 마다수 인텔 AI 연구 엔지니어 △린한 게이트아이오 창립자 및 CEO △김선욱 엔비디아 기술 마케팅 상무 등의 전문가 세션이 저녁 6시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둘째 날인 27일에는 “웹3, 메타버스, 크립토의 미래: What's Next? Exploring Web3, Metaverse, and Crypto Futures”라는 주제로 관련 분야의 최신 트렌드와 기술을 논의한다. △막심 레파로프 스포티파이 선임 머신러닝 엔지니어 △린 응우옌
라인 넥스트가 글로벌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이하 크레센도)와 컨소시엄으로부터 1억4000만 달러(한화 약 18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투자 유치 금액은 아시아 블록체인 및 웹3 업계에서 올해 최대 규모로, 라인 넥스트는 자금을 활용해 '웹3 대중화'를 목표로 글로벌 플랫폼 사업 확장 및 다양한 신규 서비스를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 먼저 라인 넥스트는 베타 서비스 중인 글로벌 NFT(대체 불가능한 토큰) 플랫폼 '도시(DOSI)'를 다양한 디지털 상품을 거래할 수 있는 디지털 마켓플레이스로 내년 1월 정식 출시할 예정이다. 정식 버전은 일본에서 서비스되는 NFT 종합 마켓플레이스 라인 NFT(LINE NFT)를 도시와 통합해 전 세계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앱으로 선보인다. 또 라인 넥스트는 웹2 서비스와 브랜드가 기존 디지털 상품에 바로 소유권을 부여하고 거래할 수 있는 새로운 솔루션을 제공하여 손쉽게 웹3를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외에도 웹3 대중화에 박차를 가하기 위한 신규 서비스도 준비한다. AI 기술을 활용해 사용자 자신이 직접 만든 캐릭터를 기반으로 소통하는 소셜 앱과 브
롯데정보통신 코튼시드가 크리스마스를 맞아 롯데물산과 손잡고 '마이 디어리스트 위시 스탬프 이벤트(My Dearest Wish Stamp Event)'를 이달 25일까지 2주 간 진행한다. 이번 이벤트는 롯데월드타워·몰에 방문한 성인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롯데월드타워·몰 내외부에 설치된 9개의 배너를 찾아 NFT 스탬프를 수집하면 된다. 배너에 부착되어 있는 QR코드를 스캔하면 이벤트에 자동 응모된다. NFT 스탬프를 3개 모은 모든 참여자는 윈더위시가든에 있는 회전목마 탑승권을 얻을 수 있다. 또한 NFT 스탬프를 4개 이상 수집한 참여자 중 추첨을 통해 시그니엘 디럭스 1박 숙박권(1명), 백화점 10만 원 상품권(10명), 아쿠아리움 입장권 2매(10명), 롯데시네마 2인 관람권(20명) 등 다양한 경품을 증정할 예정이다. 코튼시드 관계자는 "최근 '어린이재활센터' 건립을 위한 NFT 활용 기부 캠페인을 진행하며 새로운 형태의 기부 문화를 만들어내는 등 NFT의 다양한 가능성을 시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이번 이벤트는 롯데월드타워 방문객들에게 행복한 크리스마스 추억을 선물하고 싶어 준비했다"며 "앞으로도 롯데 그룹 계열사들과 협업해 고객들
국내 블록체인의 모든 것을 살펴볼 수 있는 '업비트 D 컨퍼런스(이하 UDC 2023)'가 11월 13일 개최된다. 이번 행사에는 이더리움, 솔라나, 아바랩스 등 글로벌 블록체인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여해 보다 심도 깊은 인사이트를 공유할 예정이다. UDC는 블록체인, 핀테크 전문 기업 두나무가 국내 블록체인 생태계 육성과 확장에 기여하고자 2018년부터 매해 개최하고 있는 국내 대표 블록체인 컨퍼런스다. 11월 13일 개최되는 UDC 2023은 '블록체인의 모든 것'이란 슬로건 하에 ▲트렌드 ▲산업/기술 ▲콘텐츠/문화 ▲정책/규제 ▲금융/비즈니스 주제로 진행된다. 트렌드 세션에서는 솔라나 재단이 AI의 발전이 블록체인 산업에 미친 영향과 미래에 대해 발표하며, 산업/기술 분야에는 체인링크 랩스가 블록체인을 활용한 데이터 분야 혁신을 소개한다. 이외에도 콘텐츠/문화에서는 엔터테인먼트 산업 속 NFT 활용 방안과 메타버스 등을 소개하며, 금융과 통신 분야 속 블록체인 활용 방안 및 비전, 디지털 자산 시장 규제 및 정책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 두나무 관계자는 "이번 UDC 2023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에서 만나볼 수 있다. 블록체인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16일 이프랜드 재화 ‘스톤’ 도입…콘텐츠 매매 ∙ 후원 등으로 생태계 선순환 기대 “경제시스템 기반으로, 풍부한 고품질 콘텐츠들이 지속 생산, 소비되는 서비스될 것” SK텔레콤이 메타버스 서비스 ‘이프랜드(ifland)’에 이프랜드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경제시스템을 본격 도입하고, 1만 6000여 개의 신규 프리미엄 콘텐츠를 추가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신규 아이템 추가로, 이프랜드에서 사용 가능한 아이템은 기존 4000여 종에서 총 2만여 종으로 5배 이상 늘어 기존 대비 크게 확장된 이프랜드 체험이 가능해졌다. SKT는 이프랜드 서비스를 활성화하고, 본격적인 이프랜드 수익 구조 정립을 위해 경제시스템을 오픈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재화를 유료와 무료로 구분하고, 유료 재화 ‘스톤(Stone)’을 도입했다. '스톤'은 앱스토어에서 인앱결제로 구매 가능하며, 무료 재화 ‘포인트’는 기존과 동일하게 출석, 미션 수행, 이벤트 참여로도 획득할 수 있다. 유료 재화 ‘스톤’은 소장 가치가 높은 차별화 아이템 구매 및 호스트 후원에 사용할 수 있다. 이용자는 특정 이프홈을 방문하거나, 이프스퀘어에서 열리는 대규모 밋업(Meet-up) 행사에 참여해 호스
MARBLEX(이하 마브렉스)가 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자이프(Zaif)에 상장했다고 밝혔다. 앞서 마브렉스의 거버넌스 코인 MBX는 지난 7월 일본 가상자산 시장 내 화이트리스트에 등재된 바 있다. 화이트리스트란 일본 금융청의 심사를 거쳐 거래소 상장에 관한 허가를 받는 것으로 MBX 코인은 한국 블록체인 게임 프로젝트 중 최초로 일본 화이트리스트에 등재됐다. 마브렉스 정용 대표는 “현재 일본은 정부가 신규 성장 동력으로 웹 3.0을 선택해 지원에 나섰으며, 굴지의 기업들이 이에 발맞춰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덧붙여 “향후 일본 시장이 크립토 시장에서 유의미한 성장 단계로 넘어갈 때 선도적인 프로젝트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상장을 기념해 11일부터 자이프 거래소에서 암호화폐 모에화 프로젝트인 코인무스메 캐릭터 ‘마브렉스짱 NFT’ 에어드랍 이벤트가 진행된다. 이 밖에도 마브렉스는 현재 일본의 블록체인 기반 게임 커뮤니티 ‘YGG재팬’ 및 콘텐츠 기업 ‘DMM’과의 파트너십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사업을 전개 중이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카카오 i 클라우드 및 카카오톡 클립서 서비스 제공 덴티움이 모바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카카오톡을 통해 자사 임플란트의 디지털 정품 보증서 확인이 가능한 서비스를 내놨다. 치과 업계는 임플란트에 이상이 있거나, 재수술이 필요할 때 고객에게 임플란트 보증서를 요구한다. 환자는 타지역으로 이사·보증서 미수령·기존 진료 치과 이전 및 폐업 등 보증서 이슈로 재시술 및 재수술 시 어려움을 겪었다. 이번 서비스는 카카오 i 클라우드 플랫폼과 디지털 의료 보증서 스타트업 서티라이프의 NFT(Non Fungible Token) 기술이 융합됐다. 카카오톡 메시지로 정품 보증서가 전달되고, 카카오톡 클립 지갑에 영구 저장돼 기존 보증서의 분실 위험성 단점을 보완하고 편의성을 확보했다. 덴티움 임플란트 제품을 이용하는 치과는 해당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 덴티움 관계자는 “임플란트 디지털 보증서 도입을 통해 환자의 편의성을 높여 자사 제품 신뢰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앞으로 꾸준히 개선되는 덴티움 제품을 앞세워 국내 및 해외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국제디지털자산위원회(IDAC)는 오는 9월부터 ‘모두의 NFT : 문화 다양성을 디지털 자산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국제디지털자산위원회 ESG 사회공헌 사업으로 진행되는 교육사업으로, 대전광역시교육청, 대전시의회 이중호 의원실 후원으로 대전광역시 소재 학교 및 다문화 지원 기관에서 진행된다. 다문화 학생과 일반 학생이 함께 참여하여 문화 다양성을 체험할 수 있도록 기획된 이번 교육에서는 AI(인공지능)를 활용하여 자신만의 특별한 콘텐츠를 만들어 보고 이를 NFT(대체불가토큰)로 만드는 체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교육은 초등학교 5, 6학년 및 중학생 일반 청소년을 포함한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 및 기관에 IDAC이 전문 강사를 파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참가 신청은 8월 중 대전광역시 소재 초, 중학교 및 다문화 지원 기관 대상으로 신청이 가능하며, 선정된 기관에는 총 2회 교육이 제공된다. 국제디지털자산위원회는 이번 사업의 수행 결과를 토대로 향후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문화 다양성을 확산시킬 수 있는 활동을 점차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웹3 및 메타버스 분야 국내·외 전문가들과 유망업체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서울메타위크의 메인 컨퍼런스 ‘2023 메타콘(METACON 2023)’이 서울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29일 개막한다. 개회식 기조 강연으로는 조쉬 드린 하버드 이노베이션 랩스 웹3 어드바이저가 AI, 메타버스, 웹3가 인간의 한계를 확장시키는 방법에 대해 논한다. TV조선, 언오픈드, 크리스앤파트너스의 공동주최로 개최되는 2023 서울메타위크의 메인 컨퍼런스인 2023 메타콘은 ‘웹3 X 메타버스: 초연결의 미래’라는 주제로 컨퍼런스, 전시, 동시 개최 행사 및 부대 행사, 네트워킹 리셉션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이번 행사는 웹3, 메타버스, NFT 등을 주제로 24개의 세션을 진행할 예정이다. 1일 차에는 개회식을 시작으로 △총 예 텐센트 생성형 인공지능 및 XR 프로덕트 책임자 △케리 머피 더 패브리칸트 창립자 및 CEO △필립 소스트만PwC 독일 메타버스 파트너십 및 솔루션 리드 △이냐키 모레노 지로나 구글 클라우드 웹3 비즈니스 개발 책임자 △욘 룽 스테픈 공동창립자 등의 세션이 이어진다. 2일차에는 △세바스찬 보르제 더 샌드박스 공동창립자 및 최고운영책임자 △재키 브
글로벌 아트 비즈니스 전문기업 액트컴퍼니(이하 ‘ACCT’)가 한국 컨템포러리 아트 시장을 육성하고 이를 세계 시장에 선보이는 크로스 보더 아트 비즈니스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ACCT 송인지 대표는 지난 15일 대구에서 진행된 ‘WCIF 세계문화산업포럼’에 연사로 나서 컨템포러리 아트 시장에서 두각을 보이는 국내 신진 아티스트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이들의 성장을 위한 다양한 상업적 활동과 글로벌 사업을 적극 지원하는 크로스 보더 아트 비즈니스인 ‘ACCT’를 정식으로 시작한다고 밝혔다. ACCT는 Art, Culture, Contents, Technology의 약어로, 아티스트와 작품의 상업적 가치를 높이고 아트 산업 중심의 크리에이티브 이코노미를 재정립하기 위해 출범했다. K-ART의 전 세계적인 문화적 파급력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작품 거래 중심의 기존 미술 시장을 넘어 아티스트와 작품을 아우르는 새로운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만들어가겠다는 목표다. 이에 ACCT는 다양한 파트너사들과의 협업을 통해 △신진 아티스트 발굴 △아티스트 엑셀러레이팅 △글로벌 팬덤 강화 △문화 및 상업 가치 극대화 등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미술 산업을 연계하는 다양한 활동을 추진한다.
헥슬란트가 제공하는 블록체인 인프라 서비스 ‘옥텟’에 아비트럼(Arbitrum, ARB)을 추가로 탑재했다. 이를 통해 옥텟은 지갑 구축 영역을 레이어2까지 넓힌다고 밝혔다. 옥텟은 블록체인 서비스를 개발하는 기업에게 필수적인 개발자 도구다. 각기 다른 블록체인 노드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API 형태로 제공한다. 또한 월렛 보안에 필수적인 멀티시그(Multisig)를 모든 메인넷에 적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폴리곤 스테이킹 API 기능까지 추가 지원하여 기업 대상의 제품 사용성을 강화했다. 옥텟이 지원하는 아비트럼은 ‘옵티미스틱 롤업(Optimistic Rollup)’이라는 기술을 통해 레이어 2 확장 솔루션을 개발하는 프로젝트다.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보안을 활용하면서 트랜잭션의 일부를 오프체인으로 처리한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혼잡도를 해소한다. 헥슬란트 옥텟 담당자는 “아비트럼은 높은 확장성으로 이더리움 레이어 2 시장 점유율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며 “스마트 컨트랙트 분야 개발 수요가 대기업 주도하에 더욱 더 증가할 것이라는 판단으로 이번 추가 구축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헥슬란트는 올 하반기까지 메인넷 30개를 확보하여 기업들의 블록체인 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