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부터 순 니켈 기준 6만톤 수준의 니켈 중간재(MHP) 생산 목표…전기차 120만 대분 포스코홀딩스가 니켈 자원 강국인 인도네시아에서 이차전지용 니켈 사업을 시작한다. 포스코홀딩스는 23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중국 닝보리친社와 니켈 생산에 상호 협력하는 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경섭 포스코홀딩스 이차전지소재사업추진단장, 지앙신팡 닝보리친 총경리가 참석했다. 이번 닝보리친社와 MOA로 포스코홀딩스는 뉴칼레도니아, 호주에 이어 세계 1위 니켈 보유·생산국인 인도네시아에서도 니켈 공급망을 갖추게 됐다. 인도네시아는 전체 니켈 매장량이 2100만 톤에 달해 주요 이차전지용 니켈 허브로 각광받고 있다. 니켈은 전기차용 이차전지의 충전 용량을 늘려 자동차 주행거리 등 성능을 결정하는 핵심원료로, 전기차 시장의 성장에 따라 이차전지용 니켈의 수요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닝보리친社는 니켈 광산에서 부터, 제련, 트레이딩까지 밸류체인 전반에 대한 사업을 하는 중국 기업이다. 특히 니켈 광석을 산에 녹여 추출하는 습식제련 기술에 강점이 있어 2021년 인도네시아 최초로 이차전지용 니켈 습식제련공장을 설립해 운영 중에 있다. 이번 협약으로
[첨단 헬로티] 한전 전력연구원(원장 김숙철)이 지난 4월 1일, 2019 하노버 산업박람회에서 지멘스와 전력망 솔루션의 공동실증을 위한 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전력연구원과 독일 지멘스는 합의 각서를 기반으로 국내 전력망을 대상으로 지멘스의 전력망 안정도 평가 툴인 시가드 디에스에이의 성능을 공동 실증할 예정이다. ▲ 한전 전력연구원과 지멘스가 전력망 솔루션의 공동실증을 위한 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 <사진 : 한전 전력연구원> 전력연구원은 이번 합의각서 체결을 통해 독일 지멘스의 전력망 감시, 운영기술과 자체 보유한 실시간 해석기술을 결합한 차세대 전력망 운영시스템 개발을 할 계획이다. 전력연구원 차세대송변전연구소 김태균 소장은 “우리나라 전력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4차 산업혁명 기술인 IoT와 AI기술을 융합한 전력망 운영기술을 개발해야 한다”며 “독일 지멘스와 기술협력을 통해 전력망운영 기술의 해외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첨단 헬로티] 한국전력(사장직무대행 김시호)은 지난 13일(수) 중국 북경 조어대에서 GEIDCO 및 중국국가전망의 경영진,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한-중 전력계통 연계 사업개발 MOA’를 체결했다. 한-중 정상회담 기간 중 경제사절단의 일원으로 참가하여 추진된 이날 MOA는 한-중간 전력계통을 연계하고 에너지 자원을 공동으로 개발·활용하기 위해 운영위원회와 공동워킹그룹을 구성하고 추가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한전은 지난해 중국 국가전망, 일본 소프트뱅트, 러시아 로세티와 4사간 MOU를 체결하여 동북아 수퍼그리드 구축의 기틀을 마련한 바 있다. 이번 MOA를 계기로 빠른 시일 내에 전력계통 연계사업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에 착수할 계획이다. 한-중 전력망 연계가 성공적으로 추진된다면 동북아시아의 청정에너지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한편 산업통상자원부는 중국 국가능원국과 포괄적 에너지 협력에 대한 MOU를 체결했으며, 이로써 수퍼그리드 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