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리쓰는 MIMO 연결 시뮬레이션의 버틀러 매트릭스 모듈 라인업을 확장하기 위해 새로 개발된 버틀러 매트릭스 4x4(0.6GHz ~ 7.125GHz) MA8114A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MA8114A는 4개의 입력 포트와 4개의 출력 포트를 가진 버틀러 매트릭스(Butler Matrix) 전송 경로며, 6GHz 대역(5.925~7.125GHz)을 지원하는데 이는 LTE/5G 기지국 및 Wi-Fi 장치의 4x4 MIMO 처리량 평가에 사용되는 기존 Azimuth STACSIM-WB (Static Channel Simulator)(ACC-339)에서는 지원하지 않는다. LTE/5G 기지국 및 Wi-Fi 장치 공급업체는 OTA 테스트 환경을 사용해 제품에 대해 4x4 MIMO로 최대 처리량을 평가한다. 그러나 이 접근법은 전송 환경이 UE까지의 거리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측정 결과의 재현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재현성을 향상시키려면 RF 케이블을 사용해 두 장치를 연결해야 하지만 간단한 커플러로는 MIMO 전송 환경을 시뮬레이션할 수 없다. MA8114A는 재현성이 높은 측정을 보장한다. NRFR1의 상한 주파수는 3GPP Release 17을 시작으로 확장됐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가 채널당 최대 8.5 GHz(960 MHz의 변조 대역폭)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소형 4채널 벡터 신호 생성기(VSG)를 출시했다고 19일 밝혔다. N5186A MXG는 키사이트의 X-시리즈 신호 생성기 포트폴리오의 차세대 고성능 VSG로, 조밀한 광대역 멀티채널 분야에 필요한 복잡한 다중 신호를 제공한다. 무선 통신 및 레이더 분야는 기술이 진화하면서 MIMO, 빔포밍 및 멀티플렉스와 같은 복잡한 변조 구조를 사용해 데이터 스루풋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더 높은 주파수 범위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더 큰 대역폭에서 뛰어난 변조 품질을 유지하는 신호 발생 장비가 필요하다. 더 높은 주파수, 더 큰 대역폭, 더 복잡한 변조 구조에 대응하기 위해 네트워크 및 설계 엔지니어들은 일반적으로 추가 테스트 장비와 픽스처를 설치할 수 있는 더 많은 벤치 공간을 필요로 한다. 키사이트 N5186A MXG는 외부 연결을 줄이고, 소형 2U 폼팩터에 최대 4개의 채널을 넣어 복잡한 설정을 간소화하고, 공간 문제도 해결하고 있다. 반사계가 내장된, 세계 최초의 신호 생성기인 N5186A MXG는 테스트 대상 디바이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삼성전자가 5G 이동통신 기술을 활용한 업로드 속도에서 글로벌 업계 최고 기록을 세웠다. 삼성전자는 미국 이동통신업체 버라이즌, 무선 통신 기술 기업 퀄컴과 미국 텍사스주(州) 플라노에서실시한 5G 기술 시연에서 데이터 업로드 속도 711Mbps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 속도는 1GB 용량의 동영상을 약 10초 만에 업로드할 수 있는 수준으로, 기존 대비 약 2배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언제 어디서나 고화질 영상을 실시간 촬영해 클라우드나 SNS 등에 올리는 게 가능하며, 특히 콘서트장, 스포츠 경기장 등에서 현장의 생생한 영상을 손쉽게 공유해 다양한 콘텐츠를 빠르게 생산·확산할 수 있다는 것이 삼성전자의 설명이다. 이번 시연에는 삼성전자의 28GHz 대역 5G 기지국과 2.1GHz 대역 4G 기지국, 가상화 코어(vCore) 등이 활용됐으며, 속도는 퀄컴의 4세대 5G 밀리미터파 모뎀-RF 시스템(스냅드래곤 X65)을 탑재한 시험용 스마트폰으로 측정했다. 이처럼 빠른 업로드가 가능한 것은 삼성전자의 밀리미터파 컴팩트 매크로(Compact Macro) 장비에 2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함께 이용하는 기술(캐리어 어그리게이션)
헬로티 조상록 기자 | 라이언 딩 화웨이 캐리어비즈니스그룹 사장이 'MWC 2021(모바일 월드 콩그레스)'에서 '혁신: 미래를 밝히다' 주제의 기조연설을 발표했다. 라이언 딩 사장은 기조연설에서 "ICT 혁신이 세계경제의 성장동력이 되고 있으며, 지속적 5G 혁신은 통신사, ICT 산업과 세계 경제에 더 많은 가치를 제공하고, 모든 산업의 미래를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라이언 딩 사장의 연설 내용을 질문과 답변 형태로 정리한다. Q. 코로나19는 통신 산업계에 어떤 혁신을 가져다 주었나? A. 코로나19 팬데믹은 디지털 경제가 글로벌 경제의 원동력이 되는 뉴노멀 시대를 열었다. ICT 가치는 통신산업을 넘어 글로벌 경제 전체를 바꾸고 있다. 5G가 빠르게 개발되는 국가들에서 이통사들의 매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중국에선 18개월만에 82만개 이상의 5G 기지국이 설치됐고, 중국 이통사들의 올해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5%, 순이익은 5.6% 증가했다. 5G가 주도하는 급속한 디지털 인프라의 발전은 향후 5년 안에 중국 경제에 1조9,000억 유로의 가치를 더 창출할 것이다. 한국과 유럽에서도 같은 양상을 보이고 있다. Q. 5G는 단순히 네
[첨단 헬로티] ▲ NXP 반도체의 5G 3-Way Lineup NXP반도체는 5G 셀룰러 인프라와 산업 및 상업 시장을 위한 통합된 RF 솔루션 포트폴리오 중 하나를 10일 공개했다. NXP는 “솔루션 스위트는 MIMO(다중입출력)에서 셀룰러 및 밀리미터파(millimeter Wave) 주파수 대역을 위한 대규모 MIMO 기반 액티브 안테나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기지국의 5G RF 전력 증폭 수요를 넘어서 제공한다”고 전했다. 이어 “NXP의 무선 전력 솔루션(Radio Power Solutions)은 보다 작고 가벼운 액티브 안테나 시스템을 활성화해 대규모 MIMO 배치를 단순화한다. 또한 NXP의 RF 전력 MCM(Multi-Chip Modules, 멀티 칩 모듈)은 시장에서 높은 수준의 통합과 성능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sub-6GHz부터 40GHz까지, 밀리와트부터 킬로와트까지의 솔루션을 통해 NXP는 5G 인프라를 더욱 단순화해 파트너가 시스템을 신속하게 개발하고 5G 생태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고 덧붙였다. 폴 하트(Paul Hart) NXP 무선 전력 솔루션 수석
[첨단 헬로티] 트래픽 처리 성능과 에너지 효율 향상 위해 노키아 최신 ‘리프샤크’ 칩셋 활용 한국형 5G 기지국 장비 공동 개발 LG유플러스(부회장 권영수)가 글로벌 통신네트워크 솔루션 회사인 노키아(회장 라지브 수리)와 5G 네트워크의 성능은 향상시키면서 사이즈, 비용, 전력소비를 대폭 줄일 수 있는 ‘리프샤크(ReefShark)’ 칩셋을 활용한 한국형 5G 기지국 장비 기술을 공동 개발한다. 실리콘 디자인의 리프샤크 칩셋은 3GPP 국제표준 규격을 지원하는 5G 무선 기지국 장비인 ‘DU(Digital Unit)’의 시스템 칩셋과 ‘AAU(Active Antenna Unit)’의 RFIC 칩셋 등 노키아 ‘5G 퓨처 X 아키텍처’를 접목한 칩셋을 통합해 부르는 말이다. 리프샤크 칩셋 시스템 칩셋을 5G 기지국에 적용하면 DU에 연결되는 AAU 수를 늘리면서 DU의 크기는 그대로 유지 가능해 동일한 장비 크기에 데이터 처리 성능은 최대 10배 이상 향상된다. AAU는 기지국 주변의 스마트폰의 위치를 찾아 접속하고 기지국과 스마트폰에 주파수 신호를 중
[첨단 헬로티] 내쇼날인스트루먼트(이하 NI)가 랩뷰 커뮤니케이션 MIMO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LabVIEW Communications MIMO Application Framework)에 다중 안테나 사용 장비(UE)를 지원한다. 무선 연구자들은 MIMO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와 NI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 하드웨어를 페어링해 다중 사용자 MIMO, 단일 사용자 MIMO, Massive MIMO 등 MIMO 연구 주제를 광범위하게 다루는 리얼타임 OTA 실험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멀티 FPGA 물리계층 레퍼런스 설계는 전체적으로 재구성 및 수정이 가능하고 효용성이 충분히 입증된 랩뷰 커뮤니케이션 소스 코드와 함께 제공하며, 시스템 통합이나 설계 작업을 최소화하면서 다중 안테나 디바이스로 구성된 완벽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NI가 랩뷰 커뮤니케이션 MIMO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에 지원하는 다중 안테나 장비 이제 연구자들은 기지국뿐만 아니라 UE에서도 빔포밍 기법을 도입해, 전체 네트워크 처리량을 더욱 향상시키고 셀 커버리지를 확장하면서 간섭을 줄일 수 있다. MIMO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는 1.5 Gb/s 이상의 최대
▲ 지난달 29일 LG전자 서초 R&D 캠퍼스에서 LG전자 연구원과 연세대학교 연구원이 80MHz 대역폭의 광대역 다중안테나(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반 FDR 통신기술을 시연하고 있다. [헬로티] LG전자가 지난달 29일 세계 최초로 80MHz 대역폭의 광대역 다중안테나(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반 ‘FDR’ 통신기술을 연세대학교(민병욱 교수)와 공동 개발, 시연함으로써 5G 핵심기술을 선점했다. ‘FDR’ 통신기술은 기존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주파수 분할 방식)’, ‘TDD(Time Division Duplex, 시분할 방식)’ 대비 주파수 효율을 최대 2배까지 늘릴 수 있다. 2014년부터 ‘FDR’ 기술개발을 추진한 LG전자는 지난해 10월 LTE 주파수 대역폭인 ‘20MHz’에서 동작하는 ‘FDR’ 기술 시연에 성공한 바 있다. 올해는 5G 표준에서 핵심적으로 요구하는 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