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패가 2024 KeSPA CUP에서 e스포츠 전용 디지털 신원인증 및 운영 시스템 ‘PlayID’를 선보였다.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정식 종목으로 e스포츠가 채택된 이후 대리 출전과 연령 위조 등의 부정행위를 차단하고 선수 경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디지털 신원인증 시스템 구축이 과제로 떠올랐다. PlayID는 협회가 공식 인증하는 최초의 e스포츠 전용 디지털 신원인증 및 운영 서비스다. 이번 KeSPA CUP에서는 국내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팀 선수를 비롯해 베트남과 대만 국가대표 올스타 선수들까지 PlayID를 성공적으로 사용했다. 대회에 참여한 협회 등록 공인 심판에게도 전용 디지털 ID를 발급해 참가 신청, 현장 출전 확인, 경기 기록까지 모든 과정을 디지털로 전환했다. 호패는 협회와 함께 PlayID를 고도화해 선수가 스마트폰으로 경기 이력과 성과를 실시간 확인하고 공유하도록 할 계획이다. 더불어 국제 대회 출전이나 이적에도 공식 인증 자료로 활용하도록 시스템을 발전시킬 예정이다. 김영만 한국 e스포츠 협회장은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선수와 e스포츠 리그 운영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며 “Play ID 도입으로 우리나라가 선수
호패가 KeSPA와 한국 e스포츠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및 분산신원기술 기반 e스포츠 생태계 구축을 위해 업무협약을 맺었다.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e스포츠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고 2025년부터 IOC 주도로 e스포츠 올림픽이 개최되는 등 글로벌 스포츠로 도약하는 흐름에 맞추어 이뤄졌다. e스포츠 대회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대리 출전, 연령 위조 등 부정행위를 원천 차단하고 선수 경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디지털 신원인증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이에 KeSPA는 국제 수준의 선수 관리 체계 구축을 위해 호패 DID 기술 도입을 결정했다. KeSPA는 e스포츠 종주국 한국을 대표하는 기관이자 대한체육회 준회원 단체로, KeSPA CUP, LCK 챌린저스 리그, 한중일 e스포츠 대회 등을 운영하며 선수 등록, 심판 운영, 지도자 자격 관리 등을 담당하고 있다. 호패는 디지털 신원인증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타트업으로, 지난 10월 60억 원 규모 시드 투자를 유치한데 이어 11일 신용보증기금 프리아이콘 기업으로 선정된 바 있다. 호패는 자체 특허 기술 ‘디지털 크레덴셜 익스프레스’를 바탕으로 디지털 신분증 및 인증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e스포츠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