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랩이 환경경영시스템 국제표준인 ISO 14001 인증 2차 사후 심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안랩은 2022년 한국경영인증원(KMR)으로부터 ISO 14001 인증 최초 획득 후, 작년 6월에 이어 올해 7월에 인증 유효성을 점검하는 사후 심사(KMR 진행)를 통과해 인증을 유지했다. 2차 사후 심사에서 안랩은 ‘환경경영검토로 대표이사의 지속적인 환경경영시스템 개선 지시’, ‘환경부하가 적은 업임에도 임직원의 환경 인식을 향상시키는 환경경영 활동 전개’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안랩은 연 1회 환경경영시스템 전반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보고하는 환경경영검토를 진행하고, 다양한 영역에서 환경보호를 실천하고 있다. 더불어 ‘Every Little Detail(환경을 위해 모든 세세한 부분까지 관리)’라는 지속가능경영 캐치프레이즈 하에 ▲사내 카페 다회용 컵 도입 ▲일회용 비닐을 대체하는 우산 빗물 제거기 도입 ▲도서 및 물품 기부 캠페인 진행 ▲한국IT복지진흥원 연계로 IT 자산 재순환 ▲의류 자원 재순환 캠페인 ‘가치입을랩’ 개최 ▲환경·사회적 가치를 고려한 신규 기념품 제작을 위한 임직원 의견조사 ▲지역사회와 연계한 친환경 사회공헌 활동 및 생물다양성 보전
SK쉴더스는 서스틴베스트가 발표하는 '2023년 하반기 ESG 종합평가'에서 전체등급 AA를 획득했다고 19일 밝혔다. ESG 전문 평가 및 분석기관인 서스틴베스트는 매년 국내 기업의 ESG 관리 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총 7단계(AA/A/BB/B/C/D/E)로 등급을 발표하고 있다. 이번 하반기에는 상장기업 1065개와 비상장기업 205개 등 총 1270개 기업에 대해 종합평가를 진행했다. SK쉴더스는 종합평가에서 환경, 사회, 거버넌스 등 ESG 부문 전반의 우수한 평가를 받으며 전체등급의 최고등급인 AA를 획득했다. 이는 SK쉴더스가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해 업계 선도적으로 지속가능경영을 꾸준히 실천하고 전 사업 영역에서 ESG 가치를 내재화한 성과를 인정받은 것이다. 먼저 환경 부문에서는 탄소중립 추진을 위한 다양한 혁신활동 및 성과가 주목받았다. SK쉴더스는 지난해 '넷 제로 2040'을 선언하며 구체적인 실행을 이어가고 있다. 대기환경 개선에 기여하기 위해 업무용 출동차량을 전기차로 전환 중이며, 재생에너지 사용도 지속 확대하고 있다. 또한 폐기 제품으로부터 재생 원료를 회수하는 리사이클링 정책 확대로 순환경제를 적극 실천했고, 환경경영체계 운영
협동로봇 제조기업 뉴로메카가 국제표준화기구(ISO)로부터 △ISO 9001(품질경영시스템), △ISO 14001(환경경영시스템), △ISO 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 총 3개의 인증을 취득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에 갱신 취득한 ISO 9001 인증은 모든 산업 분야 및 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품질경영시스템의 요구사항을 규정한 국제표준이다. ISO 14001은 모든 산업 분야 및 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환경경영시스템의 요구사항을 규정한 국제표준이다. ISO 45001 인증은 사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을 사전 예측 및 예방하여 궁극적으로 기업의 이윤 창출에 기여하고 조직의 안전보건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요구사항을 규정한 국제표준이다. 이번에 취득한 모든 인증은 미국 인증기관인 IAS에 등록된 인증업체에서 인증되어 향후 미국 사업에 있어 뉴로메카의 신뢰도를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뉴로메카 관계자는 “ISO 14001 인증과 ISO 45001 인증은 국내 로봇 제조사 중 최초의 취득”이라며 “환경과 근로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뉴로메카의 의지를 엿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뉴로메카는 이달 미국 위생협회(NSF)로부터 특수 목적용 식품
건설장비 부품 전문 제조업체 원강은 최근 ‘ISO 45001’과 ‘ISO 14001’ 인증을 획득하여 제품 생산과 관리의 품질과 안전성을 높였다고 밝혔다. ISO 45001은 건강과 안전 관리를, ISO 14001은 환경 관리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국제 표준으로, 이번 인증을 획득함으로써 원강은 작업 환경에서의 위험을 줄이는 한편 환경에 대한 책임감을 높이고 친환경적인 생산과 제조 방식을 채택하여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고 있다. 원강의 강태영 대표는 “ISO 45001과 ISO 14001 인증 획득은 우리 지속적인 노력의 결과”라며 “근로자와 환경을 최우선으로 여기며 더 나은 미래를 위한 개선을 약속드린다”고 말했다. 이번 인증을 통해 원강은 안전한 제품을 고객에게 제공하여 신뢰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원강은 품질 향상과 안전 관리에 대한 노력을 계속하며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경영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자매회사 원강초경은 부산 중소기업 중에서도 수출 성장을 이루어낼 주요 기업으로 기대되며, 원강과 원강초경은 지하연속벽 작업용 장비와 부품 전문 기업으로, 제품의 성능은 전 세계 450개 이상의 현장에서 검증됐다. 원강의 제품 브랜드는 Roadbit,
포티넷 코리아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유니온시티에 위치한 세계 최대 규모의 자체 물류창고(웨어하우스)에 대해 환경경영시스템 국제표준인 'ISO 14001' 인증을 획득했다고 24일 밝혔다. 웨어하우스는 엄격한 환경 경영 원칙에 따라 운영돼 국제 표준 인증을 획득한 포티넷 최초의 사업장이다. 이번 인증으로 포티넷은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발자국을 줄이기 위해 인증된 환경경영시스템(EMS)을 구축하고 있다는 점을 인정받게 됐다. ISO 14001은 환경경영시스템(EMS)의 기준을 제시하는 국제 표준으로 조직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기후 위험성을 측정, 개선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며 이를 완화하고 컴플라이언스(규제 준수) 의무를 이행할 수 있도록 체계화된 방법을 구현한다. 포티넷은 ISO 14001 인증의 일환으로 ▲전자폐기물(e-waste) 감축 ▲포장재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제거 ▲사전 예방적 에너지 효율성 조치 실행 등 다양한 환경 목표를 달성해 기업 운영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포티넷의 지속가능성 부문 글로벌 총괄인 바바라 메그레 선임 부사장은 "환경 경영(Environmental management)은 2030년까지 포티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환경경영시스템 구축 및 운영 체계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한국경영인증원(KMR)으로부터 ISO 14001(환경경영시스템) 인증을 취득했다고 28일 밝혔다. ISO 14001는 국제표준화기구(ISO)가 부여하는 환경경영체제에 관한 국제표준이다. 기업이 환경 측면을 체계적으로 평가·개선함으로써 환경위험성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지 종합적으로 평가해 인증하고 있다. 캠코의 환경경영방침은 ▲탄소중립 실현 노력 ▲이해관계자와 협력을 통한 친환경 생태계 조성 ▲지속가능한 환경경영체계를 마련하는 것이다. 캠코는 이를 실현하기 위해 환경영향평가, 환경목표 관리, 경영검토 등의 체계적인 환경경영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특히 친환경 건축, 유휴 국유지를 활용한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과 탄소중립 숲 조성, 다회용컵 순환시스템 사업 참여 등 친환경 경영을 위한 꾸준한 노력도 함께 인정받아 ISO 14001 인증을 취득하게 됐다. 권남주 캠코 사장은 "환경경영시스템 구축과 친환경 경영 실천 노력을 인정받아 ISO 14001 국제인증을 취득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캠코는 정부정책에 발맞춰 적극적인 탄소중립 이행 노력을 통해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
삼성바이오에피스는 국제표준기구(ISO)의 환경 경영(ISO 14001)과 에너지 경영(ISO 50001) 관련 인증을 획득했다고 14일 밝혔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가치 중심의 지속가능경영 체계 수립 일환으로 ISO 인증 획득을 추진, 대외 인증 규격 중 환경 경영 및 에너지 경영 관련 인증을 획득했다. ISO 14001 인증은 기업이 환경 경영시스템을 통해 환경 측면을 체계적으로 식별, 평가, 관리 및 개선함으로써 환경 위험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한다. ISO 50001은 기업이 에너지 경영 시스템을 통해 에너지 효율 향상 활동을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경영전략으로 구축해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국제 인증 규격이다. 고한승 삼성바이오에피스 사장은 "ISO 인증 획득을 통해 글로벌 수준의 환경 및 에너지 경영 시스템을 확립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경쟁력 있는 사업 성과와 더불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으로서 지속가능경영 체계를 강화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