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디지털 신분증 시대에 대응해 디지털 신원지갑 기술의 국제표준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글로벌 상호운용성 확보와 함께 국내 기술 기반의 국제시장 진출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전략이다. 디지털 신원지갑은 스마트폰에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신용카드 등 다양한 신원 정보를 안전하게 저장·활용할 수 있는 인증 기술로, 2021년 국내에서 모바일 공무원증으로 첫 도입된 이후 점차 확대되고 있다. ETRI는 사용자 중심 ID 관리 기술, 멀티팩터 인증 기술 등 디지털 신원지갑 핵심 기반 기술을 이미 확보하고 있으며 관련 특허(IPR)도 다수 보유 중이다. ETRI가 개발한 사용자 중심 ID 기술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원 정보를 직접 선택·통제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해당 기술은 분산식별자(DID)를 적용해 개인정보보호와 신뢰성을 높였다. 멀티팩터 인증 기술은 생체 정보, PIN, 보안칩 등을 결합한 방식으로 FIDO2 프로토콜 기반으로 국제 보안 기준을 충족하고 있다. 이번 국제표준화 추진에는 금융보안원과 호패가 공동으로 참여한다. ETRI는 금융보안원과 협력해 국내 보안 요구사항을 반영한 신원 인증 기술을 실증하고 있으며 글로벌 오픈소스 플랫폼
[첨단 헬로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지문, 얼굴, 음성 등 사람의 생체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사용하는 인증 서버기술을 추가적으로 개발에 성공해, 일반에 보급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ETRI가 개발한 인증 서버기술은 지난 8월 20일, 미국 산호세에서 파이도(FIDO) 협회가 주최한 국제 상호연동 시험을 통과했고, 국내 기업들에 기술이전을 추진 중에 있다. FIDO는‘온라인 간편 인증협회’를 뜻하고 연구진은 지난 2015년 관련기술을 1차적으로 개발, 국내 금융업계 등 35개 업체에 기술이전 한바 있다. 현재 상용화 되어 각종 금융거래에 활발하게 사용 중이다. 연구진이 이번 상호운용 시험에 성공한 내용은 FIDO 2차 버전이다. 일명 FIDO2 기술이다. FIDO협회가 온라인 인증 기술을 플랫폼화 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들을 제시했는데 이를 만족하는데 성공했다는 의미다. FIDO 인증기술은 그동안 ID나 패스워드 대신 지문, 얼굴, 목소리 등 사람의 다양한 생체 정보를 이용, 쉽고 안전하게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는 기술로 스마트폰이나 금융거래에 접목되는 정도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FIDO2 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