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줄 요약] AI 기술로 제작된 영화와 방송 사례 중심으로 제작 방식 변화 조명 국내외 창작자·기술자·정책 담당자들이 모여 창작과 산업의 공존 전략 논의 생성형 AI 시대, 창작자의 메시지와 역량이 콘텐츠 경쟁력의 핵심으로 부각 생성형 AI 기술은 콘텐츠와 영상 산업 전반을 빠르게 재편하고 있다. 저비용 고효율의 제작 방식, 비주얼 상상력의 확장, 크리에이터 중심의 기술 민주화는 새로운 창작 가능성을 열어주지만, 동시에 기계화된 감정 표현의 한계, 저작권 문제, 기존 제작자 생태계와의 충돌이라는 숙제를 남긴다. 이러한 흐름은 영화 산업에서도 다양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제작 방식은 물론, 서사 구조와 캐릭터 설정, 장르 기획까지 AI가 관여하기 시작하면서 ‘어떻게 만들 것인가’와 더불어 ‘누가 왜 만들 것인가’라는 본질적 질문이 다시금 부상하고 있다. BIFAN+ AI 국제 콘퍼런스는 이러한 시대의 흐름을 조망하고 기술을 넘어선 창작의 방향성을 함께 고민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AI와 콘텐츠의 융합을 주제로 한 ‘BIFAN+ AI 국제 콘퍼런스’는 지난 6일부터 8일까지 3일간 부천아트센터에서 열렸으며, 올해 주제는 ‘AI STEP2: EXPAND’로 AI
엑스엘에이트의 실시간 통역 솔루션 '이벤트캣(EventCAT)'이 제29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BIFAN)의 산업 프로그램 'BIFAN+'에 도입된다. 지난 3일부터 오는 13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영화제에서 이벤트캣은 개막 프로그램을 포함해 패널 토론, AI 국제 콘퍼런스 등 주요 세션에 실시간 자막과 음성 통역 기능을 지원한다. 참가자들은 현장에서 제공되는 QR코드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자막 페이지에 접속하고 대형 화면과 개인 디바이스를 통해 다국어 번역 자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어폰을 통해 번역된 음성을 청취할 수 있어, 다양한 국가의 관객들이 언어 장벽 없이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된다. 이벤트캣은 한국어와 영어를 포함한 다수의 언어를 지원하며 발표 자료를 사전 분석해 통역 품질의 정확성과 맥락 이해도를 높였다. 이벤트캣은 AI 기반의 실시간 통역 기술로 콘텐츠 산업 중심의 글로벌 현장에서 활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이번 영화제를 통해 기술과 예술의 융합이라는 BIFAN의 방향성과 함께 실시간 다국어 커뮤니케이션의 가능성을 실증하게 됐다. 앞서 이벤트캣은 ‘넥스트라이즈 2025’, ‘스마트테크코리아 2025’, ‘월드IT쇼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