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는 ‘스마트물류’를 주제로 AI 자율제조혁신 포럼 3일차 컨퍼런스가 진행됐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글로벌 스마트물류의 대표주자인 오토스토어를 비롯해 스타트업에서부터 글로벌 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업들이 연사로 참여해 스마트물류, 물류자동화와 관련한 각각의 전략을 발표해 주목받았다. 오토스토어, 공간 효율성·확장성 모두 잡은 혁신 기술 소개 오토스토어 코리아는 이번 세미나에서 자사의 자동 창고 솔루션이 기존 물류창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임을 강조했다. 이날 발표에 나선 이성현 오토스토어 사업개발부서장은 "오토스토어의 강점은 기존 창고 대비 3~4배 높은 공간 효율성과 확장성"이라며 "이는 제조업과 물류업계에서 필수적인 요소"라고 밝혔다. 오토스토어의 큐브형 스토리지는 기존 창고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복도 및 선반 사이의 빈 공간을 최소화해 동일한 물량을 더 적은 공간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부동산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창고 확장 없이도 처리 용량을 최대 4배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실제로 전라남도 광주에 위치한 한 고객사는 기존 3개의 창고를 오토스토어 시스템으로 통합해 운영 효율을 극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이달 27일부터 사흘간 코엑스서 펼쳐져 ‘2000부스 규모’ 450개 업체 참가...‘역대 최다’ 참관객 7만 명 모집해 자동화의 미래상 제시 부품부터 기기, 소프트웨어, MES, ERP, 로봇, 토털 솔루션까지 ‘총망라’ 제조 산업 내 변화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인력난, 공급망 이슈, 넷제로(Net-Zero), 에너지 비용·인건비·물가 상승, 회복 탄력성 가치 증대 등 전 세계적으로 불어닥친 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제조 영역의 변혁기가 도래했다. 제조 업계는 이 변화의 기반으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DX)을 주목한다. 공장 및 플랜트 구축부터 운영, 유지관리까지 아날로그 방식으로 진행됐던 기존의 제조 인프라 영역이 이제는 디지털화로 변화하고 있다는 뜻이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차세대 기술이 기존의 제조 요소와 융합되는 중이다. 시장조사기관 IDC는 “기업이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역량이 필요하다”면서 “디지털 전환은 고객 및 시장의 파괴적인 변화에 적응하거나 이를 추진하는 지속적인 프로세스”라고 디지털 전환의 중요성을 정의하기도 했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이 가속화되면서 제조업 전 과정에서 인간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개념인 ‘자율제조’가 주목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AI 기술 기반의 자율제조가 제조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뿐 아니라 고령화, 공급망 위기, 환경 문제 등 현대 산업이 당면한 다양한 도전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이 배경에서 자율제조의 청사진을 제시하는 'AI 자율제조혁신 포럼'이 오는 3월 27일부터 29일까지 사흘간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이번 포럼은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이하 AW 2024)의 부대행사로, 전시회 기간 동안 동시에 진행된다. AI 자율제조혁신 포럼 속 28일 진행되는 '디지털 퀄리티' 컨퍼런스는 자율제조 혁신의 필수인 머신비전, 센서, 예지보전, 3D프린팅 기술을 조망한다. 이번 디지털 퀄리티 컨퍼런스에서는 셰플러코리아의 '보전 업무 효율을 높이는 IoT 기술' 발표를 시작으로 지브라 테크놀로지스 코리아의 '생산성 개선을 위한 지브라의 AI 기반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및 개선 방향', 링크플로우의 '웨어러블 ICT 디바이스가 바꾸고 있는 글로벌 산업 현황'가 진행된다. 오후 세션에서는 코그넥스 코리아의 'AI 기반 품질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