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즈에이아이가 포브스코리아 선정 ‘2025 대한민국 AI 50대 기업’에 선정됐다고 2일 밝혔다. 포브스코리아는 AI 기술의 상용화와 실질적 시장가치를 중심으로 국내에서 실제 성과를 창출하는 AI 기업 50곳을 선정했다. 이번 선정은 와이즈에이아이의 기술력뿐 아니라 시장에서 창출하는 가치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다. 와이즈에이아이의 AI 기반 의료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덴트온’과 ‘에이유’는 현재 전국 300개 이상 병·의원에 도입되어 운영 중이다. AI가 EMR(전자의무기록)을 분석해 정기검진 대상자를 자동 발굴하고 아웃바운드 콜을 통해 예약까지 완료하는 것이 특징으로, 병원 수익 구조를 개선하고 수익을 자동화한다. 2020년 설립된 와이즈에이아이는 지난해 매출 147억 원을 달성하며 전년 대비 84% 성장했다. 치과 전용 ‘덴트온’, 멀티과목 ‘에이유’, AI 고객센터 ‘쌤(SSAM)’ 등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며, 시리즈A·B 투자를 통해 총 149억 원을 유치했다. 현재 27건의 특허와 6건의 상표권을 보유하고 있다. 송형석 와이즈에이아이 대표는 “포브스코리아 AI 50 선정은 우리 AI 기술의 실질적 가치 창출이 시장에서 인정받았다는 의미”라며 “
네이버는 쏘카와 초거대 인공지능(AI)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하는 모빌리티 서비스 혁신을 위해 손을 잡았다고 25일 밝혔다. 네이버는 전날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제2사옥 1784에서 최수연 대표이사와 쏘카의 박재욱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모빌리티 서비스 혁신을 위한 상호 협력을 골자로 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두 회사는 내달 24일 네이버가 공개할 예정인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협력을 수행할 계획이다. 쏘카는 자체 데이터를 하이퍼클로바X에 결합해 AI 고객 응대 시스템 구축, 추천·예약 기능 고도화 등 모빌리티 서비스 향상에 나선다. 네이버는 AI·클라우드 기술로 쏘카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IT 인프라 구축을 지원한다. 또 네이버클라우드 AI 고객센터 설루션을 활용해 쏘카의 고객센터 운영 경쟁력을 강화하는 협력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아울러 네이버는 쏘카의 모빌리티 서비스 연동을 통해 네이버 지도, 네이버 여행 등의 서비스 사용성을 향상한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네이버 지도에서 KTX 승차권을 예매하면 출발지나 목적지 주변에서 이용할 쏘카 공유차(카셰어링) 서비스도 바로 예약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연계
카카오 i 커넥트 센터, 음성인식·음성합성·자연어 이해 등 AI 핵심 기술과 고객센터 결합해 고객경험 향상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AI 고객센터 '카카오 i 커넥트 센터'를 필두로 금융권 디지털 혁신을 지원한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교보생명에 카카오 i 커넥트 센터의 서비스를 제공해 신속한 보험 가입 처리 및 금융 소비자 보호를 위한 AICC(인공지능 컨택센터)를 구현했다고 14일 밝혔다. 카카오 i 커넥트 센터는 STT(음성인식), TTS(음성합성), NLU(자연어 이해) 등 AI 핵심 기술과 고객센터 노하우를 결합해 고객센터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키고 365일 24시간 고객 지원을 통해 편의성을 증진시킨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교보생명에 구축한 AI 음성봇은 실제 사람과 대화하는 것처럼 자연스러운 대화 경험을 제공하며 다양한 고객의 답변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췄다. AI 음성봇은 ▲대면채널 판매 상품 완전판매모니터링(해피콜) ▲마케팅 활용 재동의 ▲다이렉트 고객 대상 청약 표준 스크립트 낭독 ▲다이렉트 고객 대상 상품 소개 동의 ▲2/3개월 연체 안내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특히 다이렉트 고객 대상 청약 표준 스크립트 낭독은 상담사가 고객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