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은 인간을 대체하는 기계가 아니라, 인간의 한계를 보완하는 ‘동반자’여야 한다. 데니스 홍 미국 UCLA 기계항공공학과 교수는 ‘Unable·Unwilling·Unsafe’라는 세 가지 철학으로 로봇의 존재 이유를 재정의했다. 그는 인간이 할 수 없거나, 하기 싫거나, 해서는 안 되는 일을 수행함으로써 로봇이 진정한 가치를 갖는다고 강조했다. 그의 연구팀 로멜라(ROMeLA)는 화재 진압 로봇 ‘사피르(SAFFiR)’, 자율보행 로봇 ‘아르테미스(ARTEMIS)’, 시각장애인 운전 로봇 ‘데이비드(DAVID)’ 등 56종 이상의 프로젝트를 통해 이를 실증하고 있다. 홍 교수는 기술의 진보가 ‘폐쇄성’이 아니라 ‘개방성’에서 나온다고 말하며, 로봇 르네상스는 창의적 상상력과 국제 협력이 융합될 때 실현된다고 제언했다. 멈춰선 로봇 혁명...글로벌 인재 대란과 기술적 과제를 극복하라 현재 글로벌 로봇 공학은 휴머노이드 로봇 시대를 열며 폭발적인 기술 발전을 이루고 있다. 이 와중에 성장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근본적인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술적 일반화 능력의 결핍을 첫 번째 문제로 보고 있다. 로봇의 하드웨어가 아무리 정교하더라도, 예측 불가능
로보월드 2025서 인간과 교감하는 로봇 서비스 경험 선봬 ChatGPT API 결합한 자연어 대화로 현장 서비스 실증 서비스로봇 전문기업 클로봇이 11월 5일부터 8일까지 킨텍스에서 열린 ‘2025 로보월드(ROBOTWORLD 2025)’에서 ‘AI 휴머노이드 로봇의 사회적 지능(Social Intelligence)’을 주제로 한 실증 시연을 선보였다. 이번 전시는 단순한 기술 데모를 넘어, 로봇이 인간의 감정과 사회적 맥락을 이해하고 소통하는 새로운 서비스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클로봇은 이번 시연을 통해 로봇이 단순한 작업 수행 도구에서 벗어나, 사람과 감정적으로 교감하고 관계를 형성하는 ‘사회적 존재(Social Being)’로의 진화 방향을 제시했다. 전시의 핵심 콘셉트인 “Touch me, Talk to me, Work with me”는 로봇이 인간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감정을 읽고 대화하며, 실제 업무를 함께 수행하는 새로운 경험을 담았다. 이번 시연에는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 유니트리(Unitree)의 휴머노이드 G1이 활용됐다. 클로봇은 이 로봇에 AI·자율주행·비전 인식 기술을 통합해 인간의 표정과 감정을 인식하고 반응하도록 설계했다. 특
국내 물류업계가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이 결합된 차세대 혁신의 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CJ대한통운(대표 박근희)이 업계 최초로 AI 휴머노이드 로봇 현장 실증에 돌입하며 물류 자동화 패러다임 전환에 시동을 걸었다. CJ대한통운은 로봇 전문기업 로보티즈(대표 김병수)와 협력해 휴머노이드 로봇의 상용화를 위한 피지컬 AI(Physical AI) 공동 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피지컬 AI는 AI가 디지털 환경을 넘어 현실 세계를 물리적으로 이해·인식하고 행동하는 지능을 의미한다. 협약식은 24일 서울 종로구 CJ대한통운 본사에서 진행됐으며 CJ대한통운 TES물류기술연구소 김정희 소장과 로보티즈 김병수 대표가 참석해 기술 협력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CJ대한통운은 지난 9월 중순부터 군포 풀필먼트센터에 로보티즈 휴머노이드 로봇을 배치해 현장 실증을 시작했다. 단순 연구개발 차원을 넘어 상용화 가능성을 직접 검증하는 단계로 우선 상품 포장 라인의 완충재 보충 작업에 투입해 운영 효율성과 안전성을 점검 중이다. 이는 단순 반복 업무를 휴머노이드가 대체해 작업자의 부담을 줄이고 데이터 기반 운영 최적화를 가능하게 하는 사례로 꼽힌다. 이번 협력에서 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