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키나락스가 9월 4일인 오늘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ATTENTION 2025’를 열고 산업 AI의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이번 행사는 ‘생각하고, 행동하며, 산업을 바꾸는 AI’를 주제로, 에이전틱 AI가 어떻게 초생산성 시대를 이끌 수 있는지에 대한 로드맵과 실제 적용 사례를 공유했다. 올해로 2회째를 맞은 이번 컨퍼런스는 LG, 퓨리오사AI, 업스테이지, 리얼월드, 한국수자원공사, 두산에너빌리티, 현대오토에버, 육군사관학교, 엔비디아 등 주요 기업과 기관 관계자들이 대거 참여해 산업별 AI 활용 가능성을 논의했다. 행사장은 1200여 명이 사전 신청해 조기 마감될 만큼 뜨거운 관심을 끌었다. 윤성호 대표는 기조연설에서 ‘100X 혁신 : 산업 AI가 여는 초생산성의 시대’를 주제로, “GPT와 같은 범용 AI는 대화나 텍스트 생성에는 강점이 있지만 센서 데이터 해석, 도면 판독 등 정밀도가 필요한 산업 업무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제조, 국방, 중공업 분야는 AI를 통해 100배 수준의 생산성 향상 잠재력을 가진 만큼, 이제는 대기업뿐 아니라 중소·중견기업도 수백, 수천 개의 AI 에이전트를 직접 구축하는 역량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AI 생산성 혁신 그룹, 경영혁신센터 산하에 설치...그룹장은 상무급 AI 전담 임원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한 업무 생산성 혁신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디바이스경험(DX) 부문을 중심으로 조직 개편을 단행하고, 전사 차원의 AI 도입 및 실행을 주도할 ‘AI 생산성 혁신 그룹’을 신설했다. 이번 개편은 단순한 내부 프로세스 개선을 넘어, AI 기술을 기업 운영 전반에 깊이 녹여내겠다는 삼성전자의 전략적 전환을 의미한다. 삼성은 이를 통해 ‘AI 드리븐 컴퍼니(AI Driven Company)’로의 전환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신설된 ‘AI 생산성 혁신 그룹’은 경영혁신센터 산하에 설치되며, 그룹장은 상무급 AI 전담 임원이 맡을 예정이다. 해당 조직은 전사 AI 인프라 구축, 실행 지원, 우수 사례 발굴 및 확산 등 삼성 내 AI 생산성 혁신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담당한다. 각 사업부에는 ‘AI 생산성 혁신 사무국’이 새롭게 설립된다. 사무국은 각 부문별 업무 특성에 맞춰 맞춤형 AI 과제를 기획하고 실행하며, AI를 활용한 문제 해결과 성과 창출을 주도한다. 이와 함께 삼성전자는 실무 중심의 AI 실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