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가속 기능을 내장해 기존 대비 AI RAN 성능을 최대 3.2배 향상 인공지능(AI)과 5G 기술이 통신 산업을 빠르게 변화시키는 가운데, 인텔이 'MWC 2025(모바일월드콩그레스 2025)'에서 AI 기반의 네트워크 혁신 솔루션을 공개했다. 이번 행사에서 인텔은 50곳 이상의 파트너 및 고객사와 함께 고성능·고효율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을 위한 다양한 기술을 선보였다. 특히, AI를 내장한 솔루션을 통해 별도의 고가 하드웨어 없이 최적화한 총소유비용(TCO)을 구현하도록 지원하며, 통신 사업자가 직면한 인프라 현대화, 보안, 레거시 시스템 통합 등의 문제 해결을 돕는다. 사친 카티 인텔 네트워크 및 엣지 그룹(NEG) 총괄은 “클라우드 기술과 파트너 협력을 바탕으로 5G 코어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의 가상화를 지원하고 있다”며, “인텔 제온 6 프로세서를 통해 AI 기반 네트워크의 미래를 실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에 발표된 인텔 제온 6 시스템온칩(SoC)은 AI 가속 기능을 내장해 기존 대비 AI RAN 성능을 최대 3.2배 향상시켰으며, 8개의 이더넷 포트와 200Gbps의 총 처리량을 지원해 네트워크 연결성과 성능을 극대화했다.
원격 발급 서비스 통해 프로비저닝 및 유지관리 간소화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5G 네트워크 액세스, M2M(Machine-to-Machine) 보안, 유연한 원격 프로비저닝 및 관리를 위해 최신 표준을 충족한 M2M 통신용 ST4SIM-201 eSIM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ETSI/3GPP 릴리스 16을 지원하는 ST4SIM-201은 5G SA(Standalone) 네트워크와 연결할 수 있다. 이외에도 3G 및 4G 네트워크는 물론, LTE-M(Long-Term Evolution for Machines) 및 NB-IoT(Narrowband Internet of Things)와 같은 LPWA(Low-Power Wide-Area) 기술과도 연결이 가능하다. ST4SIM-201은 최신 GSMA eUICC M2M 사양인 SGP.02 버전 4.2에 따라 인증을 받았으며, 원격 발급 서비스를 통해 프로비저닝 및 유지관리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이는 SGP.05 eUICC 프로텍션 프로파일 버전 1.1을 사용해 GSMA eUICC 보안인증을 획득한 세계 최초의 디바이스다. 사용자는 디바이스에 물리적으로 액세스하지 않고도 원하는 통신사를 원격으로 변경해 선택할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노키아와 SK텔레콤이 세계 최초로 5G 64TRX 무선 기반의 클라우드 vRAN의 개념검증(PoC) 및 데모 시연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양사는 2022년 vRAN 필드 테스트에 착수할 방침이다. 이번 시연은 무선 네트워크 아키텍처 분야에서 노키아의 기술 리더십을 강조했다. 또한, NADCM 등 노키아의 종합적인 인프라 솔루션을 비롯한 노키아의 설계를 토대로, 베이스밴드를 가상화하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분리해 각각 독립 운영하는 과정이 포함됐다. 특히 인프라를 클라우드화된 가상 분산유닛(vDU)과 가상 중앙장치(vCU) 2개의 개별 기능으로 분할해 네트워크 유연성과 성능을 테스트하는 작업이 동시에 이뤄졌다. 양사는 이번 시연에서 5G 클라우드 RAN을 통한 고성능, 대용량 컴퓨팅 요구사항에 대한 민첩한 대응, 그리고 신속한 신규 서비스 출시 가능성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박종관 SK 텔레콤 인프라 기술담당은 "노키아가 제공한 5G 클라우드 RAN 기술 검증을 통해 5G 무선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진화를 주도하는 SK텔레콤의 기술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탄력적이고 유연한 5G 네트워크 인프라와 효율성을 극대화시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