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흘간 약 51만여명 방문객 참여...전 세계 12개국 163개 기업 및 기관 참가 국내 최대 규모 모빌리티 산업전시회인 '2023 서울모빌리티쇼'가 지난 9일 오후 6시 막을 내렸다. 서울모빌리티쇼 조직위원회는 지난달 31일부터 이날까지 열흘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행사에 51만여명(잠정치)이 방문했다고 밝혔다. 2021년 행사(25만여명) 때보다 2배가량 늘어는 수치다. 서울모빌리티쇼에는 전 세계 12개국 163개 기업과 기관이 참가했다. 현대차, 기아, 메르세데스-벤츠, BMW, KG모빌리티, 테슬라, 포르쉐 등 12개 완성차 브랜드가 참여해 약 90여종의 차량을 전시했다. 로보틱스와 UAM(도심항공교통) 등 미래 모빌리티를 선보이는 뉴모빌리티 분야에서는 고스트로보틱스테크놀로지, SK텔레콤 등 9개사가 참가했다. 모빌리티 산업 혁신기업과 기술을 선정하는 서울모빌리티어워드에서는 에스오에스랩의 '고정형 3차원 라이다'가 대상을 받았다. 최우수상에는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위밋모빌리티, 베스텔라랩이 이름을 올렸다. 우수상은 이스온, 비스포크엔지니어링, SK렌터카-HL만도, 테이슨, 차봇모빌리티, 에티포스가 수여했다. 여기에 모비에이션과 클로버스튜디오가
산업통상자원부 지원 ‘자율셔틀 인포테인먼트 기술개발 및 서비스 실증사업’ 선정 오비고가 ‘2023 서울 모빌리티쇼’에 참가해 자율셔틀 인포테인먼트 캐빈 및 서비스 기술 개발을 선보인다고 31일 밝혔다. 2023 서울모빌리티쇼는 3월 31일부터 4월 9일까지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규모의 모빌리티 산업 전시회다. 산업통상자원부 지원으로 대창모터스, 한국자동차연구원과 공동으로 개발 중인 오비고의 자율셔틀 인포테인먼트 캐빈 및 서비스 기술 사업은 차량 자율주행 환경에서 무인으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음성인식, 제스처, 터치 방식 등을 구현하는 동시에 카메라, 제어기,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통해 AR 캐릭터를 활용한 사진합성 기술 등 콘텐츠에 재미 요소를 부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이다. 특히 해당 기술에는 자율주행 공용 플랫폼과 연계하여 자율주행 차량 안에서 다양한 이미지 작품을 배경으로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하는 라이브스튜디오 서비스를 연출할 뿐만 아니라 지역의 배경으로 지자체 및 관광지 홍보수단의 체험형 서비스로도 활용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황도연 오비고 대표는 "이번 사업이 완료되면 자율주행 차량 안에서 입체적인
배터리 관련 시스템 및 전동 장치 부품 등 전시 보그워너(BorgWarner)가 오는 30일 일산 킨텍스(KINTEX)에서 개최하는 ‘2023 서울모빌리티쇼’에 참가해 전기화 솔루션을 공개한다고 28일 밝혔다. 보그워너는 800V 실리콘 카바이드 인버터, 150kW급 고속 DC 충전 기술, S-wind 전기모터, 모터·인버터·감속기 통합 전기 차축(3-in-1 eAxle), 고에너지 배터리 시스템 및 고전압 냉각수 히터 등 모델을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일 예정이다. 폴 파렐(Paul Farrell) 보그워너 최고전략책임자(CSO)는 “2023 서울모빌리티쇼 부스 시연을 통해 자사의 제품과 솔루션이 어떻게 차량 전기화에 적용되는지를 참관객에게 소개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보그워너는 ‘Charging Forward(미래를 향한 발걸음)’를 슬로건으로 2035년까지 탄소 중립 성공을 목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전 세계 OEM 파트너와 협력해 산업 전기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육해공을 아우르는 모빌리티를 하드웨어·소프트웨어·서비스 분야로 나눠 전시 국내 최대 규모 자동차 관련 전시회인 '2023 서울모빌리티쇼'가 오는 31일부터 열흘간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총 10개국 160여개 기업·기관이 참가한 가운데 열린다. 올해 서울모빌리티쇼는 육해공을 아우르는 모빌리티를 하드웨어·소프트웨어·서비스 분야로 나눠 이와 관련한 신기술을 대거 선보일 예정이다. 서울모빌리티쇼조직위원회는 16일 오전 서울 서초구 자동차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번 전시회의 주요 추진 상황을 공개했다. 서울모빌리티쇼는 세계자동차산업연합회(OICA)가 공인한 국내 유일의 국제전시회로 격년마다 개최된다. 올해는 지난 행사 대비 전시장 규모가 2배가량 커졌다. 참가 규모도 60% 늘었다. 행사는 미래차와 로봇, 통합교통서비스(MaaS) 등 새로운 모빌리티 분야를 포함하기 위해 2021년 서울모토쇼에서 서울모빌리티쇼로 명칭을 변경했다. 주관사인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도 같은 취지로 오는 5월 명칭을 서울모빌리티산업협회로 변경할 예정이다. KAMA 회장을 맡고 있는 강남훈 조직위원장은 "올해 행사를 계기로 융복합 전시회로 탈바꿈하겠다"며 "자율주행, 로봇, 도심항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