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중공업 — 믹스 개선·생산성 향상 지속, 북미 LNGC 수주로 리레이팅 기대 SK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HD현대중공업(329180)은 2025년 매출 16조 9,790억 원(+17.2% YoY), 영업이익 2조 890억 원(+196.2% YoY, OPM 12.3%)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할 전망이다. 3분기 매출은 4조 4,179억 원, 영업이익은 5,573억 원으로 시장 컨센서스를 13.8% 상회했다. 고가 수주 물량의 매출 반영과 생산성 향상, 비용 효율화가 실적 호조를 이끌었다. 상선 부문은 LNG 운반선·VLCC 등 고선가 선종의 비중이 78%까지 확대되며 영업이익률이 전년 대비 3%p 개선됐다. 방산 부문에서는 호위함 정산 환입과 임단협 관련 비용 등 일회성 요인이 있었음에도 견조한 실적을 유지했다. 해양플랜트 부문은 추가 공사비 발생에도 불구하고 납기 단축과 설계 효율화로 수익성이 개선됐다. SK증권은 “HD현대미포와의 합병 시너지를 기반으로 해외 함정 수주 확대가 기대된다”며 “북미 LNGC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를 통해 글로벌 조선 시장 내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한미 관세협상 이후 추진 중인 SHIPS Act가
한국, 미국, 대만 등 세계 6대 반도체 생산국 정부·기업 주요 관계자들이 부산에 모여 반도체 산업 관련 현안을 논의하고 협력을 모색한다. 산업통상부는 4∼6일 부산에서 '세계 반도체 생산국 민관합동회의'(GAMS)를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이 회의는 한국, 미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4개국이 지난 1999년 출범시킨 회의체로, 2000년 대만, 2006년 중국이 준회원국으로 가입하면서 6개국 회의체로 성장했다. 한국이 의장국을 맡은 올해 회의에는 각국의 반도체 산업 정책 담당자(국장급)를 비롯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인텔, TI, 온세미, TSMC 등 기업과 각국 반도체협회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반도체 업계가 그간의 활동 결과와 건의 사항을 정부에 보고하며 이를 놓고 정부 담당자 간 협의가 진행된다. 올해 업계는 반도체 정책 동향 공유, 환경 규제, 반도체 관련 수출 품목 분류(HS 코드) 개정, 지식재산권 보호 등을 주요 의제로 제시했다. 회의 기간 6개국 간 양자 면담도 진행된다. 이를 통해 각국이 주요 현안별 입장을 교환하며 깊이 있는 논의를 진행할 전망이다. 의장을 맡은 최우혁 산업부 첨단산업정책관은 기조연설에서
인하대학교는 최근 수원 컨벤션센터에서 ‘2025 테스트기술 워크숍(Test Technology Workshop 2025)’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워크숍은 인하대 반도체특성화대학사업단과 한국반도체테스트학회가 공동 주관했으며, 국내 주요 반도체 기업과 연구기관의 전문가들이 참석해 반도체 테스트 및 패키징 분야의 최신 기술 동향과 산업 전망을 공유했다. 올해 워크숍에서는 ▲첨단 패키징 환경에서의 테스트 기술 고도화 ▲AI 반도체 및 칩렛(Chiplet) 구조 확산에 따른 신뢰성 확보 ▲차세대 반도체 공정과 테스트 자동화 기술 등 산업계 주요 이슈가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박준용 경희대 교수, 임종수 아주대 교수, 김현돈 삼성전자 PL, 정우식 SK하이닉스 부사장 등이 발표자로 참여해 최신 연구 동향과 산업 트렌드를 공유했으며, 이어진 세션에서는 기술적 과제와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이 진행됐다. 특히 이번 워크숍에서는 한국반도체테스트학회 표준위원회가 주도한 메모리 테스트(JETEC) 표준화 문서 ‘SPS-KTC001(2025)’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해당 표준화 작업은 2021년부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Teradyne, Ad
SK하이닉스 — HBM·컨벤셔널 DRAM 동반 상승, ‘All Memory is Good’ 사이클 진입 IBK투자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SK하이닉스(000660)는 2025년 매출 93조 2,800억 원(+40.9% YoY), 영업이익 43조 1,150억 원(+83.7% YoY, OPM 46.2%)으로 메모리 업황 회복의 정점을 맞을 전망이다. 3분기 영업이익은 11조 3,830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23.5% 증가했다. DRAM의 ASP가 4.8% 상승하며 수익성이 개선됐고, NAND는 SSD 수요 확대 덕분에 ASP가 11% 상승했다. 보고서는 “AI 서버 수요 확산에 따라 DRAM뿐 아니라 NAND까지 AI 시장 수혜가 본격화됐다”며 “2025년 4분기 영업이익은 14조 8,610억 원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목표주가는 70만 원(상승 여력 +25%). 삼성전기 — AI 부품 수요 폭발, MLCC·기판 동반 호황에 2026년 실적 도약 예고 SK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삼성전기(009150)는 2025년 매출 11조 2,650억 원(+9.4% YoY), 영업이익 8,840억 원(+20.3% YoY, OPM 7.8%)으로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3
국내 주요 기업들이 올해 3분기 실적을 속속 발표하고 있다. 미중 무역 갈등과 관세 협상 장기화로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업종에 따라 희비가 교차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삼성전자·삼성重 호실적…반도체·조선 '슈퍼 사이클' 분기마다 '실적 풍향계' 역할을 하는 삼성전자는 올해 3분기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도는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30일 공시를 통해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86조 617억 원, 영업이익 12조1661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DS(디바이스솔루션)부문은 매출 33조 1000억 원, 영업이익 7조 원으로 집계됐다. 메모리 사업은 사상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고, 전 세계 메모리 반도체 매출 1위 자리도 다시 탈환했다. 한동안 부진했던 반도체 사업이 D램 가격 상승과 고대역폭메모리(HBM) 출하량 증가 등으로 반등하면서 실적 개선을 이끈 것으로 분석됐다. SK하이닉스도 역대급 실적을 기록했다. 지난 29일 SK하이닉스는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24조 4489억 원, 영업이익 11조 3834억 원, 순이익 12조 5975억 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인데, 영업이익이 10조원을 넘은 것
국내 반도체 업계 양대 축인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올해 3분기 나란히 역대급 실적을 기록하며 본격적인 '슈퍼사이클' 진입을 알렸다.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앞세운 메모리 반도체 호황과 인공지능(AI) 인프라 확대에 따른 전방위 수요 증가가 실적을 끌어올렸다. 전문가들은 양사가 4분기에도 실적 경신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며 내년 반도체 업황이 정점을 향해 나아갈 것으로 내다봤다. SK하이닉스, 첫 '영업이익 10조 클럽' 입성…HBM이 실적 견인 SK하이닉스는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24조 4489억 원, 영업이익 11조3834억 원, 순이익 12조 5975억 원을 기록했다고 29일 공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인데, 영업이익이 10조원을 넘은 것은 창사 이래 처음이다. 실적 고공행진을 이끈 주역은 단연 HBM이다. SK하이닉스의 전체 D램 출하량 중 HBM 비중은 20%대에 불과하지만, 영업이익의 절반 이상이 HBM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HBM은 범용 D램보다 약 5배 높은 단가의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3분기 영업이익률은 47%에 달했다. 연합뉴스가 보도한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올해 2
LG CNS — AI·클라우드 성장세 지속, 데이터센터 수주 확대가 실적 견인 DS투자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LG CNS는 2025년 매출 6조 3,310억 원(+5.8% YoY), 영업이익 5,540억 원(+8.0% YoY), 영업이익률 8.7%로 전망된다. 2026년에는 매출 6조 7,580억 원, 영업이익 6,220억 원(OPM 9.2%)으로 이익률 개선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3분기(2025년) 실적은 매출 1조 5,284억 원(+6.3% YoY), 영업이익 1,243억 원(-13% YoY, OPM 8.1%)으로, 일부 수주가 4분기로 이연되면서 일시적인 둔화가 나타날 전망이다. DS투자증권은 “3분기 비용 선집행 영향이 반영됐지만, 데이터센터 설계·구축(‘DBO’) 수주가 전년 대비 40% 이상 증가하며 누적 매출 4,000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AI·클라우드 사업은 매출 8,833억 원(+11%)으로 전체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으며, 스마트엔지니어링 부문은 3,116억 원(+12%)으로 성장세를 유지했다. 반면 디지털비즈니스 부문은 3,334억 원(-9%)으로 일시적인 조정을 받았다. DS투자증권은 “DBO 매출은 2026년 7,000
헬로스톡은 반도체, 로봇, AI, 물류, IT 등 주요 산업군을 아우르며 시장 내 주요 기업들의 주가 동향과 전망을 정리해 전달하는 고정 기획 시리즈입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 트렌드 속에서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핵심 기업과 시장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기업별, 종목별 최근 이슈와 증권사 리포트를 토대로 한 전망 등을 소개합니다. 삼성전자 — 3분기 영업이익 12.1조 원, 메모리 호황이 이끈 ‘어닝서프라이즈’ SK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삼성전자(005930)는 3분기 매출 86조 원(+15% QoQ), 영업이익 12.1조 원(+156% QoQ)으로 컨센서스(10.3조 원)를 18% 상회하며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메모리 부문이 전체 실적을 견인했으며, DS부문 영업이익은 7.1조 원(메모리 7.7조 원), DX부문 3.4조 원, 디스플레이(SDC) 1.2조 원으로 추정된다. DRAM 부문은 출하량 +13%, ASP +14% 증가하며 7조 원의 이익을 기록했고, NAND 역시 흑자전환(0.7조 원)했다. HBM(고대역폭 메모리) 판매량은 전분기 대비 +33% 증가했으며, AI 서버 확산에 따른 수요 확대가 주가 상승 모멘텀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SK 서린빌딩 전경 (출처 : SK그룹)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서울 양재 엘타워 오르체홀에서 ‘2025년 산업부-SK그룹 기술나눔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오승철 산업기반실장, SK수펙스추구협의회 윤장석 부사장, SK이노베이션 이성용 부사장, SK하이닉스 김연수 부사장, SK텔레콤 차호범 부사장, SK실트론 최일수 부사장, 그리고 50여 개 기술나눔 수혜기업 대표들이 참석했다. SK그룹은 올해 62개 중소·중견기업에 총 77건의 특허를 무상으로 제공했다. SK의 기술나눔은 2014년 SK하이닉스에서 시작돼 2021년부터 그룹 차원으로 확대됐으며, 지금까지 총 259개 기업에 392건의 특허를 무상 이전하는 성과를 거뒀다. 올해 나눔 대상 기술은 SK그룹의 주력 분야인 통신, 반도체, 화학·소재를 비롯해 신기술 영역인 스마트 의료 관련 특허들로 구성됐다. 특히 ‘생체인증 기반 전자처방 서비스 인증 시스템’은 의료기관에서 종이처방전 대신 전자처방전을 생성하고, 환자의 생체정보 인증을 통해 약국으로 안전하게 전송하는 기술로 가장 큰 관심을 받았다. 이 밖에도 ▲반도체 결함 자동분류 시스템(반도체 장치 결함을 모델링해 자동 식별하는 기술) ▲슬러리 재생장
헬로스톡은 반도체, 로봇, AI, 물류, IT 등 주요 산업군을 아우르며 시장 내 주요 기업들의 주가 동향과 전망을 정리해 전달하는 고정 기획 시리즈입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 트렌드 속에서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핵심 기업과 시장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기업별, 종목별 최근 이슈와 증권사 리포트를 토대로 한 전망 등을 소개합니다. 삼성전자 — 메모리 업황 회복 가속화 신한투자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삼성전자(005930)는 예상보다 빠른 범용 메모리 시장 회복과 HBM(고대역폭메모리) 수요 확대에 힘입어 실적 반등이 가속화되고 있다. 2025년 3분기 매출은 84.4조 원, 영업이익은 10.1조 원으로 컨센서스를 상회할 전망이다. 메모리 ASP가 DRAM +7%, NAND +6% 상승하며 전반적인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으며, 파운드리 부문 적자 축소 역시 긍정적이다. 목표주가는 기존 89,000원에서 115,000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으며, 9월 29일 종가(84,200원) 대비 36.6%의 상승 여력이 있다. 신한투자증권은 “2026~2027년 HBM 성장과 스토리지 반등이 본격화되면, 삼성전자는 메모리 빅사이클의 중심에서 다시 한번 글로벌 시장을
SK그룹이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와 연계해 국가 AI 생태계 전략과 미래 기술 역량을 공유하는 국제 무대에 나선다. SK는 10월 28일 경북 경주 경주엑스포대공원 문무홀에서 ‘퓨처 테크 포럼 AI’를 주관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APEC 정상회의와 함께 열리는 비즈니스 포럼 ‘APEC CEO 서밋’의 공식 부대 행사로, 국내외 기업 최고경영자(CEO), 정부 관계자, 학계 인사들이 참여한다. 이번 포럼의 핵심 주제는 ‘국가 AI 생태계’다. 하정우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이 한국의 AI 경험을 공유하며, 국내외 기업과 학계 전문가들이 APEC 회원국의 AI 전략과 산업 발전 방향을 논의한다. APEC CEO 서밋 의장인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지속 가능한 AI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전략을 제안할 예정이다. 같은 날 경주엑스포대공원 야외특별관에서는 ‘K테크 쇼케이스’도 열린다. 한국 주요 기업들이 미래 기술을 선보이는 자리로, SK그룹은 SK하이닉스, SK텔레콤, SKC, SK엔무브의 AI 역량을 집약한 ‘AI 데이터센터 솔루션’을 공개한다. 반도체, 냉각, 운영·보안 등 AI 인프라
헬로스톡은 반도체, 로봇, AI, 물류, IT 등 주요 산업군을 아우르며 시장 내 주요 기업들의 주가 동향과 전망을 정리해 전달하는 고정 기획 시리즈입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 트렌드 속에서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핵심 기업과 시장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기업별, 종목별 최근 이슈와 증권사 리포트를 토대로 한 전망 등을 소개합니다. 삼성전자 — HBM4 모멘텀과 파운드리 회복 키움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삼성전자(005930)는 반도체 업종의 톱픽으로 제시됐다. 목표주가는 기존 100,000원에서 105,000원으로 상향 조정됐으며 22일 종가 83,500원 대비 약 26% 상승 여력이 남아있다. 3분기 영업이익은 11조 원으로 전 분기 대비 128% 증가가 예상된다. 이는 HBM 출하량이 107% 증가하고 파운드리 부문의 영업적자가 크게 축소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4분기 역시 영업이익 12조 원으로 컨센서스(10조 원)를 크게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HBM4 양산과 글로벌 고객사 확보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어, 향후 주가 상승 모멘텀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분석됐다. SK하이닉스 — AI 수요와 메모리 업황 반등 IBK투자증권의 분
보스턴다이내믹스 사족 보행 로봇 ‘스팟(SPOT)’에 ‘피지컬 AI(Physical AI) 플랫폼’ 이식 온디바이스 AI(On-device) 기반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FM) 적용 실시간 AI 추론 및 상황 예측 기능 탑재 예고해 인티그리트가 현대·기아자동차 그룹의 로봇 계열사 ‘보스턴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의 사족 보행 로봇 ‘스팟(Spot)’에 피지컬 AI(Physical AI)를 이식한다. 고도화된 기술을 업은 이 로봇은 인공지능(AI) 기반의 추론을 통한 자율주행 성능이 특징이다. 피지컬 AI를 구현하기 위해 온디바이스 AI(On-deviece) 기반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FM) 플랫폼을 내재화했다. 이를 통해 실시간 AI 추론, 위험 예측, 로봇 행동 모델 통합 및 표준화 등을 구현한다. 사측에 따르면, 이는 다양한 환경과 상황이 혼재된 현장에서 다종·이기종 로봇을 통한 안전 관리를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러한 피지컬 AI 플랫폼 기반 로봇 기능 구도화와 대응 체계 구축은 업계 최초 사례라며 덧붙였다. 인티그리트는 하이닉스와 파트너십을 맺고, 하이닉스 반도체 제조 현장에 스팟을 도입한다. 양사의 이번 협업은 기존 스팟이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퍼스트 무버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패러다임 변화’를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을 개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살펴보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열렸다. 행사에는 경영진과 국내외 주요 대학 교수진, 비즈니스 파트너 등이 참석해 메모리와 시스템 분야를 넘어 AI 모델과 서비스, 차세대 메모리 기술, 첨단 패키징 기술 등에 대한 의견을 공유했다.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은 영상 메시지를 통해 “미래포럼은 미래를 향한 깊이 있는 고민과 논의의 장이 필요하다는 갈증 속에서 시작됐다”며 “AI 모델, 인프라, 응용 서비스 등 AI 밸류체인 전체를 아우르는 논의를 통해 입체적이고 살아있는 지혜를 모으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기술, 비즈니스 모델, 일하는 방식까지 포괄해 지속 가능한 퍼스트 무버가 되기 위한 SK하이닉스만의 ‘딥 시퀀스’를 설계하고 실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현 SK하이닉스 개발총괄 사장(CDO)은 “빠른 변화의 물결 속에서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
산업통상자원부가 현대차그룹, LG에너지솔루션 등 대미 투자 기업들과 긴급 간담회를 열고 비자 제도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 8일 산업부는 한국경제인협회와 함께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대미 투자기업 간담회를 개최했다. 박종원 산업부 통상차관보 주재로 열린 회의에는 현대차그룹,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화학, HD현대, 한화솔루션, LS 등 주요 기업들이 참석했다. 산업부는 간담회에서 미국 현지 프로젝트 운영과 관련해 비자 문제를 포함한 인력 운용 현황을 점검하고, 기업들로부터 비자 확보에 대한 건의 사항을 청취했다. 참석 기업들은 안정적 투자를 위해 정부가 미국 정부와 협의 과정에서 비자 발급 제도의 개선 성과를 도출하는 데 집중해달라는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전날 “유사 사례 방지를 위해 산업부와 기업이 공조해 대미 프로젝트 출장자의 비자 체계 점검·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이날 기업 의견을 토대로 단기 파견에 필요한 비자 카테고리 신설이나 제도적 유연성 확보 등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미국 측과 협의를 이어갈 방침이다. 이번 논의는 미국 정부의 대규모 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