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클린룸 전용 가동 케이블 시스템 전문기업 삼원ACT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한국기계전에서 콤팩트 타입의 ‘EcoFlex’ 신제품을 출시하며 첫 선을 보였다. ▲ 삼원ACT 부스 전경 이번에 새롭게 라인업된 EcoFlex는 기존 제품 대비 20% 줄어든 사이즈(1.5m)와 경량화 실현으로 협소한 설치환경 및 고속 가동 조건에 최적화됐다. 따라서 반도체 장비와 같은 소형장비의 스트로크가 짧고 공간이 협소한 장비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삼원ACT는 표준형 타입과 롱 스트로크 타입의 EcoFlex 제품도 함께 출품해 눈길을 끌었다. 특히, 롱 스트로크 타입은 표준형 타입과 동일한 사이즈 및 구성으로 최대 5000mm의 스트로크 체인과 결합한 제품이지만, 길이가 5m로 국내 최장이다. 따라서 LCD 및 OLED 장비의 대형화로 인한 물류 이송부 적용에 용이하다. ▲ 콤팩트 타입 EcoFlex ▲ 5M의 롱 스트로크 타입 가동 케이블 시스템 한편, 2019 한국기계전(Korea Machinery Fair : KOMAF 2019)은 일산 킨텍스1 전시장에서 이달 22일부터 25일까지 나흘간의 일정으로 개최됐다. 산업통상자원부
[첨단 헬로티] 2019년 새롭게 개발한 e스킨 플랫으로 클린룸 산업 공략 나서 트리보 폴리머 소재로 체인, 케이블, 베어링 등을 제조하는 이구스(igus)가 2019 한국기계전(KOMAF)에 참가해 체인 e스킨 플랫과 폴리머 베어링, 협업 로봇 등을 선보였다. 특히 e스킨 플랫은 9월 한국에 새롭게 소개된 클린룸 체인으로 각 챔버의 개방이 가능해 간편한 유지보수를 제공한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에 많이 쓰이는 클린룸 체인 시장은 초창기와 달리, 다양한 제조사와 제품들로 경쟁이 치열하다. 저소음, 저분진, IPA ISO 1 클래스 등 다양한 기능과 더불어 유지보수나 설치 공간에 대한 소비자 니즈도 시장 공략에 주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구스(igus)가 2016년 선보인 밀폐형 주름 튜브 e스킨은 길이 조절이나 유지보수를 현장에서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한국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정준희 과장은 “e스킨은 한 번 설치하고 나면 길이 조절이나 보수가 어렵다는 기존 클린 케이블 제품 사용에 대한 유저들의 경험을 제품 개발에 적극 반영한 제품”이라고 e스킨의 개발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이어 “e스킨 플랫도 최근 시장
[첨단 헬로티] 아이티공간 - 엣지 디바이스를 위한 IoT 데이터 서비스 아이티공간은 IoT 기능의 ‘스마트 EOCR’과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전류예지보전 솔루션 ‘UYeG(유예지)’를 제공한다. UYeG는 모터와 기계설비라는 특화된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최적의 솔루션으로, 데이터 수집부터 빅데이터 기반 예지 보전, 비주얼라이제이션까지 전체 기술을 통합적으로 제공한다. ‘IoT EOCR UYeG’는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현장에서 우수한 기술로 구현이 되고 있다. 생산담당자, 설비보전 담당자, 관리자가 보고 싶어하는 기능을 충실히 구현하면서 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비용대비 진입장벽이 해소된다. UYeG는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장치, 배관, 회전기계, 전기, 계장 등의 기계장치들로부터 데이터 수집기술. ▲수집된 데이터를 플랫폼에 저장하고, 그 데이터 속에서 설비상태를 실시간으로 진단하는 소프트웨어 기술, ▲데이터 시각화 및 설비 자동제어 기술로 구성된다. UYeG의 주요 기능은 초고속 전류감시 모터의 전류, 전압, 전력량을 고속 분석 감시할 수 있
[첨단 헬로티] 아이디로 - UHF·가시광 RFID 기반 전산업 자동화 솔루션 아이디로는 UHF 대역 RFID 창고관리 솔루션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아이디로의 솔루션은 RFID 기술을 사용해 상품들의 데이터를 식별하여 실시간 재고관리 및 상품 추적 기능 등을 가능케 하는 솔루션이다. 또 아이디로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세계 최초 가시광 RFID 시스템은 가시광 통신 기술과 백스캐터링 RFID 시스템의 융합으로써 기존 RFID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보완한 기술이다. RFID 기반 솔루션 특징 ∙상품들의 실시간 재고 파악(입고/출고) : 상품에 부착하는 RFID 태그를 통해 물품의 생산부터 출고까지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한다. 조립 라인에서 물품이 생산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으며, 물류 창고에 들어가는 재고 관리에 용이하다. 또한 창고에서 출하되는 과정 및 운반 차량 확인이 가능하다. ∙상품들의 공정 단계 파악(위치 추적) : 생산된 혹은 생산 중인 상품에 RFID 태그를 부착하여 현재 어느 공정에 있는지 파악이 가능하다. 기존 RFID 기술로는 태그 간섭으로 어느 정도 한계가 있었지만 가시광 RFID를 사용하여 정확도
[첨단 헬로티] 2019년 10월 22일(화)부터 25일(금)까지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는 ‘2019 한국기계전(KOMAF)’과 ‘Machinesoft 2019(제조IT서비스전)’이 함께 개최된다. 두 전시회의 융합은 이제까지 볼 수 없었던 전시회 형태로 두 분야의 융합과 혁신적인 네트워킹이 기대 이상의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IT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가 주력인 기업들의 참여가 돋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 기업들은 제조업을 비롯한 전 산업에 적용되는 주요 솔루션 MES(제조실행시스템), PLM(제품수명주기관리), ERP(전사적자원관리) 등을 공급해 왔는데, 이번 전시회에서는 제조업과 한층 융합되고 진화된 솔루션을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IT 솔루션 기업들을 살펴본다. 1. 리치앤타임 - 효율성 향상·가치 극대화 이끄는 PLM과 MES 리치앤타임은 PLM 및 MES를 비롯해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뿐만 아니라 제조/설계 솔루션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리치앤타임의 PLM 솔루션은 설계자들의 제품 정보 자료를 관리하면서, 일반 데이터베이스와는 정보 자료에 대한 변
[첨단 헬로티] 2019년 10월 22일(화)부터 25일(금)까지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는 ‘2019 한국기계전(KOMAF)’과 ‘Machinesoft 2019(제조IT서비스전)’이 함께 개최된다. 두 전시회의 융합은 이제까지 볼 수 없었던 전시회 형태로 두 분야의 융합과 혁신적인 네트워킹이 기대 이상의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IT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가 주력인 기업들의 참여가 돋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 기업들은 제조업을 비롯한 전 산업에 적용되는 주요 솔루션 MES(제조실행시스템), PLM(제품수명주기관리), ERP(전사적자원관리) 등을 공급해 왔는데, 이번 전시회에서는 제조업과 한층 융합되고 진화된 솔루션을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IT 솔루션 기업들을 살펴본다. 2. 마크베이스 - 엣지 디바이스를 위한 IoT 데이터 서비스 마크베이스는 엣지 디바이스를 위한 초고속 IoT 데이터 입력용 데이터 서비스(Time Series DBMS)를 주력으로 제공하는 기업이다. 최근 3년간 스마트공장의 실제 도입 솔루션의 면면을 보면 RDMBS 기반이나 하둡 기반의 플랫폼이 대세였다. 하지만 이러한
[첨단 헬로티] 디지털 트윈, 제조업 시작으로 교통·도시 분야까지 확대 2019년 10월 22일(화)부터 25일(금)까지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는 ‘2019 한국기계전(KOMAF)’과 ‘Machinesoft 2019(제조IT서비스전)’이 함께 개최된다. 두 전시회의 융합은 이제까지 볼 수 없었던 전시회 형태로 두 분야의 융합과 혁신적인 네트워킹이 기대 이상의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기사에서는 ‘머신소프트 2019’에서 제시하는 디지털 트윈 기반의 제조업 혁신과 여기에 융합되는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인공지능에 대해 개념 중심으로 살펴본다. * ‘머신소프트(MachineSoft)’란 기계·제조업을 의미하는 Machine과 IT산업을 의미하는 Software의 합성어로 ‘디지털 제조혁신’를 상징한다. 제조업과 IT 융합, 혁신을 위한 혁신 최근 제조 산업은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인공지능 등의 IT 분야 기술들과 접목되어 혁신적인 제조 시스템을 만들고 있다. 더
[첨단 헬로티] 한국기계산업진흥회(이하 기진회)는 한국 제조업의 혁신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내년부터 전시회의 방향성을 “디지털제조혁신(Digital Manufacturing Innovation)”으로 확립하고 새로운 변화를 모색한다고 밝혔다. 먼저 자본재 종합전시회 ‘KOMAF(한국기계전)’와 국내 최초 공장자동화 전문 전시회 ‘KOFAS(국제자동화정밀기기전)’는 대대적 혁신을 통해 제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대표하는 전시회로 거듭난다. 특히 내년에는 ‘한국산업대전’이라는 큰 울타리 안에서 ‘KOMAF’와 ‘MachineSoft(제조IT서비스전)’가 함께 개최되어, 대한민국 최초로 자본재 종합전과 IT전문전이 동시 개최되는 새로운 역사가 시작된다. 제조업의 디지털 혁신을 위해서는 IT 솔루션의 협력이 필수적이며, 각 제조공정 및 품목별 전문관을 데이터 기반의 가치사슬로 연결하여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고, 바이어를 비롯한 현장 참가업체 간의 비즈니스 창출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전시회와 함께 열리는 컨퍼런스의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