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릴스·아워홈·한국생산기술연구원·한국식품연구원 손잡아...농수산물 품질 최적화 기대 “농수산물 품질 저하, 환경 보호, 작업자 피로도 감축 등 효과 드러낼 것” 브릴스가 ‘푸드테크 신산업 분야 공동연구’ 4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를 기반으로 아워홈·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한국식품연구원(KFRI) 등과 함께 ‘감자 박피 자동화 솔루션’ 개발에 착수한다. 이번 MOU는 농림축산식품부 고부가가치식품개발사업 내 ‘박피 등 원재료 손실 최소화를 위한 전처리 협동 기술 개발’ 과제의 일환으로 실시됐다. 네 기관은 인공지능(AI) 기반 형상 및 객체 인식 기술을 활용해 감자 탈피 과정에서의 손실률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감자의 변질된 부위, 남아있는 씨눈 등 박피 대상 부위를 감지해 최적의 경로를 찾아 공정을 수행하는 로봇을 개발한다. 브릴스는 이 과정에서 3D 형상 인식 기술 개발·설계를 맡는다. 해당 시스템은 로봇 솔루션과 AI 기술이 접목된 형태로, 기존 인프라와 연동 가능한 기술이 될 전망이다. 무작위로 공정에 투입되는 감자의 상태·형상을 파악해 감자 박피 공정을 수행하는 지능형 로봇 솔루션 개발을 목표로 한다. 브릴스 관계자는 식품
‘산·연 공급 원천기술’ 3지 그리퍼가 선정 배경...3년 동안 최대 11억 원 확보 “인력 대체하는 완전한 로봇 솔루션 제공할 것” 테솔로가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스타트업 지원 사업인 ‘초격차 스타트업 1000+’에 이름을 올렸다. 초격차 스타트업 1000+는 비메모리 반도체, 인공지능(AI), 미래 모빌리티 등 10대 신산업 분야에서 잠재성이 확보된 딥테크 스타트업 1000개 이상을 육성하는 국가 지원 정책이다. 지난해부터 오는 2027년까지 민관 합동으로 약 2조원을 투입한다. 해당 사업에 선정된 기업은 3년간 최대 11억 원의 사업화 및 R&D 자금을 지원받는다. 여기에 정책 자금, 보증, 수출 등 연계 지원도 함께 수령하게 된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광주과학기술원(GIST) 등 연구기관을 비롯해 현대자동차·삼성전자·LG전자 선행기술연구소 등 산업계에 로봇 그리퍼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3지 다관절 그리퍼를 통해 기술력을 인정받아 이번 사업에 선정됐다. 테솔로는 12관절 3지 그리퍼 ‘델토 그리퍼-3F(DG-3F)’, 전동식 평행형 2지 그리퍼 ‘델토 그리퍼-2F(DG-2F)’, 진공 그리퍼 ‘델토 그리퍼
[첨단 헬로티] 지능형 전자섬유 분야 공동 연구로 연 30% 고도성장 시장 공략 스마트폰으로 온도를 조절하고, 위치 추적장치가 부착된 등산복이 상용화돼 저체온증, 탈진, 추락사고 등의 위험상황에서 조난자를 구조할 확률이 커졌다. 뿐만 아니라 섬유센서․유연섬유전지를 내장한 가구, 생체신호를 측정해 건강과 체력 관리를 도와주는 의류, 생체리듬과 수면정보를 관리하는 침대 등 섬유 시장이 똑똑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세계 섬유시장이 이미 일반 합성섬유 중심의 ‘섬유 1.0시대’, 기능성 중심의 ‘섬유 2.0시대’를 지나 지능형 전자섬유 중심의 ‘섬유 3.0시대’에 진입했다고 진단한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하 생기원)은 지난해 11월 독일 아헨에 스마트텍스트로닉스센터를 설치한 데 이어, 9월 6일(수)에는 안산 경기테크노파크 내에 국내 기업을 위한 스마트텍스트로닉스센터(Smart Textronics Center)를 구축하고 개소식을 개최했다. 생기원은 지난 2012년부터 독일 아헨공대 섬유기술연구소(ITA)와 스마트 텍스트로닉스 분야의 협력 방안을 모색해 왔다. 양 기관은 특히 스마트의류, 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