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블럭스(u-blox)는 자사의 LTE-M 셀룰러 모듈 제품 판매량이 2500만 개를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유블럭스의 첫 번째 LTE-M 모듈인 유블럭스 SARA-R4는 2016년 발표됐으며 2017년까지 모든 필수 규제 및 이동통신사업자(MNO) 인증을 획득했다. 이후 유블럭스 LTE-M 셀룰러 모듈은 애프터마켓 텔레매틱스, 검침, 유틸리티, 산업 자동화, 모니터링, 자산 추적 및 관리와 같은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유블럭스 관계자는 "유블럭스는 LTE-M 모듈을 가장 먼저 출시하고 가장 빠르게 매스마켓 채택을 확대한 기업 중 한 곳으로 이는 유블럭스 기술이 그만큼 품질과 탄력성 면에서 뛰어나다는 것을 말해준다"며 "유블럭스는 사용자가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IoT 연결 혁신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 왔다"고 전했다. 유블럭스의 LTE-M 모듈 포트폴리오는 다양한 기존 및 신규 애플리케이션과 활용 사례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유블럭스의 솔루션은 더 작고 비용 효율적이며, 보다 우수한 전력 효율을 나타내도록 끊임없이 진화해 왔다. 슈테판 지잘라 유블럭스 CEO는 "LTE-M은 여러 중요한 산업용
LG전자가 아반치(Avanci)의 원스톱 라이선싱 마켓플레이스에 참여했다고 아반치가 10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아반치의 기존 모든 라이선시와 앞으로 아반치에 가입하는 기업은 마켓플레이스 내 다른 특허권자와 LG전자가 개발·소유한 4G, 3G, 2G 필수 특허에 대한 라이선스를 부여받을 수 있다. 카심 알팔라히(Kasim Alfalahi) 아반치 설립자/최고경영자(CEO)는 “이동통신 표준 개발에 기여하며 혁신에 앞장서온 LG전자가 아반치 라이선서로 함께 하게 돼 기대가 크다”고 밝혔다. LG전자는 자동차 부품 솔루션 사업부를 통해 세계 자동차 업계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또 수십년간 다양한 소비자 가전 분야에서 축적한 경험으로 얻은 풍부한 사용자 경험·기술을 활용해 자동차 연결 솔루션은 물론 전기 자동차·서비스를 위한 첨단 부품을 개발하는 시장 선도 기업으로 자리하고 있다. 제이 조(Jay Cho) LG전자 수석부사장/지적재산센터 총괄은 “LG전자가 아반치 마켓플레이스에 합류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아반치를 통해 LG전자가 셀룰러 필수 기술에서 이룬 혁신을 전 세계 자동차 제조사와 단순하고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게 됐다”고 기대했다.
[헬로티] 화웨이 대신 선정...캐나다서 3번째 신규 수주 삼성전자는 캐나다 이동통신사 사스크텔에 5G와 LTE 이동통신 기지국, 가상화 코어 장비를 단독으로 공급한다고 16일 밝혔다. ▲삼성전자가 사스크텔에 5G와 LTE 이동통신 기지국, 가상화 코어 장비를 단독으로 공급한다고 밝혔다. 사스크텔은 캐나다 서스캐처원 주정부가 운영하는 유무선 통신사로 1908년 설립됐다. 가입자는 140만 명 수준으로 규모가 크지 않지만, 화웨이 LTE 장비를 사용하던 사업자가 삼성전자를 새로 선정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사스크텔은 2019년 6월까지도 화웨이 장비가 보안 측면에서 문제가 없다고 외부에 공언했으나 작년 벨, 텔러스 등 다른 캐나다 이통사들과 함께 화웨이 5G 장비를 쓰지 않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이번 계약으로 사스크텔에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5G·4G 기지국과 다중입출력 기지국, 가상화 코어용 소프트웨어, 유지보수·최적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처음으로 해외에 5G 가상화 코어 장비를 공급한다. 이 제품은 5G와 4G 데이터 트래픽을 동시에 처리하는 통합 장비로 각각의 장비를 개별로 구축하는 방식 대비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헬로티] 삼성전자가 28GHz 대역 5G 기지국과 4G LTE 기지국을 동시에 활용하는 이중 통신(Dual Connectivity) 기술로 업계 최고 다운로드 속도를 기록했다. ▲삼성전자가 이중 통신 기술로 업계 최고 다운로드 속도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수원 삼성 디지털시티에서 28GHz 대역 5G 통합형 기지국과 1.9·2.1GHz 대역 4G LTE 기지국, ‘갤럭시 S20+’ 스마트폰 등 상용 제품을 활용해 5.23Gbps 다운로드 속도 시연에 성공했다. 이는 4GB 용량의 풀 HD 영화 1편을 약 6초만에 다운로드 받는 속도다. 삼성전자는 지난 해 28GHz 대역 5G 통합형 기지국과 2개의 시험 단말을 활용해 MU-MIMO(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시연을 진행해 하나의 단말에서 4.25Gbps 다운로드 속도를 기록했다. 이번 시연에서 이 기록을 능가하는 5.23Gbps 다운로드 속도를 기록하며 초고속 통신 분야에서의 기술 리더십을 다시 한번 증명했다. 이번 시연은 4G LTE 기지국과 5G 기지국이 단말과 동시에 네트워킹하는 이중 통신 기술을 활용했다. 기존에 전
[헬로티] 화웨이에 대한 '반도체 제재' 유지 속 예외적 허가 미국의 반도체 기업인 퀄컴이 미국의 제재대상인 중국 화웨이(華爲)에 대한 부분적인 수출 허가를 미 당국으로부터 받았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화웨이에 대한 제재에도 불구하고 예외적인 제재 면제를 통해 제한적 거래 허가를 받은 것이다. 거래 허가 품목에는 4G 제품용 반도체 칩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출처: 연합뉴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퀄컴은 지난 13일 "우리는 일부 4G 제품을 포함하는 다수 제품에 관한 (화웨이에 대한) 수출 면허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화웨이에 대한 제재를 유지하면서도 퀄컴 측의 요청을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앞서 미국 상무부는 지난 8월 미국 기술을 부분적으로라도 활용한 세계의 전 반도체 기업은 사전 허가를 받아야만 화웨이에 제품을 팔 수 있도록 했고, 이는 9월15일부터 발효됐다. 회사 측은 수출이 허가된 4G 제품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는 밝히지 않았지만, 이동통신 장비와 관련이 있다고 답했다. 화웨이는 자신들의 플래그십 휴대전화에는 자체 설계한 반도체 칩을 사용해왔지만, 중저가 모델에는 퀄컴의 반도체를 사용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의 제재
[첨단 헬로티] 삼성전자가 미국 5위 이동통신 사업자인 ‘US 셀룰러(US Cellular)’에게 5G·4G 이동통신 장비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삼성전자가 US 셀룰러에 이동통신 장비를 공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 전역의 가입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US 셀룰러는 이미 여러 상용망에서 성능이 증명된 삼성전자의 이동통신 장비를 설치해, 보다 높은 통신품질과 안정적인 실내외 커버리지를 바탕으로 가입자들에게 한 단계 높은 5G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5G 통합형 기지국(Access Unit) 등 3GPP 국제표준 기반의 다양한 5G 솔루션을 공급할 계획이다. 특히, 5G 통합형 기지국은 무선통신 부분과 디지털통신 부분을 통합한 제품으로 크기와 무게를 최소화해 가로등, 건물 벽면 등에 손쉽게 설치 가능하고 광케이블 매설 비용도 절감할 수 있어 5G 네트워크 구축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삼성전자가 자체 개발한 기지국용 5G 모뎀칩을 실장해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도 최대 10Gbps의 통신 속도를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삼성전자는 미국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의 80%
[첨단 헬로티] 핀란드의 글로벌 통신 네트워크 기업 노키아는 2019년 8월 말 기준으로 노키아의 전세계 5G 상용 계약 건수가 48건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현재 공개적으로 노키아와의 계약 체결을 밝힌 이통사는 26곳이다. 한국의 이통사 3사인 SKT, KT, LGU+를 비롯해 티모바일(T-Mobile), AT&T, 스프린트, US셀룰러, 텔리아 컴퍼니, 엘리사 핀란드, 보다폰 이탈리아, TIM 산마리노, 살트, 보다폰 뉴질랜드, 소프트뱅크 등의 업체가 계약을 진행했다. 노키아는 전세계 고객들과 100회 이상의 5G 계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2018년에 완료된 50여개 이상의 기술 계약, 2019년에 예정된 70여개 이상의 기술 계약을 체결했다. 5G 구축을 위해 노키아를 방문한 노키아의 기존 4G 고객 전원은 이미 노키아를 5G 장비 공급업체로 선정한 바 있다. 노키아는 4G보다 5G에서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할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핀란드 오울루에 위치한 노키아 미래 5G 공장 한편, 셰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과 글로벌 컨설팅 기업 맥킨지(McKinsey)는 노키아의 미래 5G 공장(5G factory of t
[첨단 헬로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달 8일 발표한 ‘5G+ 전략’의 후속조치 일환으로 5대 핵심 서비스 중의 하나인 실감콘텐츠 시장 활성화를 위해,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 실감 콘텐츠 개발을 지원하는 ‘5G 콘텐츠 플래그십 프로젝트’ 통합 사업공고를 4월 11일에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이달 15일부터 5월 10일까지 접수를 받고, 일부 사업의 경우는 5월 13일까지 접수를 진행한다. 공모 분야는 ▲5G 실감콘텐츠 개발(지정공모/자유공모)과 ▲5G 실감콘텐츠 글로벌 진출 분야이다. 5G로 데이터를 아주 빠르고 실시간으로(초저지연) 제공해 기존 4G 환경에서 이용하기 어려웠던 고품질·대용량의 실감콘텐츠 서비스가 가능해짐에 따라, 몰입감·사실감이 극대화된 실감 콘텐츠는 5G 환경에서 소비자가 가장 먼저 체감 가능한 핵심 서비스로 부각되며 실감 콘텐츠 경쟁력이 5G 시대의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4월 3일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계기로 다른 나라보다 앞서 5G 실감콘텐츠 초기시장이 창출돼 실감콘텐츠 조기 상용화와 함께 성공사례를 축적할 수 있는 환경이
[첨단 헬로티] 최근 ICT 업계는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하고, 판단하고, 활용해 비즈니스로 연결시킬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고민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 시대를 가능하게 하고 확장시킬 인프라에 대한 요구도 커지고 있다. 3일, 인텔은 이러한 데이터 시대를 앞당기고 가속화시킬 데이터와 관련한 처리(Process), 이동(Move), 저장(Store)을 위한 핵심 기술 및 6종의 신제품군을 발표했다. 인텔코리아가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발표한 6종의 신제품군은 이더넷 800시리즈, 옵테인TM DC 퍼시스턴트 메모리, DC SSD, 2세대 제온Ⓡ 스케일러블, 제온Ⓡ D-1600, 애질렉스TM FPGA 등이다. ▲ 4월 3일, 인텔 코리아에서 발표한 데이터 중심 포트폴리오 인텔 나승주 상무는 “오늘 발표된 신제품군은 데이터의 빠른 이동과 효율적인 저장 및 접속을 실현하며 모든 것을 처리해주는 데 최적화된 인텔의 데이터 중심 전략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데이터센터 솔루션은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 인프라 및 인텔리전트 엣지 애플리케이션 내 광범위한 활용 사례를 타깃으로 인공지능(AI)와 5G를 포함해
[첨단 헬로티] 화웨이가 스페인 바르셀로나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19' 행사장에서 보다폰과 함께 5G 경험을 제공하는 체험 공간을 구축했다. 보다폰은 고성능 5G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화웨이의 E2E 제품과 솔루션으로 상용 5G 주파수를 사용하는 5G 기지국을 체험존에 구축했다. 이 네트워크에서 화웨이 5G 스마트폰과 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를 활용한 다양한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서비스를 통해 5G 서비스 경험을 제공했다. 화웨이는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Gbps 수준의 경험을 제공하는 5G eMBB는 사용자 경험에 있어 전환점이 될 것이다”고 언급했다. 이어, “보다폰 부스(Fira Hall 3)와 화웨이 부스(Hall 1 Back Garden)에서는 5G 광대역 주파수를 통해 초고속으로 동영상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재생한다. 일반적으로 사람 눈의 시각적 지연은 거의 100 밀리초(ms) 인데 비해, 5G 네트워크의 지연 시간은 20ms 미만이 될 것이다. 스마트 공장 등 특정 기업용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지연 시간은 훨씬 더 낮을 수 있다. 비디
[첨단 헬로티] 2월 25일부터 28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 세계 최대 규모 이동통신 산업 전시회인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 Mobile World Congress) 2019에 국내외 ICT 분야의 다양한 기업이 참가했다. 세계 3대 IT 전시회로 불리는 이번 전시회에는 5세대 이동통신(5G)와 증강현실(AR) 기술을 기반으로 한 마이크로소프트의 신형 스마트 글래스인 홀로렌즈2 등 다양한 첨단 기술과 디바이스, 솔루션이 전시돼 참관객 및 참가사의 주목을 받았다. 증강현실 스마트 글래스는 향후 스마트폰을 대체할 기기로서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하지만, 구글, MS, 애플 등 글로벌 기업들의 참여와 천문학적인 투자에도 불구하고, 아직 상용화된 제품을 찾아볼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번 전시회를 통해 상용화단계로 접어들지 기대를 모은다. 자일링스, RFSoC 포트폴리오·5G 인프라 데모 선보여 적응형 및 지능형 컴퓨팅 부문 전문 기업 자일링스(Xilinx)는 이번 전시회에서 RFSoC 포트폴리오와 함께 다른 적응형, 인텔리전트 5G 인프라 데모를 선보였다. 또한 Power Hour 세션에 파트너사 및 고
[첨단 헬로티] 새로운 데이터 센터가 서울 상암에 들어선다. 글로벌 상호연결(interconnection) 및 데이터센터 기업 에퀴닉스(Equinix)는 이 데이터센터가 한국에서 비즈니스 기회를 찾는 글로벌 고객이나 한국을 넘어 글로벌 디지털 생태계와 연결하고자 하는 한국 기업에게 특별히 흥미로운 소식이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에퀴닉스는 1월 23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인터내셔널 비지니스 익스체인지(International Business Exchange™, 이하 IBX®)’ 데이터센터는 설립과 한국 시장 진출을 발표했다. ▲ 사무엘리(Samuel Lee) 에퀴닉스 아시아태평양 총괄 사장 에퀴닉스가 설립할 통신사 중립적 데이터 센터인 SL1은 기업의 디지털 전환 및 클라우드 도입을 지원하기 위해 상호 연결 및 콜로케이션(Colocation)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19년 3분기 개소 예정인 데이터 센터는 1천680 제곱미터(1만8천 제곱피트)의 콜로케이션 공간으로 구성되며 초기 단계에는 550 캐비닛 규모의 용량을 제공할 예정이다. 사무엘리(Samuel Lee) 에퀴닉스 아시아태평양 총괄 사장는 &ld
[첨단 헬로티] 사물인터넷 및 5G 생태계를 선도하기 위해 미국, 유럽, 아시아태평양 등 전세계 기업들의 노력이 한창이다. 이와 더불어 관련 모듈, 디바이스 시장도 함께 들썩이고 있다. 최근 개최된 텔릿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이러한 기업들의 이야기를 들어볼 수 있었다. 사물인터넷(IoT) 모듈 및 플랫폼 서비스 전문 글로벌 기업 텔릿(Telit)이 1월 29일 여의도 한국 본사에서 ‘2019 텔릿 사업전략’ 발표를 통해 한국의 사물인터넷(IoT) 시장 현황과 텔릿의 향후 IoT 관련 로드맵을 전했다. 세계 이통사들 5G 선점 노린다 이번 행사에는 텔릿 본사의 마르코 콘텐토(Marco Contento) Technology & Pre-sales 부사장이 방한해 ‘xE310 폼 팩터 및 5G 로드맵’에 대해 발표하며 관련 시장의 분위기를 가늠케 했다. 마르코 콘텐토 부사장은 “IoT 시장에서는 전력소모량, 사이즈, 가격 등이 주요 이슈가 되고 있다. 자사에서는 이러한 시장 요구에 대응해 xE310을 올해 2분기에 출시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 텔릿 본사의 마르코 콘텐토(Marco Content
[첨단 헬로티] AI 기술은 이미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삶의 곳곳에 이미 적용되고 있다. 실생활은 물론이고, 다양한 비즈니스에서 사용되면서 많은 이들이 혜택을 누리고 있다. 예컨대 많은 사람이 즐기고 있는 프로야구에도 AI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일본 프로야구(NPB)는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이미지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후지필름 이미지 웍스(IMAGE WORKS)는 마이크로소프트의 AI 기술을 적용해 많은 양의 사진 선별 작업 시간을 줄였다. 야구 경기 당 약 3천 장의 사진이 촬영된다. 각 구단의 큐레이터는 그 중 300여 장을 선별한 뒤 선수별로 나누는데 평균 4시간이 걸렸다. 그런데 새로운 시스템을 활용한 결과는 놀라웠다. 약 30분으로 단축하는 성과를 거두게 된 것이다. 기울어져 있거나 얼굴이 보이지 않을 때도 선수를 알아볼 수 있고, 이미지를 4가지 유형(타격, 투구, 수비, 주루)으로 자동으로 구분할 수도 있었다. 얼굴이 입출금 카드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밖에도 금융, 어업, 풍력발전 등 산업 전반에 AI 기술을 통해 비즈니스를 더욱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더 나은 고객 경험을 도모하고 있다. 카드 없이 현금인출기(ATM)에서 현금을 찾을 수 있는 날
[첨단 헬로티] 화웨이는 “스페인 바로셀로나에서 개최 중인 MWC 2019에서 열린 'GTI 어워드 시상식'에서 5G 상용화에 대한 성과를 높게 평가 받으며 '마켓 디벨롭먼트 어워드'를 수상했다”고 26일 밝혔다. GTI(Global TD-LTE Initiative)는 TD-LTE 상업화, 5G 기술 확산 및 업계간 혁신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설립된 단체이다. 2018년 3GPP R15 NSA(Non Stand Alone, 종속모드) 및 SA(Stand Alone, 단독모드) 규격이 완성됨에 따라서 전세계에 걸쳐 5G 기술 테스트와 예비 상업성 확인이 진행됐다. 화웨이는 이번 수상에 대해 “5G 기술 및 표준에 대한 장기간 투자와 기술 축적을 이룬 끝에 3GPP 표준을 거의 상용화 단계까지 개발했으며 코어망, 무선망, 5G 램프사이트(5G LampSite), 5G CPE 등 상용화 이전 단계의 5G 엔드-투-엔드 솔루션을 선보이는 등 성과를 인정받은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을 비롯해 중국 항저우 및 선전, 이탈리아 밀라노, 독일 베를린 등 세계 곳곳의 도시에 대규모 시범 네트워크를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