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디지털 뉴딜을 계기로 주력산업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추진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 성윤모 장관은 지난 15일(수)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현판식 및 업계 간담회에 참석해 디지털 뉴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산업 혁신성장 정책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사진 : 산업부 금번 행사에는 제조-5G‧AI‧데이터 업계 전문가 등 10여명이 참석해 앞으로 민간 산업 디지털 혁신의 구심점 역할을 담당할 한국산업지능화협회의 출범을 축하했다. 정부가 지난 14일(화) 발표한 '한국형 뉴딜 종합계획'의 큰 축인 ‘디지털 뉴딜’을 계기로 우리나라가 강점을 보유한 주력 산업에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여 제품기획‧R&D·생산‧유통‧서비스 등 산업 밸류체인 전반을 고도화 하는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헬로티 = 김동원 기자] 미래를 위한 최소한의 양심, ‘그린뉴딜’ 코로나19 이후 경기 부양책의 하나로 그린뉴딜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린뉴딜은 기후변화 해결, 사회적 형평성, 질 높은 일자리 창출을 바탕으로 한 지속 가능한 경제를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린뉴딜은 인류 생존에 꼭 필요했습니다. 코로나19가 치명적이지만 일시적인 감기였다면, 기후변화는 삶을 끝까지 위협하는 암세포이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2019년 European Commission은 대기오염으로 인해 연간 40만 명의 유아가 사망하고, 폭염으로 연간 9만 명이 죽어가고 있다며 기후변화를 염려했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에너지전환과 녹색 일자리 창출, 에너지·환경 복지를 개선할 수 있는 ‘한국형 뉴딜’을 선언했습니다. 정부는 한국형 뉴딜을 통해 ▲지역경제 재건 ▲저탄소 신산업 추진 ▲일자리 창출 ▲사회적·경제적 불평등 해결 ▲기후변화 문제 해결 등을 이뤄갈 예정입니다. 산업부는 6월 3일, 제3차 추가경정예산안에서 한국판 뉴딜에 4639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습니다. 이미 지자체에서는 ‘건물 온실가스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