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유럽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또는 디지털 트윈이라는 용어를 사용해가면서 제품이나 솔루션만을 파는 것이 아니라 컨설팅도 함께 제공하고 있으며, 필요하다면 경쟁사와도 협력하면서 차별화하는 오픈 이노베이션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과 관련 성공적인 구현을 위해서는 실질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진단할 수 있는 컨설팅 조직과 스마트공장 모델이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스마트공장 보급을 위한 프로세스에서 발생한 이슈의 점검을 통해, 다양한 사례와 해결 방안을 검토 및 수집하여 DB화와 유형화를 해야 한다.” 하노버 메세 2019로 본 인더스트리4.0의 시사점과 우리의 대응 방안에 대해 지난 4월 26일 열린 한국ICT융합네트워크 & 스마트제조혁신포럼에서 이은창 산업연구원 시스템산업연구실 부연구위원이 발표한 내용을 정리했다. ▲ 이은창 산업연구원 시스템산업연구실 부연구위원은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과 관련 성공적인 구현을 위해서는 진행 과정에서 발생한 이슈의 점검을 통해, 다양한 사례와 해결 방안을 검토 및 수집하여 DB화와 유형화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4월 1일
[첨단 헬로티] “3만개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을 위해서는 선결 과제가 많다. 성공 위해서는 기업 간 또는 정부부처 간 협력이 중요하다.” 독일 인더스트리4.0 현황과 우리 제조업의 향후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국ICT융합네트워크에서 주최한 세미나가 지난 4월 26일, 카이스트 도곡동 캠퍼스에서 열렸다. 이날 세미나에는 관련 기관에서 나와 하노버 메세 2019와 독일 인더스트리4.0을 참관하고 느낀 시사점과 우리의 대응 방향에 대해 발표하는 패널 토론도 진행됐다. 그 내용을 정리했다. ▲ 패널 토론자로 왼쪽부터 제조혁신특별위원회 주영섭 위원장, 국가기술표준원 최동학 박사,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철안 원장, 산업연구원 정은미 본부장, 과기부 손창용 팀장이 함께 자리했다. 제대로 된 모델 공장이 필요하다 ■ 주영섭 위원장 (한국공학한림원 제조혁신특별위원회) : 안녕하십니까. 오늘 패널 토의는 하노버 메세 2019와 독일 인더스트리4.0을 참관하고 그 과정에서 느낀 바를 토대로 향후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자리입니다. 각 기관에서 함께 자리해 주셨는데, 먼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최철안 원장님께서 스마트공장 보급을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