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지멘스는 프런트홀 네트워크를 위한 테스트 솔루션을 제공하는 핀란드 소재의 기업인 사로칼 테스트 시스템스를 인수한다고 밝혔다. 프런트홀은 각각의 기지국에서 전달받은 음성 또는 데이터를 서버로 전달하는 네트워크로 중앙장치와 분산 장치를 연결하는 유선망이다. 사로칼사 제품은 칩셋 업체, 프런트홀 장비 제조사, 통신사업자들이 초기 설계 단계부터 구현 및 현장 테스트를 거쳐 4G/5G 네트워크 장치를 개발하고 테스트하는데 사용된다. 토니 헤멀건 지멘스 PLM 소프트웨어 사장 겸 CEO는 “사로칼사의 인수는 EDA(전자설계자동화) 및 IC 산업에 집중하겠다는 지멘스 PLM 소프트웨어의 강한 의지를 나타낸다. 최근 인수한 멘토 그래픽스의 역량에 기반해 이를 집중 활용하고 IC 산업용 솔루션을 더욱 확장할 수 있는 전략적 투자를 계속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사로칼사의 제품들은 여러 분야에서 전송 사양을 테스트하는데 사용된다. 사로칼 테스터 제품군은 셀룰러 및 유선 전송 시스템의 테스팅을 위한 전체 개발과정과 유지관리 플로를 처리한다. 특히 이 기술은 무선 주파수의 문제를 감지하기 위해 고안된 기술이다. 사로칼만의 테스팅 모델은 5G
[첨단 헬로티] SK텔레콤이 개발한 5G 핵심 기술이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의 표준으로 채택됐다. 해당 기술은 ‘5G 통신의 모세혈관’이라고 불리는 프런트홀(Fronthaul) 기술이다. 5G 기지국은 중앙 장치와 안테나를 포함하는 분산 장치가 분리되어 있다. 주요 디지털 장치는 중앙 장치에 모아서 처리하고 분산 장치는 건물 등 서비스 지역에 분산되어 있는데, 중앙 장치가 한 곳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서비스 품질 관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중앙 장치와 분산 장치를 연결하는 유선망이 프런트홀이다. 5G는 LTE에 비해 촘촘한 기지국 구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수용해야 할 데이터 용량도 커진다. 이에 따라 고객 접점에서 무선 데이터 신호를 수신해 이를 중앙 장치로 전송하는 프런트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SK텔레콤이 이번에 개발한 5G 프런트홀 규격은 개방성이 가장 큰 특징이다. LTE 프런트홀은 표준 규격이 정해지지 않아 대형 통신장비 제조사에 따라 별도의 규격이 사용되어 왔다. 이에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은 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SK텔레콤의 개방형 5G 프런트홀 기술이 국내 표준으로 채택됨에 따라 중소 장비업체의 5G 생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