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우주 산업용 고신뢰성 통신 인터페이스 솔루션인 ‘ATA6571RT’ CAN FD 트랜시버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신제품은 위성, 우주선 등 극한의 우주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내방사선 설계를 적용했으며, 최대 5Mbps의 데이터 속도를 지원한다. 또한 기존 CAN 시스템과 하위 호환되어 기존 플랫폼에 원활히 통합할 수 있다. ATA6571RT는 기존 CAN의 1Mbps 대역폭 한계를 극복하고, 프레임당 최대 64바이트의 페이로드를 처리할 수 있어 통신 효율성을 높이고 버스 부하를 줄인다. CRC(주기적 이중화 검사) 기반의 향상된 오류 감지 기능을 통해 안전성이 중요한(security-critical) 애플리케이션에서 통신 신뢰성을 강화했다. 이 트랜시버는 위성 추진 시스템 제어, 로보틱스, 나노위성 온보드 컴퓨터, 센서 네트워크 등 다양한 우주 시스템에서 활용 가능하다. 또한 기존 상용 플라스틱 및 세라믹 패키지와 동일한 핀 배열을 지원해 설계 변경 없이 적용할 수 있어 개발 편의성이 높다. ATA6571RT는 단일 이벤트 효과(SEE)와 총 이온화 선량(TID)에 대한 내성을 갖춰 방사선이 강한 우주 환경에서도
산업 자동화 시스템 개발자들은 더 이상 프로세스 동기화를 위해 독점 솔루션에 의존하지 않고 표준형 솔루션으로 전환해 호환성 확대와 설계 비용 절감을 모색하고 있다.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이하 마이크로칩)는 핵심 프로세스 동기화를 위해 정밀 타이밍 프로토콜(PTP)용 IEEE 1588v2 표준을 준수하는 LAN8840 및 LAN8841 기가비트 이더넷 트랜시버 디바이스를 공개했다. LAN8840/41 이더넷 디바이스는 리눅스 드라이버를 기반으로, 10BASE-T, 10BASE-Te, 100BASE-TX 및 1000BASE-T를 포함해 이더넷 속도에 다양한 옵션을 제공한다. LAN8840/41 디바이스는 다양한 구성요소 간의 네트워크 대기시간을 결정하고 이를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의 시간과 동기화하는 고속 타임 스템프 기능을 통해 패킷 우선 순위의 중요도 지정을 보다 쉽게 한다. 이러한 기능은 로보틱스, 분산 센서, 냉각 및 혼합 시스템과 같이 정밀한 제어 생산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프로세스 자동화 애플리케이션에서 특히 중요하다. 강력한 애플리케이션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LAN8840/41 디바이스는 섭씨 영하 40도부터 영상 105도까지 동작 가능한 산업용 온도
COM2 및 COM3 모드에서 IO-Link 지원 표준 SIO 통신 지원 [헬로티 = 김동원 기자]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보다 유연하게 IO-Link를 연결하는 트랜시버 L6364를 출시했다. 이 트랜시버는 DC/DC 컨버터 및 듀얼 모드 UART 외에도, 출력을 두 배로 구성해 구동 강도를 강화할 수 있는 이중 통신 채널을 갖추고 있다. ▲ ST가 보다 유연하게 IO-Link를 연결하는 트랜시버 L6364를 출시했다. (사진 :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L6364는 COM2(38.4kbaud) 및 COM3(230.4kbaud) 모드에서 IO-Link를 지원하고, 표준 SIO(Single-Input/Output) 통신도 지원한다. IO-Link CQ 핀과 표준 DIO 핀으로 구성된 이중 출력은 각각 서지 펄스 및 역극성 보호기능을 제공한다. 최대 구동 강도는 최대 250mA까지 프로그래밍할 수 있으며, 두 채널을 병렬로 연결하면 최대 500mA까지 공급이 가능하다. SPI 포트는 진단 보고용으로 추가 인터럽트 핀을 사용하여 L6364를 호스트 마이크로컨트롤러(MCU)에 연결한다. UART를 통하거나 단일 바이트 또는 다중 바이트(SPI) 모드
[헬로티] 아나로그디바이스(ADI)는 광범위한 상용 및 군용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새로운 RF 트랜시버 시리즈의 첫번째 제품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ADI의 새로운 고성능 ADRV9002 RF 트랜시버는 응급 통신, 사설 LTE 망, 위성 통신 같이 미션 크리티컬 하고 크기와 무게, 전력소모가 시스템 설계의 핵심 고려 사항인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이다. 이 RF 트랜시버는 수상 경력을 자랑하는 ADI의 RadioVerse 설계 및 에코시스템에 새롭게 추가됐다. ADI 무선 통신 사업부를 총괄하는 조 배리(Joe Barry) 부사장은 “미션 크리티컬한 통신망은 우리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며, “해당 무선 스펙트럼의 사용자가 점점 많아질수록 이들 네트워크가 복잡한 신호들을 복호화하기는 더욱 어렵다. ADRV9002 RF 트랜시버는 이처럼 과밀한 스펙트럼에서도 신호의 정확한 복호화가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가 광범위한 상용 및 군용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전력 소모와 성능의 조절이 가능한 무선 플랫폼을 개발할 수 있게 해준다”고 말했다. ADRV9002 RF 트랜시버는 단일 디바이스로 동급 최고 수준의 동적
[헬로티] ADI의 ‘RF 트랜시버’와 인텔의 ‘Arria 10FPGA’ 기술 결합 아나로그디바이스(ADI)는 5G 네트워크를 보다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유연한 무선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해 인텔(Intel Corporation)과 협력한다고 발표했다. 새로운 무선 플랫폼은 ADI의 첨단 RF 트랜시버 기술과 인텔의 고성능 저전력 Arria 10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의 결합을 통해, 개발자가 최적화된 5G 솔루션을 보다 쉽게 구현할 수 있게 해주는 새로운 설계 툴 세트를 제공한다. 비즈니스 거래가 갈수록 디지털 기반으로 전환하고, 데이터를 어디에서나 소비 및 전송하는 사람들이 늘어남에 따라, 통신 시장은 대역폭과 지연 이슈에 대한 압박에 대응하기 위해 분주한 모습이다. 이미 설치된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사설망과 공중망 양쪽 모두에서 트래픽이 엄청나게 증가하고 있다. 그 결과, 무선 사업자들은 5G 네트워크의 용량, 성능,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솔루션의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비용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공개 표준과 기존 통신
[첨단 헬로티]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가 2.5kV 절연형 RS-485/RS-422 모듈 트랜시버 ‘MAXM22511’을 출시했다. MAXM22511은 공장 자동화, 모터 제어, 기타 산업용 사물인터넷(IoT) 애플리케이션에 알맞게 필드 버스(field bus) 통신 설계를 대폭 줄이고 단순화한다. 완전한 산업 융합에는 자동화된 공장에 자가 진단을 내리고 자율적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인텔리전스가 요구된다. 실시간 상태와 상황 정보를 적극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전달하기 위해 잡음이 심한 산업 환경에서도 작업을 지원하면서 엄격한 크기 및 전력 효율 요구조건을 충족하는 필드 버스 통신 시스템이 필요하다. 절연 통신 집적회로(IC) 제품군 중 첫 번째 제품인 MAXM22511은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면서 필드 버스 통신 시스템 설계를 간소화한다. MAXM22511은 디지털 절연기, 트랜시버(transceiver), 트랜스포머, 트랜스포머 드라이버가 모두 포함돼 부품(BOM) 비용을 낮추고 설계를 단순화시키는 고집적 모듈이다. MAXM22511은 25Mbps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고 60% DC-DC 효율과 +/-35kV 정전기방전(ESD)
[첨단 헬로티] 아나로그디바이스(ADI)는 기존 UTP 케이블과 비차폐 커넥터를 통해 HD(high-definition) 비디오 전송이 가능한 트랜시버 제품군을 발표했다. 이로써 OEM들은 기존 저해상도 카메라에서 HD 카메라로 손쉽게 업그레이드하고, 오늘날의 차량용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탁월한 해상도와 이미지 품질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새로운 ADV7990/ADV7991 트랜스미터, ADV7380/ADV7381 리시버는 ADI의 차량용 카메라 버스(C2B™) 기술을 기반으로 차량내 케이블 하네스의 무게와 크기, 비용을 크게 줄여줄 뿐 아니라, 다른 자동차용 링크 솔루션에 비해 케이블 배선 상의 제약도 완화해준다. C2B 트랜시버는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용으로 특별히 설계된 제품이다. 이는 차폐되지 않은 인프라에서도 최고의 화질을 지원할 뿐 아니라 EMC, EMI, ESD 강건성에 대한 엄격한 의무규정들을 완벽하게 준수하는 온칩 EMC/EMI 완화 기술들도 채택하고 있음을 뜻한다. 이 런 케이블 보상 설계는 최대 30m의 전송범위 내에 인라인 커넥터를 여러 개 구성하여 최대 2메가픽셀의 30 프레임 또는 1메가픽셀의 60 프레임 해상도를
[첨단 헬로티]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이하 맥심)가 RS-485 트랜시버(transceiver) 신제품인 ‘MAX22500E’, ‘MAX22501E’, ‘MAX22502E’을 출시했다. 이 새로운 시리즈는 데이터 전송률을 두 배 높이는 동시에 케이블 수용 거리를 최대 50% 연장시킨다. ▲맥심 RS-485 트랜시버 블록 다이어그램 MAX22500E/MAX22501E(반이중∙half-duplex)와 MAX22502E(전이중∙full-duplex) ESD(Electrostatic Discharge) 보호 RS-485/RS-422 트랜시버는 50미터 구간에서 100Mbps(100미터는 50Mbps) 최대 속도를 지원한다. 다양한 모션 컨트롤 애플리케이션용 케이블을 통해 100Mbps 업계 초고속 데이터 전송률을 제공하고, 정확하고 경제적이며 견고한 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 한다. MAX22500E, MAX22502E에서 설정 가능한 프리엠파시스(pre-emphasis) 기능은 경쟁사 대비 2배 높은 데이터 전송률로 인코더 해상도를 높이고 지연(latency)을 줄여준다. 이 기
[첨단 헬로티] 신호 처리 애플리케이션용 고성능 반도체 분야 글로벌 기업인 아나로그디바이스는 산업 자동화, 모터 제어, 방위 및 항공 전자 등 혹독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50Mbps급 RS-485/RS-422 트랜시버 신제품 2종을 출시했다. ADM3065E 및 ADM3066E 트랜시버는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소형 패키지에 IEC6100-4-2 레벨 4 ESD 보호, 고속 데이터 통신, 1.8 VIO 로직 서플라이(ADM3066E)를 제공하며 다양한 산업용 온도 범위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유연한 설계가 가능하며, 구현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표준 RS-485 통신 링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시스템 레벨 IEC ESD 위협은 HBM(인체모형) ESD와 비교해 방전의 최대 전류 및 전압이 높다. ADM306xE의 IEC ESD 등급 보호 기능은 산업 환경에서의 작동을 원하는 고객사들에게 강력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ADM306xE 트랜시버 시리즈는 리시버 페일세이프(Failsafe)가 적용되어 있어 배선 오류와 같이 실제 환경에서 발생해 개방이나 단락을 야기하는 고장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리시버 페일세이프 기능은 데이터 버스
키사이트코리아(지사장 윤덕권)가 4-슬롯으로 벡터 신호 생성 및 분석 기능을 제공하는 완벽하게 교정된 VXT PXIe 벡터 트랜시버를 출시했다. 빨라진 측정 속도와 수준 높은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VXT는 특히 무선 부품 및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 제조 테스트를 위한 신속한 솔루션 구축과 빠른 처리 능력을 목표로 설계되었다. 시스템 개발자들은 VXT의 레디투런(ready-to-run) 소프트웨어와 빨라진 FPGA 측정을 통해 전력 증폭기(PA) 및 프론트 엔드 모듈(FEM)용 테스트 솔루션을 쉽게 만들 수 있다. 키사이트는 프로그래밍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검증된 시스템 구성 및 PA와 FEM 테스트용 소프트웨어 루틴 예제를 포함하는 오픈소스 PA 레퍼런스 솔루션(Reference Solution)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기능은 범용 장비에 비해 측정 시간을 단축하고 장비 개발 수고를 덜어준다. 테스트 처리량을 높이기 위해 VXT에는 신호 전력 및 인접 채널 전력비(ACPR)의 고속 측정을 가능케 하는 실시간 FFTs와 같은 기능이 포함된다. 내장 서보 루틴이 PA 출력 레벨의 정확하고 최적화된 최종 세팅에 신속히 도달하여 빠른 자동화 테스트를 가능하도
리니어 테크놀로지 코리아(대표 홍사곽)는 소형 20mm2 패키지의 RS485/RS232 멀티 프로토콜 트랜시버(제품명: LTC2873)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LTC2873은 현재 이용할 수 있는 가장 컴팩트한 멀티프로토콜 IC를 제공하기 위해 필수적인 모든 기능을 통합했다. ±26kV HBM ESD 버스 보호 기능을 지원하는 LTC2873은 3V ~ 5.5V 시스템을 위해 소프트웨어 선택이 가능한 강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1.7V만큼 낮은 전압을 지원하는 단일 로직 인터페이스는 하나의 RS232 단일 종단형 트랜시버 또는 반이중방식(half-duplex) RS485 차동 트랜시버 하나로 공유 버스 라인을 구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통합형 DC/DC 부스트 컨트롤러 및 핀 컨트롤러 RS485 통합 단말 저항은 비싸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외부 회로에 대한 필요성을 없애준다. LTC2873 과 같은 다중프로토콜 트랜시버는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표준을 지원할 때 단일 PoS 단말기, 보안 카메라, 트래픽 제어 및 산업 자동화에서 유연하고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LTC2873은 상업용, 산업용, 자동차 버전으로 공급되며, 0°C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프로덕트 코리아(대표 김현식)는 트랜지스터 아웃라인(TO)-can을 지원하는 SFP28 트랜시버 집적회로(IC)를 양산키로 했다. 맥심 SFP28 트랜시버를 적용하면 데이터센터 및 무선 프론트홀(Fronthaul) 애플리케이션용 모듈 제조사는 TOSA(Transmit Optical Subassembly) 내에 드라이버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민감한 레이저를 열로부터 보호하고 생산 과정을 단순화해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 맥심 SFP28 트랜시버는 저렴한 TO-can 기반 광학(Optics)을 이용할 수 있는 첨단 디지털 아이 튜닝(Digital Eye Tuning) 기능을 지원한다. SFP28 모듈은 TO 광학, 단일의 트랜시버 IC와 컨트롤러 IC를 사용함으로써 SFP+ 모듈과 같은 방식으로 간단히 설계 가능하다. 데이터센터 및 무선 프론트홀 애플리케이션용 SFP28 광학 모듈은 기존 SFP+ 모듈 보다 저렴한 가격에 높은 성능, 저전력, 폭넓은 온도 동작 범위를 지원해야 하며, 이 같은 조건에 부합되는 맥심의 28.1Gbps 저전력 트랜시버 IC는 송신 경로에 CDR(클럭ㆍ데이터 복원 회로)와 레이저 드라이버를, 수신 경로에 고
온세미컨덕터가 KNX 인증을 받은 이중 와선 트랜시버 3종을 선보였다. 이 소자들은 빌딩 시스템 내부의 작고 저렴한 외부 부품들과 함께 설치되어 레귤레이터 전류를 늘려주며 전반적인 효율을 기존 솔루션보다 최대 20% 높일 수 있다. 온세미컨덕터의 라이언 카메론(Ryan Cameron) 산업용 타이밍 제품 담당 부사장은 “당사가 출시한 신형 트랜시버 3종은 세계에서 가장 많이 채택되는 건물 자동화 표준을 지원하며 설계자들에게 더욱 저렴하면서도 기능성과 효율성이 향상된 제품을 만들도록 한다. 건물은 전 세계 에너지 소비의 약 40%를 차지하므로 보다 스마트한 건물 조성은 환경 보존과 에너지 보안의 열쇠”라고 설명했다. NCN5110, NCN5121 및 NCN5130은 버스로부터 외부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고효율 DC-DC 컨버터와 낮은 drop-out 레귤레이터를 집적시켰다. 이 소자는 QFN-40 패키지로 제공되며 -40°C ~ 105°C의 확장된 온도 범위에서 작동된다. NCN5121과 NCN5130은 완벽한 KNX 물리층과MAC 층을 제공하며 NCN5110은 KNX MAC을 호스팅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접목되어
온세미컨덕터가 KNX 인증을 받은 이중 와선 트랜시버 3종을 선보였다. 이 소자들은 빌딩 시스템 내부의 작고 저렴한 외부 부품들과 함께 설치되어 레귤레이터 전류를 늘려주며 전반적인 효율을 기존 솔루션보다 최대 20% 높일 수 있다. 온세미컨덕터의 라이언 카메론(Ryan Cameron) 산업용 타이밍 제품 담당 부사장은 “당사가 출시한 신형 트랜시버 3종은 세계에서 가장 많이 채택되는 건물 자동화 표준을 지원하며 설계자들에게 더욱 저렴하면서도 기능성과 효율성이 향상된 제품을 만들도록 한다. 건물은 전 세계 에너지 소비의 약 40%를 차지하므로 보다 스마트한 건물 조성은 환경 보존과 에너지 보안의 열쇠”라고 설명했다. NCN5110, NCN5121 및 NCN5130은 버스로부터 외부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고효율 DC-DC 컨버터와 낮은 drop-out 레귤레이터를 집적시켰다. 이 소자는 QFN-40 패키지로 제공되며 -40°C ~ 105°C의 확장된 온도 범위에서 작동된다. NCN5121과 NCN5130은 완벽한 KNX 물리층과MAC 층을 제공하며 NCN5110은 KNX MAC을 호스팅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접목되어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업계 최초로 MOST150 동축 트랜시버 제품을 출시했다. OS82150는 최신MOST150 표준을 기반으로 동축 케이블의 활용 범위를 오토모티브 인포테인먼트 네트워크로까지 확대했다. OS82150은 소형 풋프린트 4mm×4mm QFN 패키지로 제공되며 동축 케이블 드라이버와 동축 케이블 리시버를 통합하고 있다. 마이크로칩 오토모티브 인포메이션 시스템 사업부 댄 터머(Dan Termer) 부사장은 "OS82150 동축 트랜시버 제품을 추가함으로써 마이크로칩의 MOST150 네트워크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게 됐다"며 "이 제품은 고객들이 효율적인 인포테인먼트 네트워크를 구현할 수있도록 흥미로운 새로운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광케이블에서 동축 케이블로 편리하게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MOST150 기술에 대한 기존의 투자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OS82150은 시스템 안에서 간편하게 통합이 가능하며 총 시스템 비용을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간단한 솔루션은 오늘날 내비게이션 유닛, 안테나 모듈, 증폭기, 튜너, 블루레이™ 플레이어, 후방 좌석 엔터테인먼트, 계기반 클러스터, 헤드 유닛 디스플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