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 계측은 선박의 안전(Safety) 언어다. 다호트로닉은 올해 제24회 국제조선·해양산업전(KORMARINE 2025)에서 압력·온도 계측기 풀라인업을 전면에 배치했다. 관계자는 “센서부터 게이지까지 신뢰로 연결된 계측 생태계를 선보였다”고 말했다. KORMARINE 2025는 이달 21일부터 24일까지 부산 해운대구 소재 전시장 벡스코에서 열렸다. 해당 전시회는 1980년 첫 회 이후 격년으로 이어온 대표 조선·해양 비즈니스 플랫폼이다. 올해는 산업통상자원부·부산광역시·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KOSHIPA)·한국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KOMEA)·RX K. Fairs·벡스코가 공동 주최·주관했다. 전시장에는 전 세계 40개국 소재 약 1000개 업체가 2100개 부스를 꾸렸다. 이번 전시회는 ‘연료·전력·데이터’ 전환을 실행 가능한 솔루션 중심으로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췄다. 다호트로닉은 조선·플랜트·화학 분야를 아우르는 계측 기술 업체로, 이번 부스에는 실제 운용 환경을 재현한 압력 트랜스미터, 기계식 압력 게이지, 온도 트랜스미터 등이 전시됐다. 이 가운데 스테인리스 하우징과 다이어프램 구조를 적용한 압력 트랜스미터는 4~20mA 표준 아날로그 출력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에이치에스테크 주식회사가 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에이치에스테크(대표 김석도)는 환경센서 전문업체인 핀란드 VAISALA社의 한국 공식 대리점이다. 이번 SF+AW 2021에서 온습도트랜스미터, 노점트랜스미터, COW센서, H2O2 센서 등을 선보인다. 핀란드 VAISALA社는 세계 최초로 Polymer sensor를 개발했다. 약 40년 동안 꾸준히 제품을 개발하며 기술력을 증명하고 있으며,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일 온습도 트랜스미터는 모델에 따라 최대 최대 ±0.8%RH까지의 정확도를 자랑한다. 노점 트랜스미터 또한 꾸준한 개발을 통해 기술력을 증명하고 있으며 모델에 따라 최대 최대 ±2℃ Td까지의 정확도를 보인다. VAISALA의 센서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하며, 정확성과 안정성을 자랑한다. 에이치에스테크는 VAISALA 센서에 대한 기술지원, 판매, AS를 진행한다. 또한 제어기기 및 시스템 전문 업체로 미래의 산업제어 및 빌딩제어문화를 리
[첨단 헬로티] 글로벌 산업자동화 계기·솔루션 전문기업 엔드레스하우저가 설치 공간이 제한적이어도 손쉽게 설치 가능한 트랜스미터 ‘Liquiline Compact CM82’를 선보였다. Liquiline Compact CM82는 하우징이 매우 콤팩트해 측정 센서와 함께 대부분의 엔드레스하우저 어셈블리와 호환 가능하며, 크기는 작지만 최신 트랜스미터 기술이 집약된 수질 분석 센서용 트랜스미터다. ▲ 제한적인 설치 공간에 최적화된 트랜스미터 ‘Liquiline Compact CM82’ 콤팩트한 사이즈로 인해 설치 공간이 제한적일 때 특히 이상적인데, 루프-구동식(loop-powered) 2선식 장치로서 전원 공급 장치 역할을 하는 PLC에 직접 연결할 수 있어 별도의 외부 전원 케이블이 필요치 않을 뿐 아니라, 센서가 트랜스미터에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센서 연결을 위한 케이블도 필요치 않다. 결과적으로 설치를 위해 요구되는 물리적인 공간이 매우 작으며, 배선에 소요되는 노력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제품이다. 엔드레스하우저의 앱 ‘SmartBlue’를 사용해 iOS나 안드로이드 장치
[첨단 헬로티] 산업용 컨트롤러 및 센서 전문기업, ㈜두텍은 오는 3월 12일(화)부터 15일(금) 킨텍스 전시장에서 열리는 HVAC&R 냉난방공조전문전시회 '제15회 한국국제냉난방공조전_HARFKO 하프코 2019)'에 참가해 냉동공조설비용 컨트롤러 및 온도/습도/압력 트랜스미터 등 다양한 제품군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새롭게 선보이는 신제품 초소형 디지털 온도 조절기 FX7SE 시리즈는 기존 제품 대비 패널이 더욱 콤팩트해졌고 협소한 패널 내부에도 장착이 가능하다. 전면부 IP65의 보호구조로 습하거나 분진(먼지)이 많은 환경에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RS485 통신 기능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표시 ℃ 또는 ℉에 따라 주문할 수 있어 한층 업그레이드된 성능과 경제적인 가격을 실현했다. 전원사양은 200 - 230Vac, 50/60Hz로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하며, 사용 환경에 따라 릴레이(250Vac / 5A, 16A) 출력 용량을 선택할 수 있다. 센서 에러감지 및 보정 기능이 있으며, 센서 이상, 저온/고온 알람 시 부저 기능이 내장되어 부저음 설정도 가능하다. 칠러 컨트롤러 CX9230 시리즈는 두텍의 냉동 제어 기술력이 집약
[첨단 헬로티] 산업용 컨트롤러 및 센서 전문 기업 두텍이 3월 28일부터 3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국내 최대 산업 자동화·스마트공장 전문 전시회에서 다양한 센서와 제어장치를 선보였다. 두텍이 이번 전시회에서 ▲방폭형 온습도 트랜스미터 ▲매립형 차압, 온도, 습도, 노점 트랜스미터(일체형) ▲공조용 온습도 트랜스미터 ▲IOT 모듈 ▲기울기 센서 등 신제품 3종을 포함한 총 13종의 센서와 다양한 제어장치를 출품했다. 특히 그간의 스테디셀러 제품뿐만 아니라 최근 개발된 신제품들도 다수 출품해 관람객들의 관심을 끌었다. 출품 예정 제품 중 '매립형 차압 트랜스미터(DP1000)'는 합리적인 가격과 4-Dight FND 디스플레이로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하게 시각화할 수 있다는게 가장 큰 장점이다. 또한, 디지털 알람 및 아날로그 출력이 가능하며 전면 판넬이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되어있어 세련된 느낌을 더했다. 이와 함께 두텍의 주요 생산 품목 중 하나인 ‘방폭형 온습도 트랜스미터(HTX500)’는 최대 방폭 지역 내 -40∼180℃의 프로세스 온도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HTX500 시리즈는 영국
[첨단 헬로티]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이하 맥심)가 초저전력 고집적 4-20mA 센서 트랜스미터 ‘MAX12900’을 출시했다. 시스템 설계자는 MAX12900을 활용해 정밀도 높은 저전력 소형 산업 자동화 제품을 설계할 수 있다. MAX12900은 산업 자동화와 공정 제어, 루프 전원 방식의 4-20mA 전류 트랜스미터, 원격 계측 장비, 스마트 센서에 적합한 솔루션이다. 더욱 진화된 4-20mA 센서 트랜스미터 개발을 위해 시스템 설계자는 광범위한 온도 조건에서 측정 정밀도를 높이고 소형 인클로저(encloser)에 적합하게 크기를 축소해야 한다. ▲맥심 MAX12900 블록 다이어그램 센서 출력은 최대 4mA인 전체 센서 트랜스미터 시스템의 엄격한 전류 설계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MAX12900은 기존 솔루션에 비해 최대 3.5배 낮은 10ppm/°C 전압 레퍼런스 온도 드리프트(drift)와 최대 0.01% 선형성으로 시스템 정밀성을 높인다. 5mmx5mm 패키지 크기의 소형 풋프린트(footprint)에 10개의 블럭이 통합돼 기존 4-20mA 센서 트랜스미터 대비 공간을 20~50% 획기적으로 줄여준다. 내장된
금산엠엔이는 3월 29일부터 31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Automation World 2017에 참가하여 각종 선진 기술이 접목된 최신 제품을 전시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캠스위치, 압력/온도 스위치 및 트랜스미터, 산업 철도용 릴레이, 모니터링 릴레이, 푸쉬버튼 및 파일럿 라이트, 릴레이 모듈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였다. 금산엠엔이는 1986년 창업 이래 30여년간 산업용 스위치, 릴레이, 일렉트릭 컴포넌트 분야에서 리딩 솔루션을 제공하며 안정적인 인프라 구축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 오고 있다. Kraus & Naimer(오스트리아), Mors Smith(네덜란드), United Electric(미국) 등 전세계 유수 기업과의 협력관계를 통해 선진 기술이 접목된 제품군을 국내 고객들에게 공급하며, A/S를 하고 있다. (주)첨단, 코엑스,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공동 주최로 3월 29일부터 3일간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오토메이션 월드 2017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으로 구성된다. 올해는 스마트공장 관련 융합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스마트공장엑스포 2017’도 동시
산업용 환경계측장비 전문 업체 ㈜두텍(대표: 최득남)이 공조용 온습도 트랜스미터에 RS485 통신 기능을 접목한 HTX75C 시리즈를 개발해 3월 내 양산할 예정이다. 두텍의 센서 및 트랜스미터 제품군 HUMITRON HTX75C는 일반적인 공조 환경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형태의 고정밀 온습도 트랜스미터이다. 이 제품의 가장 큰 특징은 각종 산업 현장에서 장비 간 네트워크 구성에 널리 활용되는 RS485/Modbus RTU 통신 기능을 갖췄다는 것이다. 기존 경제성을 강조한 제품들의 경우 전류나 전압 출력 기능을 갖춘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상위 단 기기와의 네트워크 및 PC 모니터링 등을 구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반면 HTX75C 시리즈는 베이스 모델인 자사의 HTX7 시리즈의 경제성을 그대로 살리면서 RS485/Modbus RTU 통신 기능을 접목해 통신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현장 내 활용성을 극대화했다는 점에서 주목할만하다. 더불어 본 시리즈는 기본 성능면에서도 많은 강점과 경제성을 두루 갖췄다. 가장 중요한 센서에는 박막 폴리머 방식 센서를 적용해 정밀도와 안정성을 높였으며, 견고한 플라스틱 재질의 방수형 케이스를 적용해 다습한 공간
리니어 테크놀로지 코리아(대표 홍사곽)는 무선 충전 시장을 겨냥해 무선 리시버 IC를 보완하는 무선 전력 트랜스미터(제품명: LTC4125)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LTC4125는 간단한 고성능의 모놀리식 풀 브리지 공진 드라이버로, 동급인 컴패니언 리시버에 최대 5W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제품은 전송 회로, 전송 코일, 수신 코일 및 수신 회로로 구성된 통합적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송 회로 부품으로 기능을 수행한다. LTC4125 무선 전력 트랜스미터는 3가지의 핵심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기본적인 트랜스미터 성능을 향상시킨다. 첫 번째는 사용 가능한 리시버 전력을 극대화하는 AutoResonant™ 기능이다. 둘째는 전체 무선 전력 시스템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최적의 전력 탐색 알고리즘이다. 마지막으로, 동작중 전도성의 외부 물체가 있을 때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동작을 보장하는 FOD(Foreign Object Detection) 기능이다. LTC4125는 LC 네트워크 공진 주파수(resonant frequency)와 일치하는 구동 주파수를 자동으로 조정한다. 자동공진(AutoResonant) 스위칭 기능을 통해 이 디바
9와이어 인터페이스에서 최대 17.1Gb/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갖춘 C-PHY는 픽셀 수가 많은 센서에 요구되는 성능과 낮은 전력 소비량을 제공한다. C-PHY 트랜스미터 테스트를 위한 솔루션을 사용하면 엔지니어는 제품 개발 단계의 초기에 문제를 감지하고 트랜스미터 디바이스의 성능과 상호운용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솔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