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LG디스플레이가 국내·외 소재/부품 주요 협력사들과 미래기술 개발에 대한 협력을 통해 상호 신뢰를 강화키로 했다. LG디스플레이는 머크, UDC, 동진쎄미켐 등 디스플레이 소재 및 부품 각 분야에서 국내·외 주요 협력사 23개사를 초청, 10월 12일부터 15일까지 '2021 테크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로 10회째를 맞이한 2021 테크포럼에서 LG디스플레이는 코로나 이후 디스플레이의 변화와 진화, 제품 경쟁력 확보와 기술 혁신을 위한 R&D 전략과 비전 등을 소통하고 함께 성공할 수 있는 Win-Win 체계를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대형 OLED 및 P-OLED 중장기 기술 로드맵, 미래 디스플레이 R&D 전략 등을 공유하며 주요 협력사와 미래핵심기술 관련 파트너십을 더욱 공고히 추진키로 했다. 이번 테크포럼은 코로나로 인해 온택트(on-tact) 방식으로 실시되며, 테크포럼 기간 중 ‘테크포럼 웹진’을 발행, 시장 및 R&D 방향성 강연, 사전 질의응답 등을 운영해 주요 협력사들의 글로벌 제조경쟁력 강화에 도움을 제공한다. LG디스플레이 CTO 윤수영 전무는 이날 테크포럼에서 “한계를 뛰어넘는 기
[헬로티] LG디스플레이(대표이사 사장 정호영)가 협력사와 함께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한 미래 신기술 발굴 및 전략적 협력 강화에 나선다. LG디스플레이는 정호영 사장과 강인병 부사장(CTO)이 참석한 가운데 머크(Merck), 듀폰(Dupont) 등 디스플레이 소재 및 부품 각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국내외 협력사 20개사를 초청, 온라인 화상회의로 '2020 테크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산업 구조의 변화 및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가속화 등으로 디스플레이 업계는 롤러블, 투명 등 새로운 폼팩터 개발 경쟁이 심화 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소재, 부품 협력사들과의 전략적 협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올해로 9회째를 맞이한 2020 테크포럼에서 LG디스플레이는 ▲최근 디스플레이 시장 동향 분석, ▲미래 신기술 개발 방향,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For R&D 등 ‘디스플레이의 다양화가 가져올 미래 생활의 변화’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고 주요 소재/부품 협력사와 신기술 발굴에 관한 전략을 상호 소통했으며, 모두 함께 성공할 수 있는 전략적인 협력 체계 구축을 다짐했다. 아울러 최근 미래 디스플
[첨단 헬로티] 테크포럼이 2월 26일(수)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 2층 루비홀에서 ‘차세대 자동차를 위한 전장부품 열관리 기술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세계 자동차 전장부품 시장 규모가 급성장함에 따라 자동차에서 전장부품이 차지하는 원가 비중도 크게 성장하고 있다. 차세대 자동차는 전장부품들 간의 연결성을 기반으로 한 전자화가 특징이다. 오작동 및 신호 품질 저하를 막기 위한 열관리, 차폐/흡수 소재 등이 차세대 자동차 안정성에 중요한 기술요소로 자리 잡게 되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개발 및 상용화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자동차 전장부품 열관리 분야는 효과적인 방열 소재/부품, 점접착기술, 냉각해석 및 냉각솔루션 등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면서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차세대 전장부품의 방열 이슈 대응을 위한 고기능성 점접착 기술개발 동향 ▲전장부품용 고방열 냉각해석 기술과 부품별 적용방안 ▲차세대 자동차용 방열/차폐 복합소재 기술 개발과 주요 이슈 및 적용사례 ▲EV & 5G 분야의 Thermal Solution ▲수소, 전기, 자율주행차 전장부품용 고방열/내열
[첨단 헬로티] 테크포럼 이달 30일, 한국기술센터 16층 국제회의실에서 '차세대 반도체 기술이슈 및 최신동향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 세미나에서는 ▲대일 무역이슈 대응 방안 및 차세대 반도체 핵심 소재부품 발전 전략 ▲2020년 반도체 시장 전망 ▲엣지컴퓨팅 반도체와 IoT 반도체 기술의 융합 ▲자율주행차 비전용 SoC 핵심 기술과 업체별 개발 방향 ▲전력(파워)반도체 소자별 기술 및 상용화 동향과 국내,외 기술경쟁력 분석 ▲차세대 전력반도체를 이용한 초고효율 고전력밀도 전력변환장치 기술개발 동향과 연구사례 등 다양한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반도체 수요가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등 차세대 디바이스에서 전산업으로 확산되면서 시스템반도체, 전력(파워)반도체의 수요가 대폭 증가하고 있다, 인공지능(AI), 로봇, 사물인터넷(IoT), 스마트팩토리, 전기자동차, 신재생에너지(태양에너지, 풍력에너지) 등에 이르기까지 수요가 급증하면서 활용 범위가 크게 확대되어 중요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테크포럼 관계자는 ‘시스템반도체, 전력(파워)반도체 등 차세대 반도체 분야 전문 기관과 기업이 참여하는 본 세미나를 통해 차세대 반도체 핵
[첨단 헬로티] 에너지 전환시대, 수소경제 로드맵과 수소에너지 분야별 핵심기술 및 상용화 전략 테크포럼은 7월 19일(금) 한국기술센터 16층 국제회의실에서 '수소에너지 신산업 활성화를 위한 연관산업 개발방향과 상용화 세미나' 를 개최한다. 수소산업은 생산, 발전, 수송, 산업, 건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감축 목표치의 40%인 1억 5,000만 톤의 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다. 이뿐 아니라 석유 수입 의존도를 낮추며 재생에너지 기반으로 생산된 전력을 대량으로 저장 및 운송함으로써 국내를 포함하여 다양한 국가에서 저비용 수소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차세대 유망 성장동력 산업으로 각광 받고 있다. 최근 정부도 수소에너지 시장 확대를 위한 중요한 정책 발표들을 통해 강력한 의지를 표명하고 있고 수소경제 도약을 위한 글로벌 협력도 강화하고 있다. 2050년까지 수소와 관련된 산업 분야에서 연간 2조 5,000억 달러의 시장가치 유발효과 및 3,000만개 이상의 일자리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했다. 본 세미나에서는 수소경제 로드맵과 수소에너지 분야별 연관산업 핵심기술, 개발방향 및 상용화 전략에 대한 주제로 에너지 전환과 수소경제 로드맵, 수
[첨단 헬로티] 고기능·다기능 점접착, 코팅 소재 핵심기술과 분야별 기술동향 및 상용화 방안 최신 기술 및 성장산업 관련 정보와 소통의 장을 제공하는 테크포럼은 3월 28일(목) 한국기술센터 16층 국제회의실에서 '고기능·다기능 점접착, 코팅 기술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전자소재, LED, 차세대 디스플레이, 나노카본, UV경화, 반도체 및 차세대 융합기술을 위한 고기능/다기능 점접착, 코팅 핵심기술 적용방안 및 기술동향에 대한 주제를 다룬다. ▲고기능 코팅소재 국내외 시장 및 최신 기술개발 동향 ▲전자소재용 점첩착/ 코팅 소재 최신 기술 동향 및 주요 이슈 ▲나노 카본 기반 점접착 신소재 산업 현황 및 정부 R&D 지원 전략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위한 점접착 소재의 기술 개발 동향 ▲UV경화형 점접착 소재의 기술 및 시장 동향 ▲LED 및 반도체용 점·접착소재 기술 개발 및 시장 동향과 적용사례 등 다양한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테크포럼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차세대 핵심요소기술로 주목받는 점접착, 코팅 소재기술 동향과 사업화 전략을 수립하는데 실제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보다 자
[첨단 헬로티] 2월 21일 한국기술센터 16층 국제회의실에서 개최 최신 기술 및 성장산업 관련 정보와 소통의 장을 제공하는 테크포럼은 오는 2월 21일(목) 한국기술센터 16층 국제회의실에서 '고효율 전기전자 소재기술 세미나'를 개최한다. 본 세미나에서는 전기전자재료용 고기능성 스마트 패키징 점접착 소재 기술 동향, 전기전자용 페놀, 에폭시 수지 연구 동향, 다기능성 나노탄소 전기전자 소재 기술 개발 현황 및 산업전망, 모바일기기용 고방열 소재/부품 기술동향, OLED 발광 재료 개발 동향 및 향후 전망, 고기능 전기전자용 실리콘 응용 기술 등 다양한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 테크포럼은 오는 21일에 한국기술센터 16층 국제회의실에서 '고효율 전기전자 소재기술 세미나'를 개최한다. 테크포럼 관계자는 "첨단소재 전문 기관과 기업이 참여하는 본 세미나를 통해 유망 핵심요소기술로 주목받는 전기·전자재료용 첨단소재 핵심기술과 분야별 기술동향 및 상용화 방안을 수립하는데 실제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테크포럼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첨단 헬로티] 최신 기술 및 성장산업 관련 정보와 소통의 장을 제공하는 테크포럼이 1월 23일 한국기술센터 16층 국제회의실에서 ‘차세대 성장산업을 위한 카메라모듈 부품/센서 응용분야별 기술 및 최신동향 세미나’를 개최한다.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주목받는 카메라모듈 핵심기술과 분야별 기술동향 및 상용화 방안을 살펴보는 이번 세미나에서는 △2019년 카메라 모듈 시장 전망 △카메라모듈 센서/부품 분야별 연구, 기술 및 최신 동향 △가상/증강현실을 위한 영상 기술 동향 △지능형 카메라 개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영상 처리/인식 기술 동향 △자율주행자동차 기술동향 및 영상시스템 개발 현황 △바이오의료용 생체모사 카메라 및 조명 기술 등 다양한 주제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테크포럼 관계자는 “카메라모듈 및 영상 처리/인식 분야 전문 기관과 기업이 참여하는 본 세미나를 통해 유망 핵심요소기술로 주목받는 차세대 카메라모듈 기술개발동향과 주요과제 및 응용전략을 수립하는 데 실제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첨단 헬로티] 삼성전자가 11월 6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우수 인재들과의 교류를 위해 IT 업계 미래 혁신 기술에 대해 논의하는 ‘테크포럼 2018’을 개최했다. 실리콘밸리 마운틴뷰에 있는 연구소인 삼성 리서치 아메리카(Samsung Research America)에서 열린 제 2회 ‘테크포럼’에는 현지의 개발자와 디자이너 등 총 150여 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삼성전자 경영진으로부터 회사의 비전과 기술에 대해 듣고,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AI, 모바일서비스, 홈 IoT와 클라우드 등의 혁신 기술에 대해 함께 토론했다. 삼성전자에서는 김현석 CE 부문 사장, 노희찬 경영지원실 사장, 데이비드 은 삼성 넥스트 사장 등 각 분야의 책임자들이 참석했다. CE 부문장 겸 삼성 리서치(Samsung Research) 연구소장인 김현석 사장은 새로운 가치의 시작점인 ‘만남’을 주제로 한 기조 연설을 했다. 김사장은 “삼성전자는 매일 특정하기 어려운 수백만의 소비자와의 만남, 빠르게 변화하는 신기술과의 만남, 다양한 개성을 가진 임직원과의 만남 등 세 가지 낯선 만남에 직면하고 있다
[첨단 헬로티] LGD 사업 전략 및 기술 개발 방향 공유 통해 디스플레이 산업 기회 모색 LG디스플레이(대표이사 부회장 한상범)가 급변하는 디스플레이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협력사의 동참을 요청했다. LG디스플레이는 지난 14일 닛산 케미칼(Nissan Chemical), 제이에스알(JSR), 제이엔씨(JNC), 니치아(Nichia), 노바텍(Novatek) 등 디스플레이 소재 및 부품 각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협력사 11개사를 마곡 LG 사이언스파크로 초청해 ‘2018 LG디스플레이 테크포럼(Tech Forum)’을 개최했다. 올해로 7회째를 맞이한 테크포럼은 LG디스플레이가 R&D 분야의 협력사와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 관점에서 미래 신기술 발굴에 관한 의견을 공유하고, 협력을 다짐하는 자리다. 이날 행사에는 LG디스플레이 CEO(Chief Executive Officer, 최고 경영 책임자) 한상범 부회장, CTO(Chief Technology Officer, 최고 기술 책임자) 강인병 부사장, 유관부서 임원들 뿐만 아니라 각 협력사의 대표이사 및 기술전문가들이
[첨단 헬로티] 최신 기술 및 성장산업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테크포럼이 6월 20일 한국기술센터 16층 국제회의실에서 ‘친환경 탄소복합재료 제조, 적용 및 재활용 기술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자동차 전장부품용 다기능성 나노탄소 복합소재 기술 및 시장동향 △CFRP 복합재료 재활용 최신 기술 및 적용사례 △초경량, 고성능 섬유강화복합재료용 소재 및 제조기술 동향 △재활용이 가능한 열경화성 수지 기술 △경량 복합재료용 폴리에스터 소재 △친환경 운송수단용 고기능성 복합소재 적용사례 및 최신 성형기법 등 다양한 주제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테크포럼 관계자는 “복합소재 분야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하는 이번 세미나를 통해 친환경 탄소복합재료 기술개발 및 응용전략을 수립하는 데 실제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고 말했다.
[첨단 헬로티] LG이노텍이 친환경 열전(Thermoelectric) 반도체 기술을 선보이는 공개 포럼을 연다. LG이노텍은 오는 6월 20일 서울시 강서구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전 반도체 테크 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최신 정보를 공유해 열전 반도체 기술 활용을 촉진하고 여러 기업·기관과 협력 기회를 만들어 나가겠다는 취지다. 열전 반도체 기술은 반도체에 전력을 공급해 냉각·가열 기능을 구현하고, 반대로 온도차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혁신 기술이다. 냉매나 열선 없이 간편하게 온도를 제어할 수 있고, 폐열(廢熱)을 회수해 전기에너지로 재활용할 수 있어 환경 친화적이다. 이 기술은 주로 소형 냉장고, 냉온 정수기 등 생활 가전과 차량 공조장치 등에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대형 가전, 의료기기 등의 냉각 장치와 자동차, 선박, 공장의 폐열 발전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LG이노텍 ‘열전 반도체 테크 포럼’의 테마는 ‘열전 기술로 만들어가는 Eco-friendly & Convenient life’다. 완제품의 편의성과 디자인을 혁신하고 친환경 장점을 강화
[첨단 헬로티] 최신 기술 및 성장산업 관련 정보와 소통의 장을 제공하는 테크포럼은 4월 25일 한국기술센터 16층 국제회의실에서 ‘고효율 전기전자 소재기술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에는 차세대 디바이스를 위한 전기전자용 첨단소재 핵심기술과 적용방안 및 기술동향에 대한 주제로 △전기전자용 페놀수지 응용분야 및 최근 기술동향 △고효율 전기전자용 에폭시 수지 △다기능성 전기전자용 나노 탄소소재 산업 현황 △폴리이미드 수지와 최신 연구 동향 △OLED 발광 재료 개발 동향 및 향후 전망 △고기능 전기전자용 실리콘 응용 기술 등 다양한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테크포럼 관계자는 “세미나를 통해 유망 핵심 요소기술로 주목받는 고효율 전기전자용 첨단소재 기술동향과 사업화 전략을 수립하는 데 실제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첨단 헬로티] 테크포럼은 4월 25일(수) 한국기술센터 16층국제회의실에서 '고효율 전기전자 소재기술 세미나' 를 개최한다. 본 세미나에서는 차세대 디바이스를 위한 전기전자용 첨단소재 핵심기술과 적용방안 및 기술동향에 대한 주제로 ▲전기전자용 페놀수지 응용분야와 최근기술동향 ▲고효율 전기전자용 에폭시수지 ▲다기능성 전기전자용 나노 탄소소재 산업 현황 ▲폴리이미드수지와 최신 연구 동향 ▲OLED 발광 재료 개발 동향 및 향후 전망 ▲고기능 전기전자용 실리콘 응용 기술 등 다양한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테크포럼 관계자는 ‘첨단소재 전문 기관과 기업이 참여하는 본 세미나를 통해 유망 핵심요소기술로 주목받는 고효율 전기전자용 첨단소재기술동향과 사업화 전략을 수립하는데 실제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기대된다’ 고 전했다.
[첨단 헬로티] 테크포럼이 1월 24일, 한국기술센터 16층 국제회의실에서 ‘카메라모듈 부품/센서 응용 분야별 기술 및 최신 동향 세미나’를 개최한다. 스마트카, 드론, 로봇, 의료기기, 보안감시, 가상현실 분야 등에 적용되어 첨단 전략부품으로 주목받는 카메라모듈 부품/센서 시장과 기술동향을 살펴보는 이번 세미나에서는 △2018년 카메라모듈 시장전망 △카메라모듈 센서/부품 분야별 연구, 기술 및 최신 동향 △인공지능 기반 차세대 이동체를 위한 카메라 기반 영상 인식 기술 △고해상도 이미지 구현을 위한 픽셀 기술 동향 및 전망 △차세대 CMOS Image Sensor용 OPD 기술개발 동향 △카메라/이미지 기반 VR/AR 기술 및 사용자 인터랙션 응용 등 다양한 주제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테크포럼 관계자는 “세미나를 통해 유망 핵심 요소기술로 주목받는 차세대 카메라모듈 기술개발 동향과 주요 과제 및 응용전략을 수립하는데 실제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