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규모는 지난 10년 동안 지속적으로 증설되어 2015년 기준 전 세계에서 중국에 이어 2위의 위상을 점하고 있으며, 미국 연방 및 지방 정부는 청정에너지 발전원 확대를 위해 다각적인 지원 정책을 시행해오고 있다. 미국의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규모는 지난 10년 동안 지속적으로 증설되어 2015년 기준 전 세계에서 중국에 이어 2위의 위상을 점하고 있으며, 미국 연방 및 지방 정부는 청정에너지 발전원 확대를 위해 다각적인 지원 정책을 시행해 오고 있다. 미국 내 태양광 모듈 연간 생산 규모는 2010년 연간 0.89GW에서 2015년 7.3GW로 크게 확대됐으며, 2016년에는 15GW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의 태양광 PV 모듈 산업(내수 및 수출용)은 2010년 이후 아시아 모듈 제조업체와의 경쟁이 심화되고 실리콘 원료의 가격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모듈 생산과 생산 설비 규모가 점차 축소됐다. 미국의 태양광 PV 모듈 가격은 생산기업의 기술개발 노력 및 원자재 가격에 따라 변동했으며, 2010년부터 2012년 사이에 크게 하락했다. 미 정부는 지난 10년 동안 청정에너지 보급·확대 정책에 기초하여 재생에너지 전원 개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는 기업들이 정부 R&D 지원제도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2015년 12월 18일부터 한층 개선된 ‘R&D 지원제도 모바일 앱’(이하, 모바일 앱) 서비스를 제공한다. 미래부는 ‘우리 기업에 필요한 R&D 지원제도를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면 좋겠다’는 산업계 수요를 반영해 첫 모바일 앱 서비스를 2014년에 시작했으며, 최근에 사용자의 편리성을 제고하고 보다 다양한 지원제도를 담기 위해 서비스를 개선했다. 기업 R&D 활동을 지원하는 미래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기업청 등 19개 부처가 2014년보다 30개 늘어난 152개 제도를 마련했다. 이를 조세, 금융, 출연, 인력, 기술, 인증, 구매지원 등 7개 분야 중심으로 모바일 앱에 수록했다. R&D 조세지원제도 등 2016년도부터 달라지는 내용도 반영했다. R&D 지원을 받고자 하는 기업의 규모에 따라 지원 부처, 신청 시기 등을 검색할 수 있도록 기능을 추가했고, 메인 페이지 디자인과 내부 구성을 새롭게 하여 사용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 모바일 앱 서비스는 스마트폰 기종에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