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에 1차 선적되는 센트롤 3D프린터 장비 'SS600G' [첨단 헬로티] 센트롤은 중국 타이청시에 위치한 블랙드래곤(BLACK DRAGON)사와 산업용 3D프린터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수출 대수는 연간 20대, 수출 규모로는 100억원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블랙드래곤은 독일의 이노캐스트(Innocast)와 중국의 블랙쉽 홀딩스(Black Ship Holdings)가 설립한 스마트 제조 기반의 부품제작회사로,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한 주조 부품과 금형을 BMW, Bosch, Honeywell 등에 납품하고 있다. 센트롤은 2016년 국내 최초로 산업용 3D 프린터의 상용화에 성공한 이래, 유수의 글로벌 기업들과 수출과 기술협약, 공동연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파트너쉽 성과를 이끌어내고 있다. 특히 이번 중국 수출은 지난 9월 블랙드래곤사와 전략적 제휴 협약을 맺은 후 3개월만에 회사의 기술력을 인정받아 만들어낸 성과이다. 2018년 말까지 주물사와 금속분말을 소재로 하는 PBF와 Binder Jet 산업용 3D 프린터 20대를 수출할 예정이며, 1차로 금속분말, RCS주물사 및 바인더젯 장비 3대를 12월 중에 선적한다. 한편, 센트롤은 블랙
[헬로티] 센트롤이 금속 3D프린터 신제품 ‘SM350’을 출시하고 국내 3D프린팅 출력서비스 전문업체에 납품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센트롤 금속 3D프린터가 본격적인 상용화 단계에 진입했다. 이번 상용화는 독일, 미국 등 외산장비에 의존해 오던 국내 3D프린팅 시장에서 경쟁사들을 제치고 얻은 값진 성과다. 국내 기업이 해외 업체들과 경쟁해 금속 3D프린터 분야에서 우위를 선점했다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 센트롤은 자사 3D프린터가 실제 산업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활용분야, 수요처 등을 장기적으로 분석해 왔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선진기술 수준의 금속 3D프린터를 출시할 수 있게 됐으며, 곧바로 상용화 단계에 진입할 수 있었다. 이번에 출시한 금속 3D프린터 SM350은 15~50μm 두께로 분말을 적층해 최대 속도 7m/s의 레이저로 금속파우더를 융용하고 다시 도포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부품을 출력한다. 이 제품의 최대 출력 사이즈는 직경 350ø, 높이 330㎜ 사이즈로, 기존 자사 금속 3D프린터 대비 3배 이상 커진 크기다. 1개의 레이저를 탑재한 3D프린터로는 세계 최대 수준의 출력물 크기다. 현재 센트롤은 S
[헬로티] 센트롤이 산업용 3D프린터 신제품 ‘SENTROL 3D SS400(G) 3대를 3D프린팅 전문업체 3D파인에 납품 및 협약식을 체결하고 통합 솔루션&서비스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SS400(G)는 SLS 방식의 주물사 3D프린터로, 400×400×400㎜까지 출력이 가능한 산업용 장비이다. 200~300μm 두께로 파우더를 적층해 최대 속도 7m/s의 레이저로 파우더를 소결하고 다시 도포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7m/s의 출력 속도는 지난해 9월 출시한 ‘SENTROL 3D SS600’과 비교했을 때 20배 이상 빨라진 속도다. 이것이 가능해진 이유는 기존 3D프린터는 레이저가 X, Y 테이블 방식으로 움직였다면, SS400(G)는 갈바노 방식의 거울 2개를 통해 레이저가 빠르게 움직이게 설계됐기 때문이다. 3D파인은 산업용 금속 3D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다. 소비자가 의뢰한 부품을 3D 데이터로 변환한 후, 제조, 출력, 후가공, 포장, 배송까지 모든 과정을 책임진다. 이 중 제조·출력 과정을 센트롤 주물사 3D프린터 SS400(G)로 제공한다. 최성환 센트롤 대표
[헬로티] 산업용 주물사 3D 프린터 제조기업 센트롤이 울산 소재의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 산업용 3D프린터 ‘SENTROL 3D SS600’ 및 부대장비를 설치했다고 밝혔다. 센트롤이 설치한 ‘SS600’은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방식의 주물사 3D 프린터다. 이 제품은 3D CAD 데이터를 이용, 코팅된 주물사를 소결해 적층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3차원 주물 부품을 제작할 수 있다. 국내 주물사 3D 프린터로는 최대 사이즈인 600×600×400㎜까지 출력이 가능해 중공업 기업 및 연구소에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제품이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울산 산업 구조에 특화된 3D 프린팅 기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3D 프린팅 수요처 발굴, 일자리 창출, 컨설팅 등을 지원하는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 센트롤의 SLS 방식 주물사 3D 프린터 설치를 통해 주물사 출력 샘플을 요청하는 기업들을 적극 지원할 수 있게 됐다. 센트롤은 이번 설치를 통해 3D 프린터로 아이디어 창업을 원하는 개인과 비즈니스 모델 구축을 원하는 기업 등에 주물 제작 서비스를 본격화할 계획이
▲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 학생들이 센트롤 본사 교육장에서 CNC·3D프린터 설계 기술 교육을 받고 있다 [헬로티] 산업용 주물사 3D프린터 제조기업인 센트롤이 8월2일부터 3일까지 이틀간 본사 교육장에서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 10여명을 초청해 국내외 제조업에 대해 소개하는 기업 탐방 시간을 가졌다고 밝혔다. 센트롤은 매년 중소기업청과 함께 ‘특성화고 인력양성 사업’을 진행해 왔으며, 올해로 5번째다. 이번 기업 견학은 국내외 공작기계 기술 및 3D프린터 설계 기술을 소개하고, 센트롤의 CNC 컨트롤러와 3D프린터를 직접 시연해 보는 자리로 마련됐다. 학생들은 이틀의 견학 기간 동안 △직장 예절 및 신입사원 생활백서 △CNC 공작기계 기본 조작법 △CNC 공작기계 구조 및 설계 이해 △국내외 3D프린터 기술동향 △산업용 3D프린터 구조와 설계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교육을 받았다. 이번 프로젝트의 지도강사로 나선 최형욱 센트롤 차장은 “5년째 특성화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업 견학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며 “그 동안의 지식과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학생들이 비전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뜻깊은 시간이었다&
[헬로티] 국내 3D프린터 제조와 3D프린팅 활용 산업이 파이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산업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특수용도의 3D프린팅 관련 산업이 잇달아 관련 제품을 출시,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산업용 주물사 3D프린터 제조기업인 센트롤은 최근 한국폴리텍대학에 산업용 3D프린터 ‘SS150’ 및 부대장비를 납품․설치했다고 밝혔다. 센트롤이 납품한 ‘SS150’은 사형주조와 정밀주조의 3D모델링 설계에서부터 주조 완성 과정까지 한번에 실습하기에 적합한 산업용 주물사 3D프린터이다. 또한 SS150은 다양한 캐스팅 방법에 따른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개발돼 대학교, 연구소 등에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제품이다. 센트롤은 이번 폴리텍대학 납품을 통해 실제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출력물을 3D프린터로 제작할 수 있는 전문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장기적으로 3D프린팅 산업 발전에 기여할 계획이다. 최성환 센트롤 대표는 “그동안 센트롤은 무료 교육 및 세미나 등으로 3D프린터 인재 양성에 힘써 왔다”며 “이번 폴리텍대학 납품을 통해 인재 양성과 기술체계 연계성을 강화해 산
‘SENTROL 3D SS600’은 최대 600×400mm의 대형 사이즈 출력이 가능하며 주물사를 소재로 하고 있어 세계 수준인 적층 두께 200μm의 정밀도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정교한 주물틀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으며 시제품 제작 기간 최대 1/5, 제작 금액 최대 1/3 절감이라는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CO2레이저 타입, 레이저 파장 10.6μm의 사양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일반 주물사 소재의 활용으로 주물사의 국산화가 가능하다.
“세계 3번째 개발한 주물사 3D 프린터 ‘센트롤 3D SS600’을 앞세워 대한민국 3D 프린터 기술 세계화에 힘쓰겠다.” 센트롤 최진용 회장은 센트롤의 3D 프린터는 기계 설비 제어와 소프트웨어 시스템 통합으로 개발되어 외산 장비의 성능을 능가한 제품이라고 말한다. 센트롤은 2010년 3D 프린터 기술 개발을 시작해 5년간의 노력 끝에 세계 3번째 산업용 주물사 3D 프린터를 개발, 국산 소재 사용 상용화에 성공했다. 주물사 3D 프린터 개발 배경과 사업 비전을 센트롤 최진용 회장에게 들었다. INTERVIEW_ 센트롤 최진용 회장 Q. 주물사 3D 프린터 개발 배경은 A, 주물은 금형·소성가공·용접·표면처리·열처리와 함께 6대 뿌리산업의 하나로, 부품 또는 휴대폰, 자동차와 같은 완제품을 생산하는 기초 공정산업이다. 또한, 이 분야가 제품의 본질과 내구성, 수명을 결정하는 중요한 업종의 하나이지만, 현실은 인력이 고령화되고 젊은 인력 채용과 보강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것은 열악한 작업환경이 기인한 것으로 개선이 시급하다. 그리고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