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설계, 엔지니어링, 생산 분야에 더하여 기업 활동의 전 분야에 대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DX)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습니다. (사)한국CDE학회는 DX를 주제로 서로 교류하고 정보를 나누는 포럼 운영을 통하여 산학연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2021년부터 매월 온라인 강연과 튜토리얼, 토론회 등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웨비나를 통해 디지털 전환 기술에 관심 있으신 많은 분들을 만나고자 합니다.
제조용 로봇의 활용 방안과 적용 사례 등을 공유하는 온라인 세미나(이하 웨비나)가 열린다. 한국CDE학회와 산업을 바꾸는 시간(이하 산바시)이 공동으로 기획한 DX 산학연 포럼 세 번째 시간으로, '스마트한 제조업용 로봇 활용 방안'을 주제로 한 웨비나가 내달 7일 개최된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설계, 엔지니어링, 생산 분야에 더하여 기업 활동의 전 분야에 대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이하 DX)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한국CDE학회는 DX를 주제로 서로 교류하고 정보를 나누는 포럼 운영을 통해 산학연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있다. 2021년부터 매월 온라인 강연과 튜토리얼, 토론회 등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시간에는 연세대학교의 김동혁 교수가 나서 제조용 로봇의 구성과, 활용 방안, 적용 사례 등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웨비나는 9월 7일 오후 2시부터 3시 30분까지 진행되며 두비즈 홈페이지에서 사전등록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제조용 로봇의 활용 방안과 적용 사례 등을 공유하는 온라인 세미나(이하 웨비나)가 열린다. 한국CDE학회와 산업을 바꾸는 시간(이하 산바시)이 공동으로 기획한 DX 산학연 포럼 세 번째 시간으로, '스마트한 제조업용 로봇 활용 방안'을 주제로 한 웨비나가 내달 7일 개최된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설계, 엔지니어링, 생산 분야에 더하여 기업 활동의 전 분야에 대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이하 DX)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한국CDE학회는 DX를 주제로 서로 교류하고 정보를 나누는 포럼 운영을 통해 산학연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있다. 2021년부터 매월 온라인 강연과 튜토리얼, 토론회 등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시간에는 연세대학교의 김동혁 교수가 나서 제조용 로봇의 구성과, 활용 방안, 적용 사례 등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웨비나는 9월 7일 오후 2시부터 3시 30분까지 진행되며 두비즈 홈페이지(https://dubiz.co.kr/Event/95)에서 사전등록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헬로티] 제조업용 로봇은 인간이 수행하기에 힘들고 유해한 작업을 대신하거나 단순 반복 작업을 하는 데 사용되는 로봇으로 자동차, 전기·전자 분야 제조현장 등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로봇이다. 최근에는 인간과 함께 작업할 수 있는 안전한 협동로봇 제품이 산업 분야 곳곳에서 활약하고 있어 기존 제조용 로봇 시장과는 차별화된 새로운 시장의 성장이 예고되고 있다. 국제로봇연맹(IFR)의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로봇 밀도가 높은 국가라고 한다. 실제로 국내의 로봇 시장 성장률은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에 따르면 전 세계 서비스 로봇 시장은 2019년 310억달러(약27조원)에서 2024년 1220억달러(약145조원)로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연평균 29% 이상 성장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시장 전망이 밝은 만큼 향후 경쟁도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새로 발간된 국제로봇연맹의 2020년 세계로봇-제조업용 로봇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제조현장에서 가동 중인 로봇 대수는 12% 증가한 2,700만대이다. 전 세계 로봇 신규 판매 대수는 37만3000
[헬로티] AI(인공지능)와 ICBM(IoT, Cloud, Big Data, Mobile), 5G 등 첨단정보통신 기술 등의 접목으로 로봇기술·제품의 발전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고령화·저출산 등에 따른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최근의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등 라이프스타일 변화 등 여러 사회·경제적 요인은 로봇 활용을 촉진하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로봇 도입 증가는, 특히 산업에서 노동 보완 효과를 일으켜 노동 수요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며, 질적으로는 고용의 질적 향상, 근로조건의 개선, 경영성과 등에서 다소의 개선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이 글은 최근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 내놓은 ‘로봇산업 동향과 고용 전망’에 대한 보고서를 바탕으로 정리했다. 로봇기술과 AI(인공지능)와 ICBM(IoT, Cloud, BigData, Mobile), 5G 등 첨단정보통신 기술의 융복합화와 고기능 센서 등의 개발·발전에 따라 로봇의 스마트화가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제 로봇은 제조 산업뿐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 산업에의 활용도 가속화되고 있다. 로봇
[첨단 헬로티] ‘2019 로보월드’가 10월 9일부터 12일까지 킨텍스에서 개최된다. ‘Smart Industry, Smart Life!’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로보월드 전시회를 앞두고 한국로봇산업협회는 17일 영등포역 대회의실에서 참가업체 대상 설명회를 열었다. ▲ ‘2019 로보월드’ 참가업체 설명회가 17일 영등포역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2019 로보월드 주요 행사와 참가업체 비즈니스 지원 및 초청 바이어 지원 프로그램, 그리고 전시 운영 계획 등에 대한 소개가 있었다. 산업통상자원부 주최로 올해 14회째를 맞이한 ‘2019 로보월드’는 한국로봇산업협회와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제어로봇시스템학회가 주관하여 200개사 500부스 규모로 개최되며, 국제로봇산업대전을 비롯하여 국제로봇콘테스트, 국제로봇컨퍼런스 등 주요 공동 행사와 키노트스피치, 글로벌로봇비즈니스포럼, 신제품런칭쇼, 전문가 세미나 등 다양한 부대행사로 진행된다. 한국로봇산업협회 관계자는 “2019 로보월드는 제조업용 로봇 및 서비스용 로봇, 로봇 부품 등 국내외 주요 기업의 참가로
[헬로티] 정보통신기술과 생산기술을 합친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우리 곁으로 성큼 다가오면서 로봇산업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기계산업에서 인간과 로봇의 협동이 본격화되고 있다. 로봇 전문업체인 유니버설로봇이 그 대표격. 이 회사는 국제표준화기구에서 발표한 협동로봇 안전 규격인 ISO/TS 15066의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 안전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직원과 가까운 거리에서 안전하게 협동하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사진 1. 로봇을 활용하는 산업이 다양해지면서 전기·전자, 자동차 분야에 국한됐던 제조업용 로봇의 활용 범위가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로봇 시장이 매년 비약적으로 급성장함에 따라 세계 각국에서 로봇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인식하고 전폭적인 지원을 펼치고 있다. 영국의 기술 및 시장 분석 전문기업 ‘테크내비오(Technavio)’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글로벌로봇산업계의 R&D 투자 규모가 연평균 17%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로봇을 활용하는 산업이 다양해지면서 전기·전자, 자동차 분야에 국한됐던 제조업용 로봇의 활용 범위가 갈수록 확대되고 있고, 저렴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