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지휘통신사령부-한국전파진흥협회, 미래전장 대비 EMS 협력 강화 국군지휘통신사령부와 한국전파진흥협회가 전자기스펙트럼(EMS) 작전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에 손을 맞잡았다. 급변하는 미래 전장 환경에서 핵심 작전 자산으로 떠오른 EMS 분야에 대응하기 위한 군-민 협력이 본격화된 것이다. 양 기관은 지난 23일 인천 송도 전자파기술원에서 EMS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날 행사에는 국군지휘통신사령부 조재명 사령관(준장)과 한국전파진흥협회 정흥보 상근부회장이 참석해 상호협력의 의지를 다졌다. 협약의 주요 골자는 △국방 EMS 전문교육 개설과 정기 교육 제공 △EMS 기술 발전을 위한 정보교류 △EMS 관련 용역연구 및 신기술 개발 협력 △군 전문인력 양성 등이다. 이를 위해 양 기관은 실무 협의체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협업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전자기스펙트럼(Electro-Magnetic Spectrum)은 주파수와 파장에 따라 배열된 전자기파의 연속체로, 군 통신, 감시, 정찰, 전자전(EW) 등 다방면에 활용된다. 최근 전자기 환경의 중요성이 급증하면서 EMS 작전은 전통적인 무기체계 못지않은 전략적 요소
‘드론 무력화’ K-재밍, 정부 규제 개선 등 핵심 요소 강조 현재 전 세계 국방·방위 체계가 전자전(Electronic Warfare) 양상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 중심에는 ‘무인비행체(드론)’가 있다. 드론이 현대전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함에 따라, 이러한 드론을 활용하거나 방어하는 전략이 필수로 떠오르는 추세다. 이는 지난 2022년 촉발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필두로 변화된 트렌드다. 시스레인은 드론 무력화 기술인 ‘안티 드론(Anti Drone)’을 강조한다. 안티 드론은 드론 기체에 무기를 달아 공격하거나, 드론 기체가 직접 대상에 직충돌해 피해를 주는 등 타격에 대비한 드론 방어 체계다. 이 같은 기술은 발전소·댐·교량 등 핵심·기간 시설을 보호하는 데 핵심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우리 정부는 이러한 트렌드에 발맞춰 ‘2025년 공공 주파수 수급 계획’을 발표했다. 업계에 따르면, 이 정책이 발표되면서 4.8GHz 주파수 활용이 가능해졌다. 이는 해당 주파수를 활용해 고도화된 첨단 안티 드론 시스템 구축·운용이 실현됐다는 뜻이다. 시스레인은 ‘대 드론 통합관제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 시스템은 통신 신호 교란을 통해 특정 드론·무인기를 무력화하
[첨단 헬로티] 최첨단 전자 제품과 전자부품 기술이 한 자리에! 아시아 최대 규모로 최첨단 IT 기술이 접목된 전자제품과 기술을 한 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제 38회 HKTDC 홍콩 추계 전자전(Electronics Fair)과 전자부품 박람회인 제 22회 일렉트로닉스 아시아(Electronics Asia)가 10월 13일 홍콩 컨벤션 전시 센터에서 화려하게 개막됐다. 이번 전시는 10월 16일까지 총 4일간 개최될 예정이다. ▲HKTDC 홍콩 추계 전자전과 일렉트로닉 아시아 전시관 입구 홍콩무역발전국(HKTDC)이 주최하는 HKTDC 홍콩 추계 전자전과 일렉트로닉스 아시아는 총 25개 국가에서 4300개 이상의 업체가 전시에 참가 규모를 자랑한다. 그 중에서 일렉트로닉 아시아는 배터리, 태양광 발전 부품, 전원공급(Power Supplies)관, 인쇄 회로 기판(PCB) 설계, 센서, 디스플레이 기술 등을 선보이는 전자부품전시회다. 홍콩 추계전자전은 최신 전자제품, 유망한 스타트업의 기술을 소개하는 자리로 마련됐고, 일렉트로닉스 아시아는 배터리, 태양광 발전 부품, 전원공급(Power Supplies)관, 인쇄 회로 기판(PCB) 설계, 센서, 디스플레이
ㅈ[첨단 헬로티] 저장장치, 멀티미디어 제품 기업 트랜센드가 오는 10월 24~2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한국전자전 Korea Electronics Show 2018 (KES2018)’에 참가한다. 트랜센드는 이번 전시회에서 NVMe 인터페이스 기반의 M.2 SSD, 메모리 셀을 수직 방향으로 여러 겹 적층 한 구조의 3D 낸드플래시 SSD, DRAM 모듈, 블랙박스, 바디캠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다양한 산업용 스토리지 제품을 홍보하고 B2B 시장에서의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할 계획이다. 고성능 PCIe NVMe SSD와 인텔리전트 파워 쉴드(IPS) 기술을 시연할 계획으로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 어울리는 트랜센드 제품의 높은 안정성 및 호환성을 현장에서 직접 방문객들에게 선보일 예정이다. 또한, PCIe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고품질 3D 낸드플래시를 탑재해 속도와 안정성 모두 만족시키는 SSD 제품인 MTE550T, MTE510T, MTE110S 등을 만나 볼 수 있으며, 산업용 SSD, DRAM 모듈, CF 카드, 블랙박스, 스토어젯 클라우드 등 다양한 스토리지 제품도 선보인다. 이밖에도 트랜센드는 최근 출시한 보안용
[첨단 헬로티] 4차산업혁명 시대 제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해 머신비전 기술은 산업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머신비전의 최근 트렌드와 기술동향, 그리고 적용사례 등의 정보를 폭넓게 공유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사)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와 (주)첨단이 오는 10월 19일(목) 코엑스 컨퍼런스룸 317호에서 '머신비전 컨퍼런스 2017(https://goo.gl/pAkpBn)'을 개최한다. ▲ 앤비젼 이길재 차장 머신비전 컨퍼런스 2017의 골드 파트너로 참가하는 앤비젼은 'In-Line에서 빠르게 한번에 샥! 앤비젼 3D측정 솔루션'이라는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앤비젼 이길재 차장은 이번 발표를 통해 ▲국내 연구소 및 Off-Line장비 측정 기술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Confocal, WSI 원리 및 장단점 ▲3D Technology Map(Speed VS Z resolution) ▲실시간으로 높이,두께,깊이 측정이 가능한 Chromatic Confocal ▲PCB, 반도체 검사(2D) 및 측정(3D)이 동시에 가능한 대면적 Stereo Vision ▲나노(Nano) 단위의 고정밀 측정이 가능한 Digital Holography ▲Curved Gl
[첨단 헬로티] 4차산업혁명 시대 제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해 머신비전 기술은 산업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머신비전의 최근 트렌드와 기술동향, 그리고 적용사례 등의 정보를 폭넓게 공유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사)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와 (주)첨단이 오는 10월 19일(목) 코엑스 컨퍼런스룸 317호에서 '머신비전 컨퍼런스 2017(https://goo.gl/pAkpBn)'을 개최한다. ▲ 엠비젼 박상범 엠비젼은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머신비전 시스템에서의 조명의 중요성과 선정 노하우'를 발표할 예정이다. 엠비젼 박상범 사원은 검사대상물과 검사환경을 고려하여 조건에 최적화된 조명을 선정해야만 비전 시스템 전체의 검사정밀도가 향상되고 소프트웨어의 부담이 줄어든다. 조명 선정 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사항은 무엇인지, 그리고 형태/재질/크기 등 검사대상물의 특징과 검사항목의 종류에 따른 조명 선택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와함께 한국전자전(KES 2017), 반도체대전(SEDEX 2017),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imid 2017)과 동시에 개최되는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AI, 딥러닝 등과 머신비전의 융합, 그리고 3D 측정 솔루션, 임베디드
[첨단 헬로티] 4차산업혁명 시대 제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해 머신비전 기술은 산업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머신비전의 최근 트렌드와 기술동향, 그리고 적용사례 등의 정보를 폭넓게 공유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사)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와 (주)첨단이 오는 10월 19일(목) 코엑스 컨퍼런스룸 317호에서 '머신비전 컨퍼런스 2017(https://goo.gl/pAkpBn)'을 개최한다. ▲ 코그넥스코리아 김민수 상무 코그넥스코리아 김민수 상무는 이번 컨퍼런스에서 '머신비전과 딥러닝의 융합'에 대해 발표한다.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팩토리로의 전환을 위해 비전기술이 필수적인데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정확한 비전 이미지 제공 뿐이 아닌 이미지 가공 및 분석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김 상무는 머신비전의 글로벌 리더인 코그넥스는 인공지능 기법을 이용해 산업용 비전 시스템의 이미지 분석 성능을 향상시키는 딥러닝 소프트웨어를 통해 향후 머신비전과 딥러닝이 융합하여 어떤 범위까지 확대 사용될 수 있는지, 비전 데이터의 활용폭이 얼마나 넓어질 수 있는지 소개할 예정이다. 이와함께 한국전자전(KES 2017), 반도체대전(SEDEX 2017),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
[첨단 헬로티] 4차산업혁명 시대 제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해 머신비전 기술은 산업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머신비전의 최근 트렌드와 기술동향, 그리고 적용사례 등의 정보를 폭넓게 공유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사)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와 (주)첨단이 오는 10월 19일(목) 코엑스 컨퍼런스룸 317호에서 '머신비전 컨퍼런스 2017(https://goo.gl/pAkpBn)'을 개최한다. ▲ 자일링스 장웅 부장 자일링스 장웅 부장은 'Xilinx solution을 이용한 embedded vision system 구현'이라는 주제를 발표한다. 임베디드 비전 시스템은 오늘날 가장 흥미진진한 기술 분야 중 하나다. 기계에 우리 주변의 세상을 보고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한다면, 이는 엄청난 상업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장웅 부장은 이번 발표에서는 임베디드 비전 시스템 공급업체로서 Xilinx가 어떤 분야에서 사용되어 왔는지와 Xilinx가 제공하고 있는 임베디드 비전을 위한 디바이스, 개발 툴, 에코 시스템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특히 OpenCV를 지원하는 최신 reVISION stack에 대해서 설명하고, 이를 통해 vision system과 최
People & Company K. B. Chan 홍콩전자산업협회장 전자전 매년 성장…역동성이 가장 큰 매력 “홍콩전자전의 가장 큰 매력은 철저히 바이어를 위한 전시회라는 점이다” 홍콩전자전에서 만난 홍콩전자산업협회의 K. B. 챈 회장은 이 같이 말하며, 정확한 타깃이 이 전시회가 지닌 경쟁력이라고 했다. 다음은 챈 회장과의 일문일답이다. Q 올해 홍콩전자전의 특징은 무엇인가? A 보여주는 전시회가 아닌 바이어를 위한 전시회라는 점이다. 아시는 것처럼 홍콩전자전은 아시아에서 가장 큰 전자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전시회에는 삼성전자나 LG전자, 애플과 같이 명실공히 IT 대표기업은 참가하지 않는다.선두업체들의 제품은 화려하긴 하다. 하지만 이들 제품을 바이어들이 현장에서 구매하거나 상담할 수는 없다. 홍콩전자전은 화려함을 보여주기보다 현장에서 구매와 판매가 이뤄지는 실질적인 비즈니스 마켓 플레이스를 지향한다. 이것이 홍콩전자전의 모토이다. Q 지난해와 비교하면 어떤가? A 무엇보다 가장 큰 전자 관련 전시회라는 점에서는 변함이 없다. 어쨌든 매년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전시 참가 업체 수나 참관객 규모 모두 매
올해로 35회째를 맞는 2015 홍콩추계전자박람회가 10월 13일부터 16일까지 총 4일간 일정으로 전자부품박람회와 함께 홍콩종합전시장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는 약 4100개의 기업이 참여해 시청각, 친환경, I-world(스마트 전자기기 및 액세서리), 포장 및 디자인, 내비게이션 시스템, 그리고 IoT 관련 제품 등 전자 산업의 전반을 보여줄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SK텔레콤, 바디프렌드, 대건테크, 세주엔지니어링, 솔테크 등 약 100여개 기업이 참여했다. 특히 이번 전시에는 ‘스마트 테크존(Smart Tech Zone)’과 로봇공학 & 무인화 기술존(Robotics & Unmanned Tech Zone)' 등 신규 테마관이 신설됐다. 스마트 테크존에서는 LifeCore Instrument의 손 세정기 ‘STERION-H'와 Nexi Limited의 와이파이 도어 센서 ‘WT06'가 참관객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로봇공학 & 무인화 기술존에서는 Human-Robot Technology의 로봇인 'Hugebot’과 shenzhen rulind electronic technology
홍콩추계전자박람회2013 로 레벨(Low Level) 전략으로 실질적인 비즈니스 마켓 플레이스 실현 홍콩추계전자박람회가 지난달 13일부터 16일까지 홍콩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30여 개 국가, 4000여 업체가 참가한 이번 전시회에 10만여 명의 참관객이 다녀갔다. 주최측인 홍콩무역발전국에 따르면 매년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홍콩전자전과 일렉트로닉 아시아 등 두 개의 행사로 구성된 이번 전시회를 본지가 현장 취재했다. 홍콩추계전자박람회2013, 이른바 홍콩전자전이 열린 홍콩전시컨벤션센터에 도착했다. 생각보다 넓다. 우선 한국관을 찾았다. 이곳저곳을 살피다가 전시장 5층에 ‘코리아 파빌리온’이 있는 걸 알았다. 코리아 파빌리온에 도착하니 지자체가 주관한 기관들의 부스가 눈에 들어왔다. 120여 업체가 한국관을 통해서 혹은 독자적인 공간을 이용해 신제품을 선보이고 있었다. 홍콩전자전에 대한 궁금증 한참을 돌아본 후 삼성전자와 LG전자 등은 무엇을 전시하고 있는지 궁금했다. 이들 기업이 있을 만한 프리미엄 브랜드관으로 발걸음을 돌렸다. 하지만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었다. 이 관에 전시된 것은 ‘생뚱맞게’도 스피커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