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브러리 국내도 자율주행차 2020년 상용화 로드맵 공개됐다
자율주행차, 수소연료전지차 등 자동차 산업의 지각 변동이 심상치 않다. 국토교통부는 급변하는 자동차 기술 발전을 고려해 지속 가능한 자동차 산업의 발전 역량을 강화하고 안전하고 편리한 자동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2차 자동차정책기본계획(2017~2021)을 수립하고 국가교통위원회를 열어 이를 최종 확정했다. 자동차정책기본계획은 5년마다 수립하는 법정 계획으로, 2012년부터 수립된 기본 계획을 통해 자동차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자율주행차 등의 미래첨단자동차의 기술 발전에 기여해 왔다. 우리나라의 자동차 환경은 급속한 고령화에 의한 인구구조 변화로 차량 자체의 안전 강화가 요구될 전망이며, 환경 규제의 강화로 친환경차의 개발 및 보급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AI)과 아이티(IT)의 융복합화로 자동차 시장에서 기술 경쟁이 치열해져 자율주행차가 조기 상용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이번 제2차 자동차정책기본계획은 자동차 기술과 관련하여 자동차 산업의 메가트렌드로 부상하고 있는 자율주행차의 2020년 상용화(3단계, LEVEL3) 등 첨단 자동차의 발전을 선도하도록 마련되었다. 자동차정책기본계획의 5대 실천 과제 제2차 자동차정책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