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최근 항공우주, 발전, 에너지 산업에서 핵심 부품의 경량화와 효율성이 향상되면서 높은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비교적 가벼운 내열합금의 가공이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인코넬, 티타늄 합금 소재의 내열합금은 고온 고강도 및 낮은 열전도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가공 시 고온의 집중으로 인한 열충격, 가공경화, 진동 등이 발생된다. 따라서 인선 치핑과 돌발 파손으로 인한 공구 수명 및 생산성 저하 등의 문제들이 발생하였다. 코오로이(KORLOY)는 이러한 시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가공 안정성 및 수명을 대폭 향상시킨 인코넬, 티타늄 가공 전용 MSD(Mach Solid Drill) Plus-S를 개발하였다. MSD Plus-S는 노치제어 인선 형상과 특수 인선 처리로 치핑 및 돌발 파손을 예방하였으며 넓은 칩 포켓과 최적의 선단 경사면 형상은 칩과 열 배출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는 고온의 작업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가공으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PC325T 신규 재종은 우수한 내열성과 내산화성을 통한 안정적인 공구 수명을 자랑한다. 또한 표면조도의 뛰어난 코팅으로 인선부 용착 현상을 감소시키며, 고온에서의 원활한 칩 배출은 절삭부하를 줄여준다. 코오
[첨단 헬로티] 절삭 가공을 하면 여러 트러블이 발생한다. 여유면(플랭크) 마모, 경사(크레이터) 마모, 선단 마모, 치핑, 결손, 박리, 균열 등이 주로 일어나는 트러블이다. 이 트러블에 따라 나름의 해결책이 제시되기는 하지만 어떤 피삭재를 가공하는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참조 정도만 해두는 것이 적당하다. 결국 실제 가공할 때 발생한 트러블에 따라 어떤 해결책을 마련했는지가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이다. 이번 호에는 다양한 피삭재 가공에 따른 트러블 대책을 살펴본다. 이 대책은 실제 가공을 통해 얻어졌다. 내열강 절삭에 딱맞는 K20 재종 항공 부품 등에 사용되는 내열강은 절삭 가공을 하기 어려운 재료 중의 하나다. 가공 중에는 절삭열에 의해 피삭재 표면에 경화층이 생긴다. 또 다른 재료에서는 별로 볼 수 없는 배분력의 증가, 칩에 의한 절삭날의 손상 등이 발생한다. 이는 공구 재종 자체의 특성이 문제되는 가공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종류의 재료를 가공할 때는 강인한 칩에 대응할 수 있는 강한 절삭날, 원활한 칩 처리, 즉 질기면서 단단한 절삭날로 컬(curl) 모양의 처리하기 쉬운 칩이 나올 수 있는 공구 형상을 선택해야 한다. 가공 중의 발열을 최
[첨단 헬로티] 드릴 가공을 고능률, 고정밀도로 실시하는 데는 피삭재, 절삭 조건, 사용 기계, 사용 환경 등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해서 진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 가공을 진행하는 과정에서는 여러 가지 트러블이 발생하는데, 이 트러블을 어떻게 빨리 대처하느냐, 어떻게 미연에 방지하느냐 하는 것이 드릴 가공을 잘 진행하는 포인트가 된다. 이번 호에는 절삭 공구 중 드릴로 가공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트러블과 그 대책에 대해 살펴본다. 1. 가공 정밀도에 관한 트러블 드릴에 의한 구멍의 가공 정밀도의 평가 항목으로는 ①구멍의 확대 여유, ②구멍의 표면 거칠기, ③구멍의 피치 정밀도, ④구멍의 구부림 등을 들 수 있다. 1) 구멍의 확대 여유 드릴로 강의 구멍 가공을 한 경우, 일반적으로는 구멍이 확대된다. 이 경우 드릴의 선단 형상이 구멍 지름에 크게 영향을 준다. 다시 말해 웨이브의 편심, 치즐의 편심, 절삭날의 높이 차, 선단 반각차 등 2개의 절삭날의 불균일, 절삭날과 섕크의 중심 어긋남이나 사용 기계 주축의 흔들림 등은 구멍 지름을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되고 있다. 절삭날의 높이 차가 있으면 가공 구멍은 확대되